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025B1 - 차폐(遮蔽)케이블용 어쎔블리 - Google Patents

차폐(遮蔽)케이블용 어쎔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025B1
KR900007025B1 KR1019870003853A KR870003853A KR900007025B1 KR 900007025 B1 KR900007025 B1 KR 900007025B1 KR 1019870003853 A KR1019870003853 A KR 1019870003853A KR 870003853 A KR870003853 A KR 870003853A KR 900007025 B1 KR900007025 B1 KR 90000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s
electrical
blee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265A (ko
Inventor
스코트 굳 로버트
죠셉 스컬리 미첼
유제니 젤코 윌리엄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 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1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폐(遮蔽)케이블용 어블리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넥터 어
Figure kpo00002
블리의 분해된 투시도이다.
제 2 도는 조립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03
블리의 투시도이다.
제 3 도는 콘넥터 어
Figure kpo00004
블리가 다른 장치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4 도는 각 도선이 평면상태로 배치된 것을 나타낸 벗겨진 케이블 끝부분의 투시도이다.
제 5 도는 도선에 대한 단말처리가 실시되기 전의 콘넥터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제 6 도는 도선에 대한 단말처리가 실시된 이후의 콘넥터를 나타낸 제 4 도와 유사한 투시도이다.
제 7 도는 제 2 도의 7-7선을 따라서 본 외각에 장치된 내부변형 제거수단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8-8선을 따라서 본 케이블의 도선의 경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제 9 도는 콘넥터단자의 단말처리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변형 구체예를 나타내는 분해된 투시도.
제11도는 변형된 제 2 의 구체예에 따라 조립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05
블리의 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을 따라서 본, 리본 케이블의 경로를 나타내는 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 :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06
블리 4 : 다중도선케이블
6 : 다중접점암콘넥터 8 : 다중접점숫콘넥터
10,12 : 외각(外殼) 14 : 케이블의 도선
16 : 케이블의 금속외장(外裝) 20 : 케이블의 외피(外皮)
22,24 : 접착대(接着帶) 28 : 도선위치부품
30 : 콘택트 수용부품 36 : 아아치형의 홈
38 : 단자수용홈 52,59 : 전기단자의 접속부분
53 : 단말처리부분 57 : 전기단자
74 : 외각의 케이블수용구멍 76,78 : 변형제거대(.点)
84 : 케이블간직고리 86 : 좌나사
201 : 전기리본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07
블리 205 : 리본 케이블
206,208 : 다중접점콘넥터 210,212 : 외각
275 : 변형제거수단 277 : 변형제거수단의 윗판
279 : 변형제거수단의 아랫판 283 : 변형제거용 작은돌기
286 : 잭나사
본 발명은 많은 도선을 가진 케이블을 다중접점 콘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08
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히 말하면 차폐된 도선을 다중 접점 콘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내부변형 제거수단(intemal strain relief means)을 가진 차폐된 어
Figure kpo00009
블리에 관한 것이다.
