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721Y1 -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721Y1
KR900006721Y1 KR2019870020303U KR870020303U KR900006721Y1 KR 900006721 Y1 KR900006721 Y1 KR 900006721Y1 KR 2019870020303 U KR2019870020303 U KR 2019870020303U KR 870020303 U KR870020303 U KR 870020303U KR 900006721 Y1 KR900006721 Y1 KR 900006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ositive
signal
mod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990U (ko
Inventor
윤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0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721Y1/ko
Publication of KR890011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6Bodies for containing both motion-picture camera and still-pictur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제1도는 종래의 화상절환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절환회로의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의 상세회로도.
제4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네거티브회로의 일예.
제5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네거티브회로의 입­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모드 Ⅰ 7, 7' : IC
2, 2' : 모드 Ⅱ 8, 8' : 가산기
3, 3' : 처리부 9 : 네거티브회로
4, 4', 4'', 5, 5' : 너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 10 : 버퍼
11 : 스위칭부 6, 6' : 신호혼합 및 처리부
Q1­Q5: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비디오 카메라의 기능중 하나인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을 스위치에 위해 절환 사용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거티브로 현상되어 있는 스틸카메라 필름(Still Camera Film)을 비데오 카메라로 촬용하였을시 포지티브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화상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데오카메라의 있어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회로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R­Y신호와 B­Y신호를 인가받아 IC(7)내부에서 평형변조하는 모드Ⅰ(1)과 모드 Ⅱ(2)가 가산기(8)에 접속되어 가산기(8)의 출력이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에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한편 Y신호는 IC(7) 내부의 Y처리부(3)를 거쳐 네거티브/포지티브처리부(5)에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네거티브/포지티브처리부(5)는 선택단(SLT)에 의해 네거티브 및 포지티브가 선택되며 각각의 출력단은 신호합성 및 처리부(6)를 거쳐 비데오 출력단(Vout)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SC1과 SC2는 평형 변조를 위한 반송파이고 선택단(SLT)이 로우(L) 상태일 경우에는 네거티브모드가 선택되며 하이(H) 상태일 경우에는 포지티브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회로의 구성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R­Y신호와 B­Y신호를 인가받은 모드 Ⅰ(1)과 모드 Ⅱ(2)에서는 평형변조하여 직각의 출력을 가산기(8)에 인가시키고, 가산기(8)에서는 이들을 합성하여 칼라 반송파를 생성한 후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를 거쳐 신호혼합 및 처리부(6)에 인가되어 Y처리부(3)와 네거티브/포지티브처리부(5)를 거친 Y신호가 합성 및 처리된다.
상기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에서는 네거티브모드일 경우에 가산기(8)에서 합성된 반송파의 위상을 180°반전시키고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5)에서는 네거티브모드일 경우에 포화상태의 휘도신호값(상수)에서 현휘도신호를 뺀 파형이 되어 신호혼합 및 처리부(6)에 인가되므로 완전히 역상된 복합영상신호를 얻게 된다.
또한 포지티브모드인 경우에는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5)가 버퍼 역활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동작되는 기존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는 네거티브와 포지티브의 절환이 색신호의 평형변조 및 Y신호의 처리부 후단에는 행해지고 있어 현재에는 이 부분이 IC화 되어 있기 때문에 IC 내부에 회로를 갖추어야만이 동작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기능을 가진 IC를 사용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IC내부의 평형변조부 및 Y처리부 후단에는 행하던 네거티브/포지티브의 절환을 전단에서 행하도록 구성하여 칼라신호의 네거티브 변환을 오피앰프를 이용한 간단한 인버터 회로에 의해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연결구성을 살펴보면, R­Y신호와 B­Y신호 및 Y신호는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4'')(5')를 각각 거쳐 IC(7')내부의 모드(1'), 모드(2') Y처리부(3')에 각각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4')(5')는 선택단(SLT)에 각각 접속되고 모드(1')과 모드(2')는 가산기(8')를 거쳐 신호합성 및 처리부(6')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상기 네거티브/포지티부 처리부(4)(4')(5')의 상세회로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입력단(Vin)이 네거티브회로(9)와 버퍼(10)에 각각 접속되어 네거티브회로(9)의 출력단이 트랜지스터(Q3­Q5)로 구성된 스위칭회로(11)에 접속되며 동시에 차동증폭기(12)의 트랜지스터(Q1) 베이스에 접속되고 버퍼(10)의 출력단은 차동증폭기(12)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Q2)의 공통 에미터가 모드 또는 처리부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부(11)의 트랜지스터(Q4)(Q5) 베이스는 공통접속되어 선택단(SLT)에 접속되는 구성이고 상기 네거티브회로(9)는 제4도의 (가)(나)와 같이 오피앰프를 이용한 인버터로 구성되었다.
