KR900007070B1 -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에 꿰는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에 꿰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070B1
KR900007070B1 KR1019880000931A KR880000931A KR900007070B1 KR 900007070 B1 KR900007070 B1 KR 900007070B1 KR 1019880000931 A KR1019880000931 A KR 1019880000931A KR 880000931 A KR880000931 A KR 880000931A KR 900007070 B1 KR900007070 B1 KR 90000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tringers
clamp member
cam
sli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604A (ko
Inventor
요오이치 호리카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62Assembling sliders in position on stringer 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82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of a slid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91Slide fastener
    • Y10T29/533Means to assemble slider onto string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에 꿰는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꿰는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대향 스트링거들의 선단부들이 측방으로 정렬되어 있는 여러 부품들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제1도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대향 스트링거들의 정렬된 선단부들이 파지되는 여러 부품들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4도는 클램프에서 멀리 전진된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 호울더를 도시하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5도는 슬라이더 호울더에 슬라이더가 보유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슬라이더 호울더의 확대 평면도.
제6도는 대향 스트링거들의 각 선단부들이 측방으로 정렬된 체 슬라이더를 통하여 삽입된 스트링거들의 부분 평면도.
제7도는 스트링거들의 정렬된 선단부들이 파지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8도는 점진적으로 결합되는 대향 스트링거들의 부분 평면도.
제9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꿰는 장치의 수직 단면도.
제10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및 제11도는 분리가능한 하지구가 있는 분해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슬라이드 파스너 F1, F2 : 스트링거
S : 슬라이더 E : 파스너 엘레멘트
5 : 캠판 7,25 : 슬롯
10 : 슬라이드 11 : 슬라이더 호울더
12 : 폴로어 핀 13 : 캠슬롯
16 : 정지부 19 : 스트링거 정렬수단
22 : 클램프 23 : 상부 클램프부재
24 : 하부클램프부재 29,44 : 캠면
30 : 캠 폴로어 로울러 33 : 무단 로우프
37 : 안내슬롯 41 : 미끄럼부재
43 : 작동부재 46 : 벨 크랭크
이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대향 스트링거들에 꿰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부착하기 위해, 의류에 1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들을 재봉한 다음, 슬라이더가 공구에 의해 재위치에 파지되어 있는 동안 그 슬라이더를 통하여 스트링거들을 삽입하는 것은 의류 제조업자에게는 알려져 있는 관행이다.
그때, 두 파스너 스트링거들의 각 선단부들(파스너 엘레멘트들이 없는)이 슬라이더의 벌어진 앞 단부에서부터 슬라이더를 통하여 삽입된 다음, 그 각 선단부들이 서로 측방으로 정렬되며, 이때, 두 스트링거들은 그들의 선단부들이 정렬된 위치에 손으로 확고히 파지된채 슬라이더로부터 당겨진다.