흔히 다중도선(多重導線)케이블을 몇개의 통신장치나 혹은 기타 그와 같은 형식의 케이블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흔히 한쌍의 다중접점(多重接,点) 콘넥터를 배합(背合)하도록 정돈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킨 다음, 수용되는 다중도선 케이블에 연결시킨다. 이런형식의 콘넥터는 산업계에서잘 알려져 있으며 미국특허 제4,398,780호에도 나타나 있다. 이 특허는 통신 케이블등에 사용하는 차폐된 전기 콘넥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케이블은 도선을 전자장해(電磁障害)의 간섭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하여, 금속박(箔) 또는 금속끈으로 닿은 금속외장(外裝)을 갖고 있다. 도선들은 콘넥터에 단말처리하기 위하여 케이블 끝부분을 벗겨 노출되고, 따라서 콘넥터의 하우징이 콘넥터를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그 노출된 도선을 차폐하게 된다. 이것은 콘넥터와 도선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금속제 외각(外殼)으로 만듬으로써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명품과 기타 일반적인 선행기술의 것들은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경비가 많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발명품이 적절히 작용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각 도선이 콘넥터의 적절한 단자에 배치되어 그곳에 단말처리 되어야 한다. 이 작업은 노력이 매우 많이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재함(積載函)"모양의 차폐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0
블리(a"Piggyback"shielded cable assembly)를 만들되, 제작에 필요한 노동력을 대폭 줄여서 신속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1
블리를 만들되 그 안에 있는 다중도선 케이블의 도선이 평면상태로 배치되고 각 도선은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데 고정 방법에는 접착대(接着帶)를 사용하거나 절연체에 열을 가하여 접착시키거나 혹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등이 있다. 전기 콘넥터의 전기단자들이 간격을 둔 위치에서 각 도선에 집단적으로 단말처리된다. 콘넥터는 서로 배합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 부재안에 고정되는데, 그 하우징은 한쌍의 외각이 서로 배합하도록 잭나사에 의해서 고정된 것이다. 잭나사와 나사가 통과하는 외각의 구멍은 이렇게 외각을 서로 고정시킬 뿐 아니라 전기 콘넥터를 서로 배합하는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중도선 케이블은 둥근 단면의 차폐된 케이블일 수 있고, 하우징부재는 콘넥터를 위한 차폐물이 되고, 콘넥터는 전기적으로 하우징부재에 연결된다. 케이블의 다른 종류로서는 차폐된 리본 케이블일 수도 있다.
하우징부재는 또한 케이블과 케이블수용구멍이 맞물릴때 내부변형을 제거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그 구멍은 케이블과 서로 작용하여 먼지같은 것이 하우징 내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밀봉상태를 형성한다.
제 1 도에서, 차폐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2
블리(2)가, 본 발명에 따라, 차폐된 다중도선 케이블(4)를 다중접점숫(雄)콘넥터(8)과 다중접점암(確)콘넥터(6)에 연결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중접점콘넥터(6,8)은 암 수 양성의 외각(10,12)속에서 서로 배합한 상태로 고정된다.
케이블(4)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케이블로서, 다수의 절연된 도선(14)을 가지고 있고, 그 도선들은 금속박(箔)(18)을 둘러싼 금속끈으로 짠 도전성(導電'性) 외장(l6)안에 싸여 있다. 외장(6)은 플라스틱재료의 외피(外皮)(20)안에 싸여 있다. 케이블(4)의 한쪽끝은 개개의 도선(14)가 노출되도록 벗겨진다. 노출된 개개의 도선(14)는 색깔로 구별된 절연체로 피복되고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정된 평면모양이 되도록 펼쳐진다. 이때 색깔로 구별할 수 있도록 피복한 도선이 케이블의 반대쪽끝에 있는 색구별 피복의 도선과 부합되도록 한다. 도선(14)는 접착대(22,24)에 의하여 간격을 둔 위치에서 예정한 평면모양을 유지토록 되어 있다. 대안(代案)으로서 도선(14)는 절열체를 가열하거나 혹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제자리를 유지케할 수 있다. 접착대(22,24)나 절연체의 가열접착이나 또는 절연체의 화학적 접착은 개개의 도선을 평면상태로 유지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 도선들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중접점 콘넥터(6,8)에 연결된다. 다중 접점콘넥터(6,8)은 미국특허 제3,820,055호에 발표된 형식의 것이며, 그 대용이 여기서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각 다중접점콘넥터(6,8)은 견고한 절연성 재료로 만든 하우징(25,26)을 갖고 있고. 각 하우징(25,26)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선 위치부품(28)과 콘넥트 수용부품(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도선위치 부품(28)은 아랫면(32)와 윗면(34)를 갖고 있다. 각 윗면(34)는 도선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아아치형의 홈(36)이 있어 케이블(4)의 개개의 도선(14)를 수용하게 되어 있다. 도선 수용홈(36)의 수는 케이블(4)에 있는 개개의 도선(14)의 수에 해당된다. 엇갈리게 배치된 복수의 홈(38)이 각 도선수용홈(36)과 관련하여 아랫면(32)로부터 윗면(34)까지 뚫려 있다. 단자수용홈(38)의 수는 케이블(4)의 개개의 도선(14)의 수에 해당된다. 홈(38)은 제 9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전기단자의 단말처리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각 도선 위치부품(28)의 각 끝에는 윗면(34)에서 뻗어나온 측벽(40)이 있다. 측벽(40)은 한쌍의 챤넬(41)과 홈(42)를 갖고 있고, 홈(42)는 아랫면(32)에서 측벽(40)의 윗면(43)까지 뚫려 있다.
