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885Y1 - 공업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공업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885Y1
KR900006885Y1 KR2019880005769U KR880005769U KR900006885Y1 KR 900006885 Y1 KR900006885 Y1 KR 900006885Y1 KR 2019880005769 U KR2019880005769 U KR 2019880005769U KR 880005769 U KR880005769 U KR 880005769U KR 900006885 Y1 KR900006885 Y1 KR 900006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duct
fuselage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383U (ko
Inventor
김의근
Original Assignee
김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근 filed Critical 김의근
Priority to KR2019880005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885Y1/ko
Publication of KR890021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업용 가습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나-나"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배출구 2 : 동체
3 : 닥트 4 : 펌프
5 : 수관 6,6' : 분무노즐
7 : 유도판 8,8' : 차단판
9 : 호상절결편 10 : 공기유입공
11 : 상부개공 12 : 측부개공
13 : 지축 14 : 댐퍼
본 고안은 방직공장. 직물공장등과 같이 실내습도가 생산물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공장에서 실내의 습도를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업용 가습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물입자와 공기의 마찰 면적을 크게하여 가습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와 물이 접촉하게 되면 물이 증발되어 공기중에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을 습도가올라간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공기와 물의 마찰면적이 크면(넓으면) 많은 물이 증발하게 되고 또 공기와 물의접촉시간을 길게하면 그만큼 습도가 올라가게 되므로 인위적으로 이런 조건을 만들어주어 강세 가습을 시킬필요가 있다.
따라서 마찰면적을 넓게하기 위하여 물을 공기중에 흘리면서 면적이 넓은 충진 물을 넣거나 물을 분사하여 마찰면적을 넓히고 있다.
전자의 경우는 클링타워를 들수있고, 후자의 경우는 여러가지 분사식 가습장치를 들수 있다.
분사식인 경우는 분사된 물의 입자가 적을수록 공기와의 접촉(마찰) 면적이 커진다.
A = 4πr2V = 4/3πr3
또한 마찰속도를 빠르게 하여 마찰거리를 길게하여도 마찰면적을 늘릴수가 있다. 현재까지의 가습기는 먼저 말한 물의 입자를 적게하여 마찰면적을 늘리는 쪽으로만 발전해오고 있었다.
고압분사. 증기. 초음파에 의한 방법이 모두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고가이므로 설치가 쉽지 않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물과 공기의 마찰면적을 크게하여 보다 이상적인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구(1)를 상부에 형성한 원통형상의 동체(2) 하부일측에 상부가 개구된 닥트(3)를 돌출 설치하고 동체(2)의 내부중앙에는 펌프(4)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수관(5)을 조립시켜 다수개의 분무노즐(6)(6')을 부착한 상부에 중앙이 관통된 유도판(7)을 착설하고 그 상하에 단면자 형상의 물방울 차단판(8)(8,)을 동체(2)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에 있어서 닥트(3)와 접면되는 동체(2)의 하부를 ㄷ자형으로 절결하여 그호상절결편(9)을 동체(2)의 내부로 만곡시켜서 공기유입구(10)를 형성하고 닥트(2)의 외측면에 상부개공(11)과 동일한 크기의 측부개공(12)을 뚫어 내부에 지축(13)으로 축설시킨 댐퍼(14)로서 선택적으로 개폐자재할수 있게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흡출용 팬이고 16은 흡수관이며 17은 액세스 도어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동체(2)의 저부에 첨부도면 제2도와 같이 공기유입구(10)의 절반높이 정도로 물을담수하고 펄프(4)를 작동시켜 흡수관(16)으로 흡수한 물을 동체(2)의 내부에 주립된 수관(5)으로 동급시키게되면 물은 분무노즐(6)(6')을 통해 미세하게 분무됨과 동시에 상부의 흡출용펜(15)에 의해 공기유입구(1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배출구(1)로 분사되고 이와같이 공기와 혼합된 미립자가 배출구(1)로배출되는 동안 상부에 설치된 물방을 차단판(8)(8')과 유도판(7)을 거쳐 나가면서 비교적 큰 미립자는 차단판(8)(8')에 의해 차단되어 미세한 미립자만이 배출구(1)로 배출되어 우수한 가습효과를 얻게 되는바닥트(3)와 접면되는 