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759Y1 -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 Google Patents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759Y1
KR900006759Y1 KR2019870017555U KR870017555U KR900006759Y1 KR 900006759 Y1 KR900006759 Y1 KR 900006759Y1 KR 2019870017555 U KR2019870017555 U KR 2019870017555U KR 870017555 U KR870017555 U KR 870017555U KR 900006759 Y1 KR900006759 Y1 KR 900006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ron
hole
groov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687U (ko
Inventor
강하구
Original Assignee
강하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하구 filed Critical 강하구
Priority to KR2019870017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759Y1/ko
Publication of KR890008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7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제1도는 제3도에 부착되는 걸이판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의 단면도.
제3도는 제4도의 B-B선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기틀판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상접판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책철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틀판 2 : 걸이판
13 : 나사 15 : 상접판
18 : 책철
본 고안은 도면, 각종서류, 정기간행물, 신문(이하 "내용물"이라 한다)등을 지철구(紙綴具)에 수시로 철(綴) 하다가 지철구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장기 보판 또는 새롭게 표지를 하고자 할때에 지철구에는 내용물이 철끈 또는 책철(이하 "책철"이라 한다)로 묶여져 있으나 책철을 빼내지 않고 지철구만 간단히 분리시켜 내용물이 책철에 철되어 있는 상태로 분리하여 보관 할 수 있게 한 것이며, 보관하고 있는 내용물에 추가로 철하기 위하여 지철구에 걸어 사용코저 할때 쉽게 지철구와 결합이 용이 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동 종류의 지철구는 내용물을 보관 하고자 할 때에 신문걸이, 서류철(FILE)등 각종 편철(片綴) 도구를 사용하여 철로서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편철된 내용물을 편철도구에서 분리하여 보관 또는 보존시에는 책철 등을 편철구에서 제거하여야만 내용물이 분리 된다.
또한, 편철구에서 분리된 내용물을 보관 또는 보존하고자 재차 철할려고 하면 처음 철 할때 사용한 구멍으로 책철을 넣어야 하나 편철구에서 분리시 내용물을 소중히 다루지 않으면 제대로 구멍이 맞지 않아 한장 한장 맞추어 철하든가 재차 구멍을 뚫어야 하며 이때 가지런히 정돈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멍을 뚫으면 내용물의 손상뿐만 아니라 보존 중 이동시 내용물의 분실도 초래한다. 더구나 책철이 아닌 철끈을 사용하여 철한 것은 사용한 끈을 빼내고 다시 철 할시에는 끝이 무드러져서 새철끈을 사용하므로 물자의 낭비를 동반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도면의 제1도와 제3도는 도면의 설명상 뒤집어 그린 것이다.
기틀판(1) 중앙의 위치 책철(18) 길이 보다 약간 넓은 걸이판(2)을 끼워 넣을수 있는 홈(3)을 파는데 이홈(3)의 깊이는 기틀판(1) 뚜께의 절반 정도로 하며 홈(3) 양측면(5)과 전면(5')은모양이 형성되도록 하고 홈(3) 부분의 안쪽에 책철(18)이 들락날락 할 수 있는 직사각구멍(7)과 홈(3)의 윗면 중앙에 나사공(8)을 뚫어 놓는다.
걸이판(2)의 크기는 기틀판(1)의 홈(3) 파진 부문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크기이고, 걸이판(2)의 전면(9)과 양면(9')은모양이 되도록 사면으로 형성하고 걸이판(2)의 앞쪽 양면에 책철(18)을 걸수 있도록 걸이판(2)이 2㎜ 정도 들어가게 단턱(10)을 형성하고 들어간 부분의 중앙에 반원이 되는 홈(11)을 판다. 걸이판(2)의 중앙상부에 경사진 사각 홈(12)을 파고 홈(12)의 중앙에 나사(13)가 들어 갈수 있는 나사공(14)을 뚫어 놓는다. 상접판(15)은 책철(18)이 끼일수 있는 폭 정도의 장공(16)을 뚫고 장공(16)의 안쪽면으로 반원정도의 홈(17)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기틀판(1)에 걸이판(2)을 끼워넣으면 기틀판(1)의 나사공(8)과 걸이판(2)의 나사공(14)이 딱 맞는다. 걸이판(2)이 빠지지 않도록 나사(13)로 조이면 기틀판(1)에는 상접판(15)에 있는 장공(16)과 같은 모양, 크기의 장공이 2개 생긴다.
기틀판(1)에 형성된 장공으로 책철(18)을 걸이판(2)이 있는 쪽에서 끼워 넣고 철 할려고 하는 내용물(19)을 철하고 책철(18)이 상접판(15) 장공(16)으로 끼워져 철되는 것이다.
이렇게 철되어 있는 내용물(19)을 지철구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걸이판(2)에서 나사(13)를 풀고 걸이판(2)의 사각 경사홈(12)을 이용하여 밀면 걸이판(2)이 기틀판(1)에서 빠지면서 걸이판(2)에 걸려있는 책철(18)이 기틀판(1)의 구멍(7)을 통해서 책철(18)에 내용물(19)이 철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철구와 분리된다.
또한, 지철구에서 분리하여 보관중인 내용물(19)에 추가로 철하고자 할때에는 철되어 있는 책철(18)을 약간 느슨하게 하여 기틀판(1) 위에 놓고 직사각구멍(7)으로 책철(18)을 밀어넣은 다음 걸이판(2)에 책철(18)이 걸리도록 하고 나사공(8)(18)으로 나사(13)를 조이면 손쉽게 철되어 있는 내용물(19)을 지철구와 결합시켜 내용물(19)을 철하게 된다.
걸이판(2)의 단턱(10)과 상접판(15)의 장공(16)에 형성된 반원형홈(11)(17)은 책철(18) 대신에 철끈을 사용하여 내용물(19)을 철 할때 철끈이 움직이지 않게 걸리도록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지철구를 크기와 용도에 따라 기판의 여러곳에 형성시켜 도면, 각종서류, 정기 간행물, 신문의 보존철 등에 사용 할 수 있다.