콘넥터(6,8)의 콘넥트 수용부품(30)은 금속제의 윗면판(44)를 갖고 있고, 그 판은 또한 D형의 돌출부(45)을 갖고 있다. 윗면판(44)는 윗부분(30)의 측벽(47)에서 뻗어나온 후랜지(46)에 고정된다. 후랜지(46)에 있는 구멍(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은 윗면판(44)의 구멍(48)과 일치되어 나사(49)가 삽입되도록 한다(제 1 도).
콘넥터(6,8)은 하우징(25,26)안에 있는 단자(57)에 관하여 서로 다르다. 콘넥터(6)은 돌출부(45)안에 위치한 D형 부분(5l)의 구멍(50)에 배치된 암(雌)형의 접촉부분(59)가 있는 단자를 갖고 있고, 콘넥터(8)은 D형 돌출부(45)에 배열된 숫(雄)형의 접촉부분(52)이 있는 단자를 갖고 있다. 그러나 각 단자(57)은 동일한 단말처리부분(53)을 갖고 있다(제 9 도). 단말처리 부분(53)은 간격을 둔 두개의 암(94)을 갖고 있는데 이것이 절연체를 밀어 내고 도선과 물리는 홈(96)을 형성한다. 홈(96)의 입구는 단말처리될 도선(14)가 유도되도록 점점 좁아지게 만들어져 있다. 암(arm)(94)는 가시가 달린 끝(98)을 갖고 있어 도선 위치부품(28)과 협력하여 부품(28,30)을 서로 고정시키는데,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형식을 보였지만 어떠한 형식의 암수콘넥터의 짝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외각(l0,12)는 서로 같은 모양이고 다이캐스트(dye cast)에 의하여 주조한 아연으로 만들고 그것을 도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닉켈이나 구리로 도금한다.
제 1 도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외각(10,12)는 밑바닥 벽(54), 측벽(55) 및 끈면 벽(57)을 갖고 있다. 내부함몰부분(56)이 밑바닥벽(54)에 만들어져 있다. 이 내부함몰(陷沒)부분에는 구멍(58)이 있어, 적절한 콘넥터(6,8)의 D형 돌출부(45)가 외각(10,12) 밖으로 뻗어나와 돌출부(45) 및 단자와 접촉부분이 상대방 짝의 콘넥터의 돌출부 및 접촉부분과 맞물리게 되어 있다.
밑바닥벽(54)에 대각선 방향으로 두개의 모퉁이에 구멍(60)이 만들어져 있다. 나머지 두개의 모퉁이에는 돌기(62)가 있는데 나선이 난 구멍(64)가 돌기(62)의 내부끝(66)에서 외각(10,12)의 바깥 표면까지 뚫려 있다. 구멍(60,64)는 나사(68)과 협력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각(10,12)를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바깥턱(70)과 안턱(72)가 측면벽(55) 및 끝면 벽(57)의 꼭대기에 만들어져 있어서 외각을 맞출때 또한 서로 작용한다.