이러한 통상의 기술이 지닌 일차적 문제점은, 특히 슬라이더 파스너가 파스너 엘레멘트의 대향 열들의 각하단부 부위들에서 두 스트링거들상에 장착된 암,수 정지구 절반부들로 구성되는 소위 분리 가능한 하지구를 가지는 제11도에 도시된 형태인 경우 두 스트링거들을 결합하는 데에 이탈이 종종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두 스트링거들에서 다른 형태의 암,수 정지구 절반부올에 기인하여 슬라이더를 통과하는 저항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트링거들의 선단부들을 손으로 파지하는 겻이 그 선단부들을 정렬된 위치에 유지하는데 부적당하기 때문이다. 대향 스트링거들의 그러한 오결합을 교정하기 위하여는 각 스트링거들에서 상지구들을 제거한 다음, 슬라이더에서 그 스트링거들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스트링거들을 재삽입을 위해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11도의 슬라이더 파스너의 상지구들은 사출성형으로 스트링거들상에 장착되어서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사출성형된 상지구들이 제거된다해도 그러한 슬라이더 파스너는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망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더 파스너가 분리식 하지구를 갖는다해도 대향 스트령거들의 원활하고 올바르게 결합되게 슬라이더 파스너용 1쌍의 스트링거들상에 슬라이더를 꿰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들에 꿰는 장치는, 1쌍의 스트링거들의 종방향 경로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더 호울더와, 슬라이더에 꿰여진 스트링거들의 선단부들을 측방으로 서로 정렬시키기 위해 스트링거들의 종방향 경로에서 슬라이더 호울더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스트링거 정렬수단, 및 대향 스트링거들을 그들의 정렬된 위치에 보유하도록 슬라이더 호울더와 스트링거 정면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스트링거들의 종방향 경로를 따라 슬라이더 호울더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클램프로 구성된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2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삽입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파스너(F)용 1쌍의 대향 스트링거들(F1,F2)에 꿰어질 슬라이더(S)(제5도)를 보유하도록 그 대향 스트링거를(F1,F2)의 종방향 경로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더 호울더(1l), 슬라이더(S)(제6도)를 통하여 삽입되는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1쌍의 선단부들을 측방으로 정면시키도록 종방향 경로에서 슬라이더 호울더(1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트링거 정면수단(19), 및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정렬된 선단부들을 그들의 상대적 위치(제7도)에 파지하도록 슬라이더 호울더(11)와 스트링거 정렬수단(19)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프(22)로 구성된다. 대향 스트링거들(F1, F2)의 선단부들이 클램프되면, 슬라이더 호울더(11)와 클램프(22)는, 분리식 하지구의 암,수 절반부들(B1,B2)과 적어도 맨끝의 파스너 엘레멘트들(E, E)이 결합될때(제8도)까지 대향 스트링거들(F,F2)을 슬라이더(S)로부터 당기도록 종방향 경로를 따라 서로로부터 멀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클램프(22)는 고정되고, 슬라이더 호울더(11)는 종방향 경로를 따라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클램프(22)로부터 멀리 이동가능하다.
사용시, 이 장치는 대체로 C자형의 부재(2)와 나사(3)에 의해 테이블(1)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장치는 또한, 테이블(1)로부터 먼쪽으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진 지지판(2a)을 통하여 C자형 부재(2)에 고정된 기부(4)를 포함한다. 스트링거 정렬수단(19)은, 기부(4)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직립면이 있는 계단진 부분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직립면에 대향 스트링거들(F1,F2)이 접촉한다.
클램프(22)는 상,하부 클램프부재들(23,24)을 포함한다. 상부 클램프부재(23)는 피봇축(21)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피봇축(21)은 기부(4)의 상부에 형성된 1쌍의 브래킷들(22,22)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클램프부재(24)는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슬라이더 호울더(11)사이의 위치에서 기부(4)의 상부에 형성되고 횡방향 홈을 가지고 있다. 상부 클램프부재(23)가 하방으로 회동될때 그 상부 클램프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횡방향 홈쪽으로 이동된다. 압축스프링(27)이 기부(4)와 상부 클램프부재(23)사이에 장착되어 그 상부클램프부재를 평상시 상방으로 민다. 상부 클램프부재(23)에 있는 구멍(26)을 통하여 작업자는 정렬되고 있는 대향 스트링거들(F1, F2)의 선단부들을 관찰할 수 있다.
상부 클램프부재(23)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기구는, 상부 클램프부재(23)의 윗면에서 뻗어 있고 상단부 및 하류쪽에 캠면(29)이 있는 직립 돌출부(28) 및, 그 캠면(29)과 결합가능한 캠 폴로어 로울러(30)를 포함한다. 캠 폴로어 로울러(30)는 1쌍의 평행한 컴판들(4,4)에 의해 지지된 샤프트(31)상에 장착되고, 그 캠판들은 실제로 수직 이동하도록 기부(4)의 각 측부상에 배치된다.