Claims (1)

  1. 기틀판(1)에 홈(3)을 내고 홈(3)의 3면(5, 5')에모양을 형성하고 홈(3)에 직사각구멍(7)과 나사공(8)을 뚫고, 걸이판(2)의 3면(9, 9')에모양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경사진 사각 홈(12)을 파서 그 중앙에 나사공(14)을 내고 나사(13)를 걸이판(2)의 나사공(14)을 통하여 기틀판(1)의 나사공(8)에 조여 결합되며 상접판(15) 장공(16)의 안쪽으로 반원 홈(17)을 낸 내용무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KR2019870017555U 1987-10-13 1987-10-13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KR900006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555U KR900006759Y1 (ko) 1987-10-13 1987-10-13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555U KR900006759Y1 (ko) 1987-10-13 1987-10-13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687U KR890008687U (ko) 1989-05-29
KR900006759Y1 true KR900006759Y1 (ko) 1990-07-28

Family

ID=1926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555U KR900006759Y1 (ko) 1987-10-13 1987-10-13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7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687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17445S (en) Push-button configuration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GR1001391B (el) Εργαλείο για χρήση κατά το διαχωρισμό στοιχείων κατά την ανεγέρση οικοδομής.
KR900006759Y1 (ko) 내용물 분리 결합이 간편한 지철구
US2223978A (en) Filing device
KR880001366A (ko) 부품장착장치
DE20014052U1 (de) Werkzeugsatzkoffer
USD415179S (en) Cutting tool inserts
USD334271S (en) Clamping jaws
JPS6150480U (ko)
US3316794A (en) Mounting pin
US4418825A (en) Device for holding soft-covered books
US2293999A (en) Tool mounting
KR870000351Y1 (ko) 책상의 화일 삽탈장치
KR900005368Y1 (ko) 서류 보관용 지철구
US5326008A (en) Breaker tool for adjusting the size of hanging file frames to fit into a desired drawer of a desk or cabinet
KR890004126Y1 (ko) 서 류 철
KR790001774Y1 (ko) 사무용 펀치
KR920006783Y1 (ko) 자기 흡착 공구대가 부설된 마그네틱 드릴
KR900005359Y1 (ko) 서류 보관용 표지
CA1144205A (en) Device to make a book stay open
KR890003529Y1 (ko) 탁상용 메모지의 받침대
JP3854258B2 (ja) ファイル綴じ込み用補助具
KR940006025Y1 (ko) 화일표지
US1953334A (en) Directory holder
KR920006696Y1 (ko) 화일의 화스너 지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