외각(10,12)는 타원형의 케이블 수용구멍(74)를 형성한다. 밑바닥벽(54)에는 구멍(74)옆에 돌출한 아아치형의 변형제거 받침대(76)이 있는데 그 한쪽끝면은 돌기(62)에 부착되어 있다. 또 하나의 변형제거 받침대(78)이 받침대(76)의 안쪽에 마련되어 있다. 도선 방향가이드(80)들이 받침대(78)의 안쪽, 밑바닥벽(54)에 그리고 구멍(82)의 양쪽에 만들어져 있어 도선(14)를 구멍(82)의 어느 한쪽 옆으로 안내한다. 케이블간직고리(84)가 케이블(4)의 외피(20)에 고정된다. 간직고리(84)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74)와 첫번째 변형 제거 받침대(76) 사이에 위치한다.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끝에 머리가 큰 닛트(88)를 가진 잭나사(86)이 정돈된 구멍(82)에 삽입되고 나사(86)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하여 나사(86)의 홈(92)에 E모양의 고리(90)이 채워진다. 잭나사(86)은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3
블리(2)를 적재함이나 혹은 배합한 모양으로 쌓아 올릴수 있게 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점은 조립하는 절차이다. 외피(20), 외장(16) 및 금속 박(18)을 케이블(4)의 끝부분에서 벗긴다. 다음에 색깔로 구별된 개개의 도선(14)을 제 4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예정한 평면모양으로 배열한다. 케이블(4)에 있는 개별도선(14)의 수는 전형적인 콘넥터에 있어서 9개 내지 50개가 된다. 이와 같이 도선(l4)를 미리 구성하여 놓으면 케이블(4)의 반대쪽끝에 있는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4
블리에 대해서는 물론,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5
블리(2)에 대하여도 그 도선이 적절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선(14)사이의 간격은 그 도선(14)가 연결되는 콘넥터(6,8)의 형식에 따라 변할 것이다. 그래서 도선(14)의 간격을 콘넥터(6,8)안에 있는 단자의 간격과 일치시켜야 한다. 도선(14)가 조직화되고 간격이 결정되면 구성된 도선의 평면모양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접착대(22,24)가 도선(14)에 부착된다. 접착대(22,24)는 도선(14)가 간격을 둔 상태로 그리고 도선(14)의 축 방향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서 도선(l4)들 위에 부착된다.
다음에 도선(l4)를 콘넥터(6,8)과 더불어 단말처리한다. 콘넥터(6,8)은 접착대(22,24)가 부착되어 있는곳 즉,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도선위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면 도선(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콘넥터(6,8)은 시설여하에 따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도선(14)에 단말처리될 수있다. 콘넥터(6,8)의 도선 위치부품(28)을 도선(14)와 접촉시킨다. 하우징(28)의 도선 수용홈(36)이 도선(l4)와 접촉하여 그 안에서 그들을 안내한다. 각 홈에 한개씩의 도선을 놓고 콘넥터(6,8)의 콘텍트 수용부품(30)을 강제로 눌러 도선(14) 및 도선위치부품(28)과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하우징(28,30)은 미국특허 제3,820,055호에 발표된 바와 같이, 단자의 단말처리부분이 도선(14)와 전기적인 접촉을 이룰때 랫치작용으로 서로 연결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콘텍트수용부품(30)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각 단말처리부분(53)의 암(94)의 윗쪽끝부분이 도선(14)의 절연체를 뚫고 들어간다. 하강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도선(14)들은 홈(96)의 안쪽끝으로 밀려들어가서 홈의 좁은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암(94)가 도선(14)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된다. 암(94)의 바깥 날이 단자수용홈(38)과 맞물려서 암(94)를 안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완전한 전기접촉을 이루게 한다. 가시가 달린 끝부분(98)이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38)과 통하는 움푹들어간 곳(91)의 바닥 표면과 접촉하여 부품(28,30)을 서로 고정하게 한다.
다음에 콘넥터(6,8)를 배합된 의치로 놓고 제1, 7도에 보인 바와 같이 구멍(48)에 끼워 맞춘 나사(49)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된다. 케이블(4)의 도선(14)와 콘넥터(6,8)은 다음에 외각(10,12)안에 넣는다. 외각(10,12)가 맞춰질때 케이블(4)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아치형의 변형제거 받침대(76,78) 및 구멍(74)위에 놓여진다. 고리(84)는 구멍(74)와 받침대(76)사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외각이 이제 닫친 위치가되면 나사(68)을 구멍(60)에 삽입하여 돌기(62)의 나선을 낸 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외각(10,12)가 서로 맞물리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맞춘 위치에서는 받침대(76,78) 및 구멍(74)는 케이블(4)보다 좁은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블(4)는 받침대(76,78) 및 구멍(74)에 의하여 눌리게 되고, 그림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4)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 압축은 케이블(4)로 하여금 구멍(74)와 더불어 밀봉상태를 형성케하고 따라서 먼지같은 것이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6
블리(2)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4)가 축방향으로 더 확실하게움직이지 못하도록, 고리(84)를 설치하여 케이블이 밀리고 당겨짐에 따라 그 고리(84)가 끝면벽(57) 혹은 받침대(76)에 닿게 함으로서 케이블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 맞춰진 위치에서 콘넥터(6,8)의 금속판(44)는 외각(10,12)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있고, 한편 외각(10,12)의 받침대(76)은 케이블(4)의 도전성의 외장(外裝)(16)과 접촉을 이루고 있다. 이리하여 외각(10,12) 및 금속판(44)는 케이블 외장과 전기적으로 하나가 되고 중단됨이 없이 연속적인 차폐가 이루어진다.