1쌍의 팽행한 캠판들(5,5)에는 1쌍의 수평으로 정렬된 수직 슬롯들(7, 7)(이하, 제1슬롯들이라 함)이 있다. 1쌍의 제1핀들(6,6)이 기부(4)상에 장착되고 각자1쌍의 제1슬롯들(7,7)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제2핀(8)이 각 캠판(5)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9)이 제1핀(6)과 제2핀(8)사이에 장착되어서 평상시 각 캠판(5)을 상방으로 민다.
두 캠판(5,5)에는 또한, 제1슬롯들(7,7)와유사한 1쌍의 제2슬롯들(25,25)이 있다. 그리고, 피봇축(21)의 두 단부들이 각자 그 제2슬롯들(25,25)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및 제2슬롯들(7,25)의 경사도는기부(4)의 경사도와 같다.
기부(4)의 경사진 종방향 축선에 수직하게 기부(4)의 상부 부위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기다란 슬라이드(10)의 일단부에 슬라이더 호울더(1l)가 제공된다. 두 캠판들(5,5)에는 1쌍의 캠 슬롯들(13,13)이 있다. 1쌍의 폴로어 핀들(12,12)이 슬라이드(10)의 다른 단부상에 장착되고 각자 캠 슬롯들(13,13)에 이동가능하게수용된다. 각 캠 슬롯(13)은 제1 및 제2슬롯들(7,25)과 평행한 하부 부위(14)와 제2슬롯(25)쪽으로 경사진 상부 부위(15)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두 캠판들(5,5)의 하단부들 사이에 뻗어 있는 봉(32)에 매달려 있는 무단 로우프(33)를 당김으로써 두 캠판들(5,5)이 제1및 제2도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폴로어 핀(12)이 처음에는 캠 슬롯(13)의 상부 부위(14)에서, 상,하부 부위를(15,14)의 연결부쪽으로 이동하여(제3도) 슬라이드(10)를 그의 전진된 위치에 유지한다. 캠판들(5,5)이 계속 하향 이동하면, 그다음, 각 폴로어 핀(12)은 상부 부위(15)에서 제2슬롯(25)쪽으로 이동하여(제4도) 슬라이드(10)를 그의 전진된 위치로 억지로 민다. 슬라이드(10)의 이러한 전진 이동은 정지부(16)에 의해 제한된다. 그 정지부는 슬라이드(10)의 다른 단부상에 제공되고 기부와 결합가능하다.
슬라이더 호울더(11)는 자동 잠금 슬라이더(S)를 풀림 위치에 유지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호울더(11)는 슬라이더(S)를 거꾸로(상측이 아래로되게) 지지하는 두갈래진 지지부재(17)와, 그 지지부재(17)의 바로 윗쪽에 배치되어 있는 두갈래진 쐐기형 부재(18)를 포함한다. 쐐기형 부재(18)는 제2,3 및 4도에 도시된 바대로 슬라이더 몸체(S1)와 견인탭(S2)사이에 삽입 가능하여 파스너 엘레멘트 안내 채널(도시안됨)로부터 슬라이더(S)의 잠금 포올(pawI)(도시 안됨)을 철회시켜서, 대향 스트링거들(F1,F2)이 슬라이더 몸체(S1)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철회 위치에서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슬라이더 호울더(11) 사이의 간격은, 슬라이더(S)를 통하여 삽입된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선단부들이 제6도에 도시된 바대로 스트링거 정렬수단(l9)과 접촉할때 암,수 하지구 절반부들(B1,B2)이 아직 결합되지 않도록 정해진다.
암,수 하지구 절반부들(B1,B2)과 적어도 맨끝의 파스너 엘레멘트들(E,E)이 제8도에 도시된 바대로 결합될때까지, 슬라이더(S)가 보유되어 있는 슬라이더 호울더(11)가 제6 및 7도의 위치로부터, 스트링거 정렬수단(19)으로부터 먼쪽으로 이동가능하다.