상기회로 구성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동작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택단(SLT)이 하이(H) 상태일 경우에는 스위칭부(11)의 트랜지스터(Q4)(Q5)가 구동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를 로우(L) 상태로 만들어지므로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키고 차동증폭기(12)의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켜 비디오입력단(Vin)으로 인가되는 신호(R­Y·B­Y)는 네거티브회로(9)를 거쳐 차동증폭기(12)의 트랜지스터(Q1) 베이스로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는 구동되어 그의 에미터 신호가 모드 또는 처리부를 통해 전송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선택단(SLT)이 로우(L) 상태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4)(Q5)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Q3)가 구동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비데오입력단(Vin)으로 인가되는 신호(R­Y·B­Y,Y)는 버터(10)를 거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된 신호는 그의 에미터로 출력되어 모드 또는 처리부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이때에는 포지티브모드로 동작된다.
비데오입력단(Vin)으로 R­Y신호 또는 B­Y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네거티브회로(9)는 제4도의 (가)와 같이 되는데, 이때의 입·출력 관계식은 Vo=­VI이다.
여기서 Z=Z'이라면 Vo=-V1가 되어 제5도의 (가)와 같은 입·출력 파형을 출력시키며 출력파형(Vo)은 입력파형(V1)에 대해 반전 되었으므로 이 출력은 평형 변조하면 기준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데오 입력단(Vin)으로 Y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는 네거티브회로(9)가 제4도의 (나)와 같이 되므로, 이때의 입·출력 관계식은 Vo=(V1­V2), (단 R1=R2=R3=R4)이다.
여기에서 V1은 영상신호의 포화 레벨인 Vsat를 입력으로 하여 V2는 원래의 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V1의 값을 Vsat으로 하면 제5도의 (나)와 같은 입·출력파형을 얻게되어 휘도신호의 역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화상 절환회로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네거티브 및 포지티브의 화상절환을 간단한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며 네거티브/포지티브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메이커의 인코더(Encoder) IC에서도 간단하게 네거티브/포지티브 절환을 할 수 있고, 또한 설계에 있어서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IC(7') 내부의 모드 Ⅰ(1'), 모드 Ⅱ(2'), Y처리부(3') 그리고 네거티브/포지티브처리부를 포함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에 있어서, 비데오입력단(Vin)의 신호(R­Y·B­Y·Y)가 선택단(SLT)과 연결된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4'')(5')에 각각 인가되어 각각의 출력이 IC(7') 내부의 모드 Ⅰ(1'), 모드 Ⅱ(2'), Y처리부(3')에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네거티브/포지티브 처리부(4')(4'')(5')의 네거티브회로(9)는 오피앰프로 구성된 인버터회로와 차동증폭기로 구성하여 비데오입력단(Vin)으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절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KR2019870020303U 1987-11-24 1987-11-24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KR900006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03U KR900006721Y1 (ko) 1987-11-24 1987-11-24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03U KR900006721Y1 (ko) 1987-11-24 1987-11-24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990U KR890011990U (ko) 1989-07-15
KR900006721Y1 true KR900006721Y1 (ko) 1990-07-28

Family

ID=1926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303U KR900006721Y1 (ko) 1987-11-24 1987-11-24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7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990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4704A (ko) 텔레비젼 화상의 움직임 검출 회로
KR940025352A (ko) 모션 적용 영상 처리 시스템
KR840008569A (ko) 복수의 컬러텔레비젼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방식
US5148120A (en) Class-AB push-pull drive circuit
KR960040025A (ko) 컬러 촬상 장치
KR900006721Y1 (ko) 비디오 카메라의 네거티브/포지티브 화상절환회로
KR850006821A (ko) 순차주사용 비데오신호 처리기
KR860003704A (ko) 비디오신호 엠파시스회로
KR89000137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변환기
KR900702736A (ko) 비디오 입력 신호의 인트라-프레임 처리장치
DE3876358D1 (de) Schaltungsanordnung zur bearbeitung von videokomponenten.
JPS63287178A (ja) 画面表示回路
JPH0527301B2 (ko)
KR850008596A (ko) 컬러비데오 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 보정장치
KR850003999A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JPS5860892A (ja) カラ−撮像装置
MY132898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10006477Y1 (ko) 칼라모니터의 칼라신호 윤곽보정회로
JPH0321104Y2 (ko)
KR960030722A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880009522A (ko) 수평 선면도 향상 회로 장치
JPS6265570A (ja) ビデオ特殊効果装置
KR920001840A (ko) 적분기용 비교기회로
KR850006815A (ko) 수직윤곽 보정장치
KR870000823A (ko) 텔레비전의 화면윤곽 강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