잭나사(86)이 마련되어 있어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7
블리를 미국특허 제4,398,780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합하거나 혹은 적재함의 모양으로 쌓아 올릴 수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긴 잭 나사(86)이 외각(10,12)에 있는 구멍(82)를 통과 한다. 각 나사(86)의 나선이 있는 끝이 다른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8
블리(2)에 설치된 다른 잭 나사(86)의 끝에 있는 해당 닛트에 맞춰진다. 이렇게하여 잭나사(86)과 외각(10,12)에 있는 구멍(82)는 외각(10,12)를 서로 고착시키는 수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기 콘넥터(6,8)을 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일단 조립이 되면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19
블리(2)는 다른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0
블리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3 도에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4)는 한쪽끝에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1
블리(2)를 부착시키고, 다른 끝에 다음에 설명될 직각으로 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2
블리(103)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하나의 주(主) 전자장치를 복수의 종(從)전자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개개의 종전자 장치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다. 한가지 예로서, 종장치(95)를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3
블리(2)에서 끊어도, 주장치(97)이나 종장치(99)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조직계통은 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주장치나 다른 종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개의 종장치를 수리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잇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각으로 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4
블리(103)이 케이블(4)에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5
블리(2)와 반대쪽끝에 연결되어 있다. 제10도에 보인 바와 같이 직각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6
블리(103)은 단하나의 콘넥터(106)만이 케이블(4)의 개개의 도선(14)에 단말처리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27
블리(2)와 비슷하다. 그러므로 단하나의 외각(110)만이 구멍(156)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외각(110)은 상술한 외각(10,12)와 같다. 다른쪽 외각(111)은 구멍(156) 대신에 돌기부(157)을 갖고 있다. 직각으로 된 어
Figure kpo00028
블리(103)이 조립될 때 돌기부(157)이 도선위치부품(128)과 닿아서 금속제 윗면판(144)와 외각(110)이 전기 적접촉을 이루고 계속적인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콘넥터(106)의 위치를 잡아둔다. 잭나사(286)은 어
Figure kpo00029
블리(103)으로 하여금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어
Figure kpo00030
블리(2,103)에 적재함의 모양으로 쌓아 올릴 수 있게 만든다.
변형구체예로서,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31
블리(201)를 제11도 및 12도에 도시하였다. 이 구체예에서 둥근단면의 케이블(4) 대신에 평행하게 배열한 전선(214)를 절연체로 피복한 리본케이블(214)가 사용되었고 이것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각(210,212)의 옆면으로부터 들어간다. 변형제거 수단(275)는 상술한 변형제거장치와 모습이 다르다.
변형제거장치(275)는 제11도에 보인 바와 같이 외각(210,212)에서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 따라서 외각(210,212)는 암수공동체가 된다.