작동시, 슬라이더(S)는 제5도에 도시된 바대로 슬라이더 호울더(11)상에 거꾸로 지지된다. 그다음, 대향 스트링거들(F1,F2)은 그들의 선단부들이 제2 및 6도와 같이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접촉할때까지 슬라이더의 벌어진 전방 단부부터 슬라이더(S)를 통하여 삽입되고, 이때 암,수 하지구 절반부들(B1,B2)은 아직 결합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두 캠판들(5,5)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클램프(22)가 제7도에 도시된 바대로 그 스트링거들의 내측의 비이드(bead)를 가진 테이프 연부들(C,C)을 가로질러 대향 스트링거들(Fl,F2)의 정렬된 선단부 부위들을 보유한다. 캠판들(5,5)이 계속 하향 이동되면, 슬라이더가 보유되어 있는 슬라이더 호울더(11)는 암,수 하지구 절단부들(B1,B2)과 몇개의 맨끝 파스너 엘레멘트들(E,E)이 제8도에 도시된 바대로 결합될 때까지 클램프(22)로부터 멀리 이동된다(제4도).
그후, 캠판들(5,5)로부터 하향 견인력이 제거될때, 캠판들은 인장스프링(9)의 바이어싱 힘하에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결과, 슬라이드(10)가 그의 철회 위치로 복귀된 다음, 상부 클램프부재(23)도 그의 상승위치로 복귀된다.
제9도는 제2실시예로 도시하는데, 이 실시예는 클램프(22)의 클램핑과 슬라이더 호울더(11)의 전진이동이 별도의 작동 시스템들에 의해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슬라이드(10)는 기부(4)의 상부 부위를 관통하여 연장하고, 슬라이더 호울더(1l)로부터 멀리 있는 그 슬라이더의 다른 단부에 하향 돌출부(34)[이는 제1실시예의 정지부(16)에 해당한다]를 가진다. 하향 돌출부(34)와 기부(4)사이에 압축 스프링(35)이 장착되어 평상시 슬라이드(10)를 그의 철회 위치로 민다. 기부(4)에는, 슬라이드(10)가 수용되는 관통 구멍(36)과 그 관통 구멍(36)을 따라 뻗어 있는 안내 슬롯(37)이 있다. 슬라이드(10)의 아래측부상에는, 안내 슬롯(37)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돌출부(38)가 있다. 슬라이드(10)의 이동 범위는 안내 슬롯(37)의 길이로 한정된다.
상부 클램프부재(23)에는,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압축 스프링(27)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하방으로 당기기위해 무단 로우프(33)가 매달리는 지지핀(39)이 있다.
사용시, 슬라이더 호울더(11)에 보유된 슬라이더(S)를 통하여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선단부들이 삽입된 다음 스트링거 정렬수단(19)에 의해 측방으로 정렬되며, 이때 상부 클램프부재(23)는 무단 로우프(33)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선단부들을 그들의 정렬된 위치에 유지한다. 계속해서,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선단부들이 이같이 클램프되면, 슬라이드(10)가 압축 스프링(35)의 바이어스를 거슬러 전진 위치로 압압된다. 그후, 견인력과 미는 힘에서 자유롭게될때, 상부 클램프부재(23)와 슬라이드(10)는 각자 압축 스프링들(27,35)의 바이어스하에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제10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호울더(11)가 고정되고, 클램프(22)는 그 슬라이더 호울더(11)로부터 먼쪽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더 호울더(1l)는 기부(4)에 고정된 기다란 아암(40)의 일단부상에 제공된다. 미끄럼 부재(41)가 기다란 아암(40)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고, 안내 슬롯(37)에 미끄럼 수용되는 정지핀(38)을 갖는다. 미끄럼 부재(41)의 이동범위는 안내 슬롯(37)의 길이로 국한된다
미끄럼 부재(41)는 평상시 압축 스프링(42)에 의해 슬라이더 호울더(11)쪽으로 밀려있다.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클램프(22)가 미끄럼 부재(41)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다. 캠 폴로어 로울러(30)가 상부 클램프부재(23)상에 지지된다.
