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73B1 -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 Google Patents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73B1
KR900005973B1 KR1019880001372A KR880001372A KR900005973B1 KR 900005973 B1 KR900005973 B1 KR 900005973B1 KR 1019880001372 A KR1019880001372 A KR 1019880001372A KR 880001372 A KR880001372 A KR 880001372A KR 900005973 B1 KR900005973 B1 KR 90000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onductor
superconductivity
compound
yb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675A (ko
Inventor
장민자
박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8000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973B1/ko
Publication of KR89001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copper oxide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 C04B35/4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copper oxide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containing rare earth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53Processes involving a melting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제1도는 종래 초전도체의 절대온도와 전기저항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제2도는 종래 초전도체의 X선 회절 그래프.
제3도는 종래 초전도체의 감수율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 초전도체 화합물의 절대온도와 전기저항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 초전도체 화합물의 감수율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 초전도체 화합물의 X선 회절 그래프.
본 발명은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YBCO계에 염소(CL-)성분을 첨가하여 기존의 것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이 나타나도록한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체는 극저온 상태로 냉각시키면 전기저항이 없어지고 자기적 성질이 반자성을 띄는 물리적 현상이 유발되는 물질로써 이러한 초전도체는 강력한 자석을 만들거나 전력손실이 없는 송신선을 만들 수 있고 반도체 소자에 응용되는 등 신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물질이다.
종래에는 Y, Ba, Cu산화물의 화합물을 이용한 초전도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제조공정은 먼저 Y2, O3, BaCO3, CuO를 평량하여 볼밀을 이용한 혼합(양산시 적용) 또는 건식혼합(샘플제작시 적용)을 12-48시간 행하고, 1-3회 반복혼합하는 과정과, 800-1000℃가 유지되는 공기분위기에서 1-48시간 하소를 1-3회 반복하는 과정과, 850-1100℃가 유지되는 공기분위기에서 1-24시간 소결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행한 후 초전도성을 갖는지 물성조사를 하고 평가하는 과정으로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3성분의 조성을 바꾸면서 시험한 결과 YBa2Cu3Oy의 조성을 갖는 것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K근처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었다.
제1도에서 가로축은 절대온도(K)를 표시하고 세로축은 저항율(resistivities)을 표시한 것이다.
아울러, 이 물질의 결정구조를 해석하기 위해 X선 시험을 행한 결과 제2도와 같으며 여기서 가로축에 표시한 2θ와 세로축에 표시한 강도(intensity)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또한 이 물질의 반자성 성질(Meissner-effect)을 알아보기 위해 감수율(susceptibility)을 측정하였는데 제3도와 같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초전도체라는 것을 어떤 온도에서 전기저항이 제로가 되는 것과 자기적성질이 반자성을 띄는 것을 말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YBa2Cu3Oy물질은 90K에서 초전도체 성질을 갖는 초전도체이다.
그러나 90K근처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아직도 상업에 응용하기에는 조금 낮은 온도이다. 액체질소로 77K까지 온도를 낮출수 있지만 실제 응용단계에서는 부품의 크기, 인가되는 전기 및 자기장 때문에 기존 90K근처에서 초전도체가 되므로 10K여 정도 밖에 여유가 없어 응용에 많은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액체 질소 온도의 50%이상에서 초전도현상이 일어나는 물질이 되어야 액체질소를 냉매로 사용했을 때 안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90K이상의 고온에서 초전도성을 가지는 초전도체를 제공함으로써 액체질소를 냉각제로 사용하는 초전도 응용제품에 안정하게 채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다년간 연구결과 YBCO계에 염소(Cl)을 첨가하여 초전도성이 우수한 YBa2Cu3ClxOy조성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 화합물은 Y2O3, BaCO3, CuO분말 외에 CuCl2를 적당량 첨가하여 혼합한 후,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제조공정과 같이 하소, 가압성형, 소결단계를 행하여 제조되는 것이나, 하소와 소결단계에서는 CuCl2융점이 620℃이기 때문에 하소의 소결온도를 650℃-800℃에서 행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방법으로 YBa2Cu3ClxOy화합물을 제조하고 물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다년간 계속하였다.