변형제거수단(275)는 윗판(277)과 밑판(279)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외각(210,212)와 한몸으로 되어 있고 또 내면(281)을 갖고 있다. 판(277,279)의 내면(231)에는 서로 마주보는 작은돌기(283)이 있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205)와 맞물리게 된다. 작은돌기(283)은 케이블(205)를 붙잡아 변형제거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동을 방지한다. 구멍(285)가 윗판(277)과 밑판(279)에 만들어져 있다. 돌출부(293)이 판(277,279)끝에서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 돌출부(293)에는 지름을 줄인 구멍이 나 있다. 구멍(285,287)들은 한판의 구멍(285)가 다른판의 구멍(287)과 일치되도록 위치한다. 나사(295)를 구멍(285,287)에 나선를 통하여 삽입하고, 변형제거수단(275)를 케이블(205)에 고착시킨다. 대안으로서 구멍(287)이 줄여진 지름으로 되어 있고, 스스로 선을 깍아내면서 들어가는 나사와 서로 작용하여 나사못이 삽입될때 나사못의 나사가 구멍(287)에 나선을 만들면서 물리게 되고 변형제거수단(275)를 케이블(205)에 고착시킨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리본케이블(205)가 차폐된 케이블인 경우 하우징(210,212)의 변형제거장치(275)의 작은돌기(283)이 차폐된 케이블과 접촉을 이루어 변형제거수단(275)와 외각(210,212)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공동체가 되고 따라서 중단없는 계속적인 차폐를 보장한다.
잭나사(286)이 있어 콘넥터(206,208)를 배합된 상태로 고정시킬뿐 아니라, 어
Figure kpo00032
블리(201)을 상술한 바와같이 적재함모양으로 쌓아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에 예시한 변형제거수단의 구조가 필요없고 잭 나사(286)이 안쪽으로 이동되었으므로, 어
Figure kpo00033
블리(201)은 어
Figure kpo00034
블리(2)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접점의 콘넥터를 다중도선 케이블에 연결하는 전기 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35
블리에 관한 것이다. 다중도선 케이블의 개개의 절연된 도선은 평면대열로 배치되고 도선들은 대열중에서 서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한다. 도선사이의 간격은 다중접점 콘넥터의 콘텍트 간격에 해당한다. 절연도선의 평면대열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지점에서 고착시킨다. 하나의 콘넥터의 전기단자들은 도선축방향으로 거리를 둔 첫지점에서 도선에 집단적으로 단말처리한다. 또 하나의 콘넥터의 전기 단자들은 축방향으로 거리를 둔 두째지점에서 집단적으로 도선에 단말처리한다. 다음에 콘넥터들은 하우징 안에 넣어 배합된 배치로 고정된다. 그 하우징에는 또한 케이블을 위한 변형제거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Claims (13)

  1. 다중도선케이블(4)와 복수의 단자를 갖고 있는 콘넥터(6,8)이 있고, 상기 콘넥터를 배합(背合)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성하되, 다중도선케이블(4)의 개개의 절연된 도선(14)는 평면대열로 배치되며, 상기 도선(14)들은 상기 대열 가운데서 서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축방향으로 간격을 둔 장소에 개개의 위치에서 각 도선(14)에 단말처리되며 ; 및 콘넥터(6,8)를 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36
    블리(2).
  2. 제 1 항에 있어서, 개개의 도선을 고착시키기 위한 수단(22,24)가, 도선(14)에 적용한 접착제임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37
    블리(2).
  3. 제 1 항에 있어서, 개개의 도선(14)를 고착시키는 수단(22,24)가 도선(14)의 절연체를 가열하여 접착시키는 것으로 구성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38
    블리(2).
  4. 제 1 항에 있어서, 개개의 도선(14)를 고착시키는 수단(22,24)가 도선(14)의 절연체를 화학약품으로 정착시키는 것으로 구성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39
    블리(2).
  5. 제 1 항에 있어서, 개개의 도선(14)가 케이블(4)의 반대쪽끝에 있는 도선(14)의 배열에 해당하는 조직적인 방법으로 배열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0
    블리(2).
  6.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 도선케이블(4)가 둥근 단면의 차폐된 케이블(4)임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1
    블리(2).
  7. 제 6 항에 있어서, 금속제하우정(10,l2)가 콘넥터(6,8)을 덮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고, 그 하우징(10,12)는 차폐된 케이블(4)의 외장(16)의 외장(16)과 전기적으로 공통(共通)되어 있어 중단없는 차폐를 보장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2
    블리(2). ·
  8. 제 7 항에 있어서, 변형제거수단(76,78)가 마련되어 있어서, 케이블(4)를 잡아 변형제거작용을 하고, 그 변형제거수단(76,78)에는 케이블(4)의 외피(20)에 고정된 케이블 간직고리(84)가 있어, 케이블(4)의 외피(20)에 고정된 케이블 간직고리(84)가 있어, 케이블 간직고리(84)는 하우징(74,10,12)와 서로 작용하여 케이블(4)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3
    블리(2).
