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671Y1 -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671Y1
KR900005671Y1 KR2019870021352U KR870021352U KR900005671Y1 KR 900005671 Y1 KR900005671 Y1 KR 900005671Y1 KR 2019870021352 U KR2019870021352 U KR 2019870021352U KR 870021352 U KR870021352 U KR 870021352U KR 900005671 Y1 KR900005671 Y1 KR 900005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ling
bran
inlet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739U (ko
Inventor
성길웅
Original Assignee
임창근
성길웅
추용환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근, 성길웅, 추용환, 신동훈 filed Critical 임창근
Priority to KR2019870021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671Y1/ko
Publication of KR890012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71Y1/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중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중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공냉 상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인면 5,5' : 횡돌조
6 : 통기공간부 8 : 흡기공
11 : 개방부 12 : 흡기구
13 : 계단식 백미배출구
본 고안은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정효과를 증대시키면서 싸래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도정수율을 높인 것이다.
종래의 정미기(실용신안 공번 82-897, 85-2904)는 투입된 벼가 도정 로울러의 이송 스크류로 압송되다가 도정돌기가 있는 부분에서 현미로 도정된 후 외주에 망통이 있는 도정횡 돌조 부분에서 백미로 도정되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송 스크류도 압송된 벼는 현미와 백미로 도정되는 도중 압송압력과 자체 마찰열에 의하여 절미되어 싸래기가 많이 생기므로 수율이 떨어지며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백미 표면의 겨가 많이 생기므로 수율이 떨어지며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백미표면의 겨가 잘 떨어지지 않고 눌어 붙는 현상이 일어나 도정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실용신안 공번82-897는 공간이 넓은 다각형 망통 내부에 압송된 현미가 도정로울러 말단부의 도정익편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체 마찰로 겨가 벗겨져 백미로 도정되는데 이때 내부에는 마찰열이 일어나면서 습기가 차기 때문에 겨와 백미가 엉겨붙어 공기 유통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백미가 절손되어 싸래기가 많이 생기고 단순히 망통 표면에 유출되는 겨만을 흡인 배출하는 것이어서 특별히 망통 내부의 냉각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실용신안 공번85-2904는 나선방향으로 파형공이 천공된 망통내에 도정 로울러 표면에 길게 형성한 횡돌조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망통 내면과 자체마찰력으로 도정되는데 이것 역시 내부에 마찰열이 일어나면서 습기가 차서 겨와 백미의 분리가 잘되지 않고 엉겨붙어 결국은 백미가 절손되어 싸래기가 많이 생기게 된다.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벼 투입시 벼에 흔힙된 나락과 지푸라기 등의 불순물이 같이 투입되기 때문에 사용함에 따라 상기 불순물이 도정 로울러의 이송 스크류의 도정돌기 부분에 감겨 누적되면 벼 이송기능과 현미도정기능이 급격히 둔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 정미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벼 투입구에 나락 또는 지푸라기와 같은 불순물이 투입되면서 절단될 수 있게 하고 백미도정시 망통 내면의 구조를 개량하여 백미도정시 내부에 통기공간이 형성되면서 공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정통(1)의 투입구(1')에 투입된 벼가 도정로울러(2)의 이송 스크류(2a)에 의해 도정돌기(2b)가 설치된 부분에서 현미로 도정한 후 도정횡돌조(2c)가 설치된 망통(3)내에서 백미로 도정되고 망통(3)외부로 유출되는 겨는 흡인휀(10)으로 흡출되게한 정미기에 있어서 투입구(1')양측에 나락 또는 지푸라기가 절단되는 인면(4)을 형성하며 망통(3) 내면에 회돌조(5)(5')들을 파형으로 배열하여 도정횡돌조(2c)에 의해 통기공간부(6)가 생기도록 하며 망통(3) 외부의 겨유출실(7)상부에 흡기공(8)을 뚫어 설치하고 흡기통공(9)를 하부 일측의 흡인휀(10) 상대측을 개방하여 그 개방부(11)에는 다단으로 흡기구(12)와 계단식으로 백미유출구(13)를 경사지게 충설하여서 된 장치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누두, 15는 분도조절기, 16은 경사판 17은 진동폴리의 예시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도정장치의 사용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누두(14)와 투입구(1')를 공급된 벼는 도정통(1)내의 이송스크류(2c)에 의해 도정돌기(2b)쪽으로 압송되면서 자체 마찰과 도정돌기(2b)에 의해 현미로 도정된다.