작동부재(43)가 기부(4)의 상부 부위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고, 평상시 인장스프링(9)에 의해 슬라이더 호울더측부 쪽으로 밀려 있다. 작동부재(43)의 전진이동은 그 작동부재(43)의 후단부 부위에 형성된 계단진 부위에 의해 제한된다. 작동부재(43)의 전방단부 부위에는, 상부 클램프부재(23)상에 지지된 캠 폴로어 로울러(30)와 결합가능하고 하방으로 향한 캠면(44)과 그 캠면(44)과 이어져 있고 역시 캠 폴로어 로울러(30)와 결합가능한 하향 돌출부(45)가 있다. 피봇핀(48)이 작동부재(43)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벨 크랭크(46)의 일단부에 형성된 종방향 슬롯(47)에 수용된다. 무단 로우프(33)가 벨 크랭크(46)의 다른 단부에 매달려 있다.
사용시, 대향 스트링거들(F1,F3)의 선단부들은 슬라이더 호울더(11)안에 유지되는 슬라이더(S)를 통해 꿰여진 다음 스트링거 정렬수단(19)에 의해 나란히 정렬되고, 그후 무단 로우프(33)가 아래로 당겨져 인장스프링(9)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작동부재(43)를 뒷쪽으로 이동시킨다.
그결과, 캠 폴로어 로울러(30)가 캠면(44)에서 구름 운동함에 따라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선단부들을 보유하기 위해 상부 클램프부재(23)가 아랫쪽으로 이동된다.
작동부재(43)가 계속 하향 운동하면, 암,수 하지구 절반부들(B1,B2)과 여러 말단 파스너 엘레멘트들(E)이 결합될때까지 스트링거 정렬수단(19) 및 클램프(22)와 함께 미끄럼부재(41)가 기부(4)쪽으로 이동된다. 무단 로우프(33)에 대한 하향 견인력이 없어지면, 인장 스프링(9)의 바이어스 때문에 작동부재(43)가 그의 전진 위치로 되돌아가고, 따라서 압축 스프링(42)의 바이어스하에 스트링거 정렬수단(19) 및 클램프(22)와 함께 미끄럼부재(41)가 그들의 전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캠 폴로어 로울러(30)가 캠면(44)과 작동부재(43)의 하향 돌출부(45)로 부터 벗어남에 따라 상부 클램프부재(23)도 그의 상승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적으로는 슬라이더를 통해 꿰여진 대향 스트링거들의 선단부들이 스트링거 정렬수단에 의해 나란히 정렬되고 클램프에 의해 그들의 정렬된 위치에 유지되며 그후 슬라이더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암,수 하지구 절단부들과 여러 말단 파스너 엘레멘트들이 결합할때까지 슬라이더 호울더 및 클램프를 서로 떨어지게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링거들의 이탈이나 오결합 없이 쉽고 신뢰성있게 슬라이더를 대향 스트링거들에 끼울 수 있다.