동체(2)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유입구(10)는 ㄷ자 형상으로 절결한 호상절결편(9)을동체(2)의 내부로 만곡시켜서 형성시킨 것이므로 닥트(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호상 절결편(9)에 의해 유도되어 상부로 곧바로 상승하지 않고 첨부도면 제2도와 같이 나선형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상승되므로 분무되는물과의 접촉시간이 길어 마찰면적이 커짐에 따라 종래보다 매우 우수한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닥트(3)에는 상부와 축부에 각각 개공(11)(12)을 설치하여 댐퍼(14)로서 선택적으로 개폐 자재할 수있게한 것이므로 실내의 공기가 혼탁하여 외부공기를 도입시킬때는 댐퍼(14)로서 상부개공(11)은 차단하고 축부개공(12)에 별도의 닥트를 연결하여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면 되고 실내공기를 사용할때에는 전술과는 역으로 축부개공(12)을 댐퍼(14)로서 차단하고 상부개공(11)을 개구시키게 되면 실내공기를 사용하여 가습효과를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동체(2)의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회전되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0)를 형성한 것이므로 공기와 분무된 물의 마찰면적이 커서 가습효과의 증대를 가져다 주고댐퍼(14)로서 공기의 유입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출구(1)를 상부에 형성한 원통형상의 동체(2) 하부 일측에 상부가 개구된 닥트(3)를 돌출 설치하고동체(2)의 내부중앙에는펌프(4)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수관(5)을주립시켜 다수개의 분무노즐(6)(6')을부착한 상부에 중앙이 관통된 유도판(7)을 착설하고 그 상하에 단면자 형상의 물방을 차단판(8)(8,)을 동체(2)의 내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에 있어서 닥트(3)와 접면되는 동체(2)의 하부를 ㄷ자 형상으로절결하여 그 호상절결편(9)을 동체(2)의 내부로 만곡시켜서 공기유입구(10)를 형성하고 닥트(2)의 외측면에상부개공(11)과 동일한 크기의 측부개공(l2)을 뚫어 내부에 지축(13)으로 축설시킨 댐퍼(14)로서 선택적으로 개폐자재 할 수 있게한 공업용 가습기.
KR2019880005769U 1988-04-20 1988-04-20 공업용 가습기 KR900006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69U KR900006885Y1 (ko) 1988-04-20 1988-04-20 공업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69U KR900006885Y1 (ko) 1988-04-20 1988-04-20 공업용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383U KR890021383U (ko) 1989-11-02
KR900006885Y1 true KR900006885Y1 (ko) 1990-08-02

Family

ID=1927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769U KR900006885Y1 (ko) 1988-04-20 1988-04-20 공업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8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383U (ko)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3754A1 (en) Humidifier
KR102069767B1 (ko) 공기청정기
US5372753A (en) Rapid absorption steam humidifying system
US1170308A (en) Air-circulating system.
US3421745A (en) Self-correcting dispensing mixer
US3802161A (en) Humidifier
KR900006885Y1 (ko) 공업용 가습기
JP2627252B2 (ja) 人工竜巻型排気フード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2919559A (en) Cooling system
CN113739304A (zh) 加湿装置
CN107178892B (zh) 无水加湿空调
US4936882A (en) Fluid dynamic cooling tower
CN214746210U (zh) 一种雾化加湿器
JPH0614752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1978007A (en) Humidifying apparatus
CN210772622U (zh) 一种提高加湿量的蒸发式加湿结构及加湿设备
JPS5832295B2 (ja) 加湿器
JPS61104191A (ja) 排水ポンプ
KR20210042488A (ko) 공기청정기
CN216346767U (zh) 带加湿功能的无叶风扇
KR960007026Y1 (ko) 공기청정 기능을 겸비한 냉풍기
KR810001081Y1 (ko) 공기 흡출기
CN220038661U (zh) 超声波雾化加湿器
RU2452902C2 (ru) Установка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с испарением рециркулирующей воды
KR890008827Y1 (ko) 초음파 가습기의 반사파 및 낙수소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