이때 벼의 혼합된 나락, 지푸라기와 같은 잡물은 이송스크류(2a)에 의해 회전 이송되면서 인면(4)에 걸려 절단되므로 이송로울러(2a)와 도정돌기(2b)에 감기지 않고, 부하가 생기지 않으므로 현미도정에 자장을 주지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정된 현미는 계속해서 망통(3)내로 압송된 후 도정횡돌조(2c)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백미로 도정되는데 이때 망통(3) 내면에 도정횡돌조(2c)와 근접되게 파형으로 배열된 횡돌조(5)(5')가 이동하는 현미를 간헐적으로 저지시키면서 그 후방에 통기공간부(6)를 형성하여 무리한 마찰을 억제시키면서 흡인휀(10)의 흡기력으로 망통(3)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마찰열을 공냉시켜 백미와 겨가 늘어 붙지 않고 잘 분리되면서 절미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도정된 백미는 계단식 백미 배출구(13)에서 낙하 배출시 낙하하는 충격으로 백미 표면의 겨가 털어지고 그 털어진 겨는 흡기구(12)로 흡인 배출되어 정선된 백미가 배출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작용으로서 인면(4)에 의해 투입되는 잡물을 절단하여 도정로울러(2)에 부하가 걸리는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이송스크류(2a)와 도정돌기(2b)의 도정효율을 높여주며, 망통(3) 내면에 파형으로 횡돌조(5)(5')를 배열하므로서 백미도정시 통기공간부(6)가 형성되어 무리한 마찰을 억제하면서 통기성을 부여하고 공냉시켜 도정시 무리한 마찰과 열에 의해 절미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도정수율을 높이며 계단식 백미 배출구(13)에 의해 정선된 백미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정통(1)의 투입구(1')에 투입된 벼가 도정로울러(2)의 이송스크류(2a)와 도정돌기(2b)에서 현미로 도정된 후 도정돌조(2c)가 설치된 망통(3)내에서 백미로 도정되면서 유출된 겨가 흡인휀(10)으로 흡출되는 정미기에 있어서 망통(3)내면에는 파형으로 횡돌조(5)(5')를 배설하여 백미도정시 횡돌조(5)(5')일측에 통기공간부(6)가 형성되므로 흡입휀(10)의 흡기력으로 공냉이 되도록 한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투입구(1')양측 주연부에 인면(4)을 형성한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KR2019870021352U 1987-12-02 1987-12-02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KR900005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352U KR900005671Y1 (ko) 1987-12-02 1987-12-02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352U KR900005671Y1 (ko) 1987-12-02 1987-12-02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739U KR890012739U (ko) 1989-08-07
KR900005671Y1 true KR900005671Y1 (ko) 1990-06-28

Family

ID=1927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352U KR900005671Y1 (ko) 1987-12-02 1987-12-02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6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7757A1 (en) * 2001-12-07 2003-06-12 Bok Sick Choi The distance roller of small sized rice polishing machine
KR101369606B1 (ko) * 2012-04-23 2014-03-04 안희대 가정용 정미기의 벼 투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7757A1 (en) * 2001-12-07 2003-06-12 Bok Sick Choi The distance roller of small sized rice polishing machine
KR101369606B1 (ko) * 2012-04-23 2014-03-04 안희대 가정용 정미기의 벼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739U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0867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CN210987615U (zh) 一种方便切碎混合的喂食器
KR900005671Y1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장치
KR200225857Y1 (ko) 절단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사료혼합기
CN209897681U (zh) 一种脱粒效果好的玉米脱粒机
US2956602A (en) Straw cutter for combines
CN2246022Y (zh) 多功能饲料加工机
KR890003435B1 (ko)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KR200230773Y1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CN104472121B (zh) 玉米出穗机
KR200295206Y1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KR200256651Y1 (ko) 개량형 정미기
JPH0624744U (ja) 自家保有米用の籾摺精米機
CN215912593U (zh) 一种卧式玉米脱粒机
JPH0637643Y2 (ja) コンバイン用脱穀部の扱胴構造
CN2420835Y (zh) 油菜脱粒秸杆切碎机
CN218048042U (zh) 一种大米加工用的碾米机
CN213530063U (zh) 一种建筑骨料脱泥装置
CN219540966U (zh) 一种大米去屑装置
KR200258502Y1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롤러
CN212813603U (zh) 一种加州鲈鱼饲养用喂食装置
CN218868753U (zh) 一种菜豆种子脱粒装置
CN213194053U (zh) 一种饲料生产用粉碎装置
JPS6245570Y2 (ko)
CN208679242U (zh) 一种鲜米机高效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