상기 실험결과의 예를 들면, YBa2Cu3ClxOy화합물에서 x의 범위와 초전도현상이 나타나는 절대온도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2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전도현상 발생온도 Tc는 0.4±0.02<x<0.8±0.02인 범위에서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30K로서 가장 높은 조성은 YBa2Cu3Cl(0.6±0.02)Oy임을 알 수 있다. 이 물질의 전기저항과 온도그래프는 제4도와 같다. 또한, 반자성 성질(Meissner effect)을 알아보기 위해 감수율(susceptibility)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제5도와 같다. 이 두 결과로부터 YBa2Cu3Cl0.6Oy조성의 화합물이 130K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냄을 명백히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결정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행하고 그 결과를 제6도에서 표시하였으며 2θ와 강도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kpo00003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Cl이 첨가된 시료는 2θ=25.5, 35.0에서 피크(peak)를 나타낸 반면에 종래 기술에 의한 YBa2Cu3Oy의 경우는 표 1과 제2도와 같이 2θ=22.6, 36.2에서 약한 피크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 화합물과 종래 기술의 화합물은 그 결정구조가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YBCO계에 Cl성분이 첨가됨으로써 일부의 O가 Cl과 치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O-2자리에 Cl-를 치환한 것은 산소나 염소가 p궤도를 최외각에 갖게됨을 의미한다. 초전도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현재까지 Cu-O가 만든 d궤도와 p궤도의 중첩에 의하여 에너지갭(gap)이 낮아져 전자와 이동이 용이한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점에서 보면 본 발명에서도 Cu, Cl궤도가 중첩되어 초전도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YBa2Cu3ClxOy조성의 물질은 초전도성이 나타나는 온도가 상승되는 0.8±0.02>x>0.4±0.02범위에서 응용할 수 있으며, 특히 x=0.6±0.02인 것은 130K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이 물질을 이용할 경우 즉 액체질소를 냉각제로 사용하는 초전도 응용제품에는 종래에 발표된 어떤 초전도체 보다도 안정하게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YBCO계에 염소를 첨가하여서 YBa2Cu3ClxOy조성으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Ba2Cu3ClxOy조성물에서 x=0.6±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KR1019880001372A 1988-02-12 1988-02-12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KR90000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372A KR900005973B1 (ko) 1988-02-12 1988-02-12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372A KR900005973B1 (ko) 1988-02-12 1988-02-12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675A KR890013675A (ko) 1989-09-25
KR900005973B1 true KR900005973B1 (ko) 1990-08-18

Family

ID=1927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372A KR900005973B1 (ko) 1988-02-12 1988-02-12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675A (ko) 198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Superconductivity and structure of single crystal YBa2Cu3Ox
Lee et al. Thermoelectric power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Y 1 Ba 2 Cu 3 O 7− δ and R 1 Ba 2 Cu 3 O 7− δ
JPH0643268B2 (ja) 酸化物高温超電導体
KR900005973B1 (ko) 고온 초전도체 화합물
US5599775A (en) (Hg Cu)Bg2 Ca2 Cu3 Oy oxide superconducto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u et al. Synthesis, transport, magnetiz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s of Tl-Ca-Ba-Cu-O specimens with T0= 123 K and Tonset= 155 K
Matveev et al. New high-Tc superconductor,(GezCu1− z) Sr2Ca2− xYxCu3Oy ((Ge, Cu)-1223) prepared under high pressure
Fei et al. Subsolidus phase relations of the Y 2 O 3-SrO-CuO system
Kirschner et al. High-Tc Superconductivity in La-Ba-Cu-O and Y-Ba-Cu-O Compounds
EP0288641A2 (en) Parametrically modified superconducting material
JPH08259230A (ja) 酸化物超電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Balchev et al. Superconductivity at 103 K in CdBa 2 (Ca 0.7 Y 0.3) Cu 2 O y
JP2656531B2 (ja) 酸化物超電導体
Hassan et al. Study of the Effect of partial substitution on the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YBCO) Superconducting System
Easterling et al.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high T c superconducting oxides
Arjunan CHEMISTRY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S
Uskenbaev et al. Effects of conditions on thе synthesis and properties of Bi-2234 HTSC ceramic produced from the melt
LOBZHANIDZE et al. PREPARED 2 Ca 2 Cu BY 3 O VAPOR SUPERCONDUCTOR DIFFUSION PROCESS
Iqbal et al. Structure and bulk superconductivity of BaPb0. 5Bi0. 25Tl0. 25O3− δ
Rao High-temperature ceramic oxide superconductors
Meng et al. Study of high-Tc superconductor (BiM)-Sr-Ca-Cu-O [M= Pb+ Ge, Pb+ Sn, Pb, etc.]
JP2820480B2 (ja) 酸化物超伝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Martini et al. Properties of multifilamentary Bi (Pb)-2223/Ag wires and tapes
Tomy et al.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Bi-Sr-Ca-Cu-O oxide system
JPH0616419A (ja) 無限層超伝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