  9. 제 7 항에 있어서, 잭 나사(88)이 하우징(10,12)를 통하여 뻗어있어, 보충적(補充的) 전기콘넥터(6,8)들을 배합된 배치로 서로 연결하는 수단을 제공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4
    블리(2).
  10. 평행하게 배열된 전기도선(214)들이 서로 절연되어서 절연체의 피복속에 배치되어 리본 형태를 이루고 있는 전기케이블(205)와 전기단자수단들을 그안에 갖고 있는 전기콘넥터(206,208)이 있고, 상기 전기콘넥터 수단들이 배합된 배열로 고정되게 구성하되, 전기콘넥터수단(206,208)의 전기단자들은 케이블의 끝과 케이블의 끝으로부터 안쪽으로 떨어진 지점에서 케이블의 각 전선에 단말처리되고 ; 하우징수단(210,212)가있어, 콘넥터(206,208)들이 배합된 상태로 그 안에 배치되고 ; 하우징수단(210,212)가 있어, 콘넥터(206,208)들이 배합된 상태로 그 안에 배치되고 ; 하우징수단(210,212)와 콘넥터(206,208)을 서로 고착시키는 수단(286)과 , 및 변형제거수단(275,283) 이 하우징수단(210,212)에 마련되어 있어, 케이블(205)가 변형제거수단을 따라 뻗어 있게 되고, 케이블에 변형제거수단(275,283)가 물려서 변형제거를 이룩함을 또한 특징으로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5
    블리(201).
  11. 제10항에 있어서, 변형제거수단(275)는 금속제 윗판(277)과 금속제 밑판(279)로 구성되며 상하판(277,279)가 서로 마주보는 작은돌기(283)를 갖고 있어, 변형 제거수단(275)가 케이블(205)에 고착될때, 케이블(205)와 닿게 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6
    블리(201).
  12. 제l1항에 있어서, 리본케이블(205)가 차폐되어 있음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7
    블리(201).
  13.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수단(210,212)들이 금속제이고, 변형제거수단(275)를 통하여, 차폐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공통되어 계속적인 차폐를 보장함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용 어
    Figure kpo00048
    블리(201).
KR1019870003853A 1986-04-25 1987-04-22 차폐(遮蔽)케이블용 어쎔블리 KR900007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0,610 1986-04-25
US06/856,610 US4701139A (en) 1986-04-25 1986-04-25 Shielded cabl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265A KR880013265A (ko) 1988-11-30
KR900007025B1 true KR900007025B1 (ko) 1990-09-27

Family

ID=2532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853A KR900007025B1 (ko) 1986-04-25 1987-04-22 차폐(遮蔽)케이블용 어쎔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01139A (ko)
EP (1) EP0243150B1 (ko)
JP (1) JPH0828252B2 (ko)
KR (1) KR900007025B1 (ko)
BR (1) BR8701940A (ko)
DE (1) DE3780065T2 (ko)
ES (1) ES203282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99B1 (ko) * 2017-11-21 2018-07-02 이기석 모형별 겸용 사용구조를 갖는 커넥터 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125A (en) * 1987-08-31 1989-02-28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diecast housing and drawn shell
US4891020A (en) * 1988-03-28 1990-01-02 Thomas & Betts Corporation Low profile metal shell electrical connector
CA2011393A1 (en) * 1989-03-31 1990-09-30 Wayne S. Davis Back-to-back stackable connector for interface bus
US4902242A (en) * 1989-05-31 1990-02-20 Amp Incorporated Panel mount, cable terminable connector with die cast housing and drawn shell
GB2236437B (en) * 1989-09-08 1994-07-13 Amp Great Britain Detonator connector system
US5009614A (en) * 1990-05-31 1991-04-23 Amp Incorporated Shielded cable assembly with floating ground
US5524338A (en) * 1991-10-22 1996-06-11 Pi Medic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mplantable microelectrode
US5211578A (en) * 1992-05-18 1993-05-18 Amp Incorporat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for discrete wires
US5272807A (en) * 1992-05-18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to electrical conductors
GB9212654D0 (en) * 1992-06-15 1992-07-29 Amp Great Britain A detonator harness unit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ES2079291B1 (es) * 1992-11-10 1997-07-01 Whitaker Corp Un conjunto de conectador electrico.