Claims (15)

  1. (a) 1쌍의 스트링거(F1,F2)의 종방향 경로에 배치된 슬라이더 호울더(11)와, (b) 슬라이더(S)를 통해 꿰여진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각 선단부들을 서로 나란히 정렬시키기 위해 종방향 경로에서 상기슬라이더 호울더(11)의 하류쪽에 배치된 스트링거 정렬수단(19) 및 (c) 대향 스트링거들(F1,F2)을 그들의 상대 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와 상기 스트링거 정렬수단(19)사이에 배치되고, 스트링거들(F1,F2)의 종방향 경로를 따라 서로 멀어지게 슬라이너 호울더(11)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는 클램프(22)로 구성되는, 슬라이더 파스너(F)용 슬라이더(S)를 1쌍의 스트링거(F1,F2)에 꿰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2)와 스트링거 정렬수단(19)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는 상기 클램프(22) 및 스트링거 정렬수단(19)에서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가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22)와 스트링거 정렬수단(19)은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에서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클램프(22)가 배치되어 있는 고정된 기부(4)와, 그 기부(4)상에 종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가 배치되는 기다란 슬라이드(10)를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 정렬수단(19)은 상기 기부(4)상에 형성된 계단진 부위와, 대향 스트링거들(F1,F2)의 선단부들이 맞닿게 되는 직립 면을 가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2)는 상기 기부(4)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클램프부재(23), 상기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슬라이더 호울더(11)사이 위치에서 상기 기부(4)상에 셩형된 하부 클램프부재(24), 및 평상시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상기 하부 클램프부재(24)에서 멀어지게 윗쪽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27)을 가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27)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상기 하부클램프부재(24)로 향해 아랫쪽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를 이동시키는 상기 수단은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에 장착된 지지핀(39)과,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아랫쪽으로 당겨주기 위해 상기 지지핀(39)에 매달려 있는무단 로우프(33)를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l0)는 평상시 제2스프링(35)에 의해 쑥들어간 위치쪽으로 밀려 있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27)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상기 하부클램프부재(24)를 향해 아랫쪽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가 상기 클램프(22)에서 멀어지게 움직이도록 상기 슬라이드(10)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기부(4)의 각 측부에 하나씩 사실상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제각기 캠 슬롯(13)이 있는 1쌍의 평행한 캠판들(5,5), 평상시 상기 캠판들(5,5)각자를 윗쪽으로 밀어주는 제3스프링(9), 상기 제3스프링(9)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상기 캠판들(5,5)을 아랫쪽으로 당겨주기 위해 그 캠판들(5,5)에 매달려 있는 무단 로우프(33),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로부터 뻗어있고 상단부와 하류쪽에 캠면(29)이 있는 직립 돌출부(28), 상기 캠판들(5,5)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캠판들(5,5)이 아랫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9)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상기 하부 클램프부재(24)쪽으로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아랫쪽으로 밀어주도록 캠면(29)과 맞물릴 수 있는 캠 폴로어 로울러(30), 및 상기 슬라이드(10)의 다른쪽 단부에 장착되고 제각기 상기 캠 슬롯(13)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1쌍의 클로어 핀들(12,12)을 포함하고, 상기 캠슬롯(13)은 상기 슬라이드(10)의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하부 부위(14)와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쪽으로 경사진 상부 부위(15)를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고정된 기부(4), 그 기부(4)에 고정외고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가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아암(40) 및 상기 기다란 아암(40)에 이끄럼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트링거 정렬수단(19)과 상기클램프(22)가 배치되어 있는 미끄림부재(41)를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2)는 상기 미끄럼부재(41)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명상시 윗쪽으로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는 상부 클램프부재(23)와,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와 스트링거 정렬수단(19)사이 위치에서 상기 미끄럼부재(41)상에 형성된 하부 클램프부재(24)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프부재(24)를 향해 아랫쪽으로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에서 멀어지게 상기 미끄럼부재(41)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기부(4)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에 하방으로 향한 캠면(44)과 상기 캠면(44)에 연접한 하향 돌출부(45)를 가진 작동부재(43),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에서 멀어지게 상기 작동부재(43)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단부에서는 상기 작동부재(43)의 다른쪽 단부에 그리고 하단부에서는 무단 로우프(3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벨 크랭크(46), 및 상기 상부 클램프부재(23)에 지지되고, 상기 작동부재(43)가 상기 슬라이더 호울더(11)에서 멀어지게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캠면(44) 및 하향 돌출부(45)와 맞올릴 수 있는 캠 폴로어 로울러(30)를 포함하는 장치.
