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865B1 - 회전축 취부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축 취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865B1
KR900005865B1 KR1019860006954A KR860006954A KR900005865B1 KR 900005865 B1 KR900005865 B1 KR 900005865B1 KR 1019860006954 A KR1019860006954 A KR 1019860006954A KR 860006954 A KR860006954 A KR 860006954A KR 900005865 B1 KR900005865 B1 KR 90000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pstan
base
bearing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495A (ko
Inventor
신사꾸 다나가
구니오 기도
Original Assignee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filed Critical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축 취부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취부중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취부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의 저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취부 중간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취부 중간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스탠축 2 : 축수
3 : 베이스 4 : 나사
6 : 빠짐방지부재 10 : 플라이 휠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의 캡스탠축(capstan)등의 회전축을 축수를 통하여 베이스에 취부할 때의 취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캡스탠축을 베이스에 취부함에 있어서는, 통상 제6도에 표시한 방법이 채용된다. 즉 축구(2)를 나사(4)로 베이스(3)에 취부한 다음, 캡스탠축(1)을 축수(2)에 끼워 넣고 캡스탠축(1)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흠(5)에 빠짐 방지부재(예를들면 E링)(6)를 착설하게 된다.
또 축수(2)는 메탈 하우징(7)내에 축수메탈(예를 들면 오일리스 메탈)(8)을 압입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메탈하우징(7)의 외주에는 베이스(3)에 취부하기 위한 플랜지(9)가 형성된다. 또 캡스탠축(1)의 하단에는 플라이 휠(10)이 미리 압입에 의하여 고정 착설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취부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제6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캡스탠축(1)을 베이스(3) 취부한 다음에 회전시험이나, 기타완성시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시험에 의하여 축수(2)와 캡스탠축(1)과의 사이의 치수 관계에 문제가 있거나, 캡수탠축(1)과 축수메탈(8)과의 사이에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있는 것이 판명될 경우에는, 축수(2)를 베이스(3)에서 빼내어 캡스탠축(1) 및 축수(2)의 쌍방, 혹은 일방의 별도 부품과 교환하고, 재차 취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취부작업이 용이하지 않음과 동시에, 취부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스에 대하여 취부한 축수를, 베이스에서 빼내거나, 재차 취부하거나 할 때, 까다로움이 없고 완성시험을 포함한 취부작업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회전축 취부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회전축을 축수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회전축에 빠짐 방지부재를 취부하면 조립한다음 상기 축수를 베이스에 취부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회전축을 축수에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축수를 베이스에 취부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회전축을 축수에 끼워 넣어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축수를 공지의 구조로 지지하고 회전 시험 및 기타의 필요한 시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혹시 이를 시험에서 축수와 회전축과의 사이의 치수관계로 불합리점이 있거나, 회전축과 축수 메탈과의 사이에 이물이 개재되어 있음이 판명된 경우에는 필료에 따라 그 쌍방 또는 일방을 별도 부품과 교환하고. 시험을 완료한 후에 축수를 베이스에 취부하면 된다. 축수를 베이스에 취부한 다음에 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용이하게 상술한 부품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캡스탠축(1)을 축수(2)에 끼워 넣고, 빠짐 방지부재(6)를 착설하여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각종 시험을 하고 문제가 있을 때에는 부품을 교환한 다음 나사(4)로 축수(2)의 메탈 하우징(7)을 베이스(3)에 고정한다.
또 이 실시예와 같이 메탈 하우징(7)의 플랜지(9)보다도 플라이 휠(10)측이 대경인 경우에는, 플라이 휠(10)측에서 나사 멈춤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이 휠(10)의 필요개소에 나사 삽입용 구멍(11)을 형성해 두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캡스탠축(1)과 축수(2)등을 조립한 상태에서 각종 시험을 한 다음, 상기 삽입용 구멍(11)을 통하여 축수(2)의 플랜지(9)를 베이스(3)에 나사 고정하여 조립된 상태가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상의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서 일단 취부한 축수(2)를 베이스(3)에서 빼내야할 필요성이 없어지게 되고, 이 결과 취부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예는, 제4도에서와 같이, 축수(2)의 플랜지(9)를 베이스(3)에 나사고정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또 제2실시예와 같이 플랜지(9)와 플라이 휠(10)과의 사이에 모터(14)를 형성할 경우, 마그넷트(13)에 나사 삽입용 구멍을 뚫는 것을 피하게 되므로, 제5도와같이, 플랜지(9)의 지름을 플라이 휠(10)보다도 크게 하고 상기 플라이 휠(10)에서 외측 부분을 베이스(3)에 나사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의 일예로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의 캡스탠축을 표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각종 회전축을 취부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험후에 축수를 베이스에서 빼내거나 재차 취부하거나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게 할 수 있으므로 취부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일단의 플라이 휠(10)을 고정한 회전축(1)을 축수(2)를 통하여 베이스(3)에 취부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을 상기 축수(2)에 끼워넣고, 또한 상기 회전축(1)에 빠짐 방지부재(6)를 취부하여 조립한 다음, 상기 축수(2)를 상기 베이스(3)에 상기 플라이 휠(10)의 나사삽입용구멍(11)으로부터 나사고정에 의해 취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 취부 방법.
KR1019860006954A 1986-01-16 1986-08-22 회전축 취부 방법 KR900005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906 1986-01-16
JP61006906A JPS62165756A (ja) 1986-01-16 1986-01-16 回転軸取付け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495A KR870007495A (ko) 1987-08-19
KR900005865B1 true KR900005865B1 (ko) 1990-08-13

Family

ID=1165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954A KR900005865B1 (ko) 1986-01-16 1986-08-22 회전축 취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65756A (ko)
KR (1) KR900005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381Y2 (ja) * 1988-12-28 1996-06-19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9657A (ja) * 1984-04-16 1985-11-02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フライホイ−ル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65756A (ja) 1987-07-22
KR870007495A (ko) 198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8571A (en) Hard disk driving motor
US5517374A (en) Magnetic disk drive apparatus having disk clamp attachable using a single fastener
JPH0775275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900005865B1 (ko) 회전축 취부 방법
KR200158695Y1 (ko) 모터의 베어링 고정장치
KR20000000616A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US5883751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reventing axial vibration of rotary head cylinder
US5450261A (en) Magnetic disc drive motor having disc securely fixed to loading surface to abut upper bearing outer ring
JP2958077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0155094B1 (ko) 헤드드럼조립체의 공진방지구조
KR012900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US5604650A (en) Rotary head drum having head-affixing, transformer-affixing, and bearing-engaging surfaces lying in the same plane
JP3157897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20016064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접지장치
US5022815A (en) Structure for mounting a fan to a fan motor
KR930007966Y1 (ko) 브이씨알의 회전드럼 조립체
KR920002325Y1 (ko) 테이프레코더의 드럼장치
KR200146660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트러스트베어링
JPS5850281Y2 (ja) 軸受用振動計の取付構造
KR017656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KR19980067119U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어셈블리
KR0183867B1 (ko) 디스크플레이어용 턴테이블 조립체
KR100475019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핀들 모터
KR017112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JP3050907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