US5902147A (en) 1997-03-07 1999-05-11 Circuit Assembly Corp.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grounding bus
US5971793A (en) * 1997-06-12 1999-10-26 Circuit Assembly Corp.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DE19744754C1 (de) * 1997-10-10 1999-03-11 Hoelzle Dieter Tech Projekte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Flachbandkabel
US6580034B2 (en) 2001-03-30 2003-06-17 The Ludlow Company Lp Flexible interconnect cable with ribbonized ends
US6604959B2 (en) * 2002-01-14 2003-08-1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termination tool
WO2007042359A1 (de) * 2005-10-12 2007-04-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pulsweitenmodulierten leistungspulsen für den motor eines lüfters
JP4762002B2 (ja) * 2006-02-27 2011-08-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129630B2 (en) * 2007-02-28 2012-03-06 Finisar Corporation Angular seam for an electronic module
KR101294430B1 (ko) * 2011-09-02 2013-08-07 주식회사 팬택 Usb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usb 모뎀
US10186789B1 (en) 2018-04-13 2019-01-22 Rustcraft Industries LLC Keyed cable and connector system
JP2022177649A (ja) * 2021-05-18 2022-12-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20230110836A1 (en) * 2021-10-07 2023-04-13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ted Ground Piercing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276A (en) * 1973-10-17 1975-04-08 Bunker Ramo Multi-contact connector cover assembly
US3920306A (en) * 1974-10-02 1975-11-18 Amp Inc Tap connections for multi-conductor cables
US4460230A (en) * 1979-02-23 1984-07-17 Trw Inc. Connector hood constructions
CA1117199A (en) * 1979-07-03 1982-01-26 Lawrence G. Novotny Electrical connector
US4398780A (en) * 1979-07-03 1983-08-16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4534608A (en) * 1984-05-21 1985-08-13 Sperry Corporation Shielded connector shell for flat cable
US4576662A (en) * 1984-11-05 1986-03-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locating and connecting individual conductors in a multi-layer concentric lay c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99B1 (ko) * 2017-11-21 2018-07-02 이기석 모형별 겸용 사용구조를 갖는 커넥터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0065D1 (de) 1992-08-06
ES2032822T3 (es) 1993-03-01
EP0243150B1 (en) 1992-07-01
DE3780065T2 (de) 1993-02-18
JPH0828252B2 (ja) 1996-03-21
KR880013265A (ko) 1988-11-30
JPS62262381A (ja) 1987-11-14
US4701139A (en) 1987-10-20
EP0243150A1 (en) 1987-10-28
BR8701940A (pt) 198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025B1 (ko) 차폐(遮蔽)케이블용 어쎔블리
FI109559B (fi) Suuritiheyksinen kaapeliliitin
US4533199A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US4508415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10109937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EP0072063B1 (en) Double or triple row coax cable connector
KR880002192B1 (ko) 차폐 케이블용 전기 접속기
EP0907221B1 (en) Cable interconnection
US4094564A (en) Multiple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KR100256927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 접속 시스템
JP252566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端カバ―
KR0141092B1 (ko) 원형 din 전기 콘넥터
KR0170028B1 (ko) 소 피치 이중 열 판 커넥터
KR970004152B1 (ko) 전기 접속기용 케이블 차폐 종단 장치
US4533193A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having alignment & stabilizing means
EP0125760A1 (en) Connector plug having shielding enclosure
US4458967A (en) Connector for shielded flat cable
EP0429962B1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loading same
US4902241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US5281170A (en) Round-to-flat shielded connector assembly
EP0429961B1 (en)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loading same
US4674822A (en) Multi-conductor shielded cable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GB2108782A (en) Electrical interconnector assembly
US11075488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