KR1019880000931A 1987-02-03 1988-02-02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에 꿰는 장치 KR900007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341 1987-02-03
JP62-24341 1987-02-03
JP62024341A JPH074292B2 (ja) 1987-02-03 1987-02-03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通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04A KR880009604A (ko) 1988-10-04
KR900007070B1 true KR900007070B1 (ko) 1990-09-28

Family

ID=1213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931A KR900007070B1 (ko) 1987-02-03 1988-02-02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에 꿰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99313A (ko)
JP (1) JPH074292B2 (ko)
KR (1) KR900007070B1 (ko)
AU (1) AU583201B2 (ko)
DE (1) DE3803016A1 (ko)
ES (1) ES2006835A6 (ko)
FR (1) FR2610180B1 (ko)
GB (1) GB2200687B (ko)
IT (1) IT12189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06769D0 (en) 2003-03-25 2003-04-30 Voith Fabrics Heidenheim Gmbh Composite press felt
DE102007055902A1 (de) 2007-12-21 2009-06-25 Voith Patent Gmbh Band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Bahn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2062A (en) * 1979-03-13 1980-09-17 Lightning Fasteners Ltd Apparatus for mounting a slider and providing a bottom end stop on sliding clasp fastener stringers
JPS58221903A (ja) * 1982-06-19 1983-12-2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ー自動組立工程におけるスライダー自動挿通方法およびスライダー自動挿通装置
US4603431A (en) * 1983-03-14 1986-07-29 Ana 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ctorizing documents and symbol recognition
JPS6179407A (ja) * 1984-09-26 1986-04-2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開離嵌插具付スライドフアスナ−のスライダ−插通装置
CA1270953C (en) * 1986-05-23 1990-06-26 CURVE APPROXIMATION METHOD
AU601707B2 (en) * 1986-12-24 1990-09-20 Leigh-Mardon Pt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 reproducing graphical patterns or sign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06835A6 (es) 1989-05-16
JPS63192403A (ja) 1988-08-09
FR2610180A1 (fr) 1988-08-05
AU583201B2 (en) 1989-04-20
IT1218993B (it) 1990-04-24
GB8802348D0 (en) 1988-03-02
GB2200687B (en) 1990-06-13
IT8867073A0 (it) 1988-02-03
JPH074292B2 (ja) 1995-01-25
US4799313A (en) 1989-01-24
KR880009604A (ko) 1988-10-04
FR2610180B1 (fr) 1992-03-20
DE3803016A1 (de) 1988-09-08
AU1116888A (en) 1988-08-11
GB2200687A (en) 1988-08-10
DE3803016C2 (ko) 199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7076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pair of fastener elements
US4640281A (en) Tourniquet
KR870001641B1 (ko) 1쌍의 직물편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봉하는 방법 및 장치
KR90000707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1쌍의 스트링거에 꿰는 장치
US4404722A (en) Apparatus for forming a space section in a pair of continuous slide fastener stringers
EP0172546B1 (en) A space por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 fastener chain
US462539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directionally openable slide fasteners
JP2002306212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仕上げ装置
US483995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ttaching top stops to slide fastener chain
CA1201882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having separable end stop
CA1241360A (en) Gripper mechanism for feeding elongate strips
EP009734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hreading separable slide fastener stringers through sliders
TWI616153B (zh) 拉頭保持裝置
KR880001205B1 (ko) 이탈가능한 슬라이드파스너의 커넥터의 장착방법 및 장치
US4293994A (en) Slidering method and apparatus
JPS6179407A (ja) 開離嵌插具付スライドフアスナ−のスライダ−插通装置
WO2023209892A1 (ja) スライダー通し装置及び方法
JPH02170499A (ja) リード線付電子部品の自動挿入装置
EP0025184A1 (en) Slider retainer apparatus
EP0171743B1 (en) Device for positioning slide fastener stringers in fastener finishing apparatus
KR830001622B1 (ko) 파스너 체인의 스페이스 작성장치
JPH07333285A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H02200332A (ja) 接点素材切断移送装置
JPH07227771A (ja) 止め輪のデイスペ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