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35B1 -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 Google Patents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435B1
KR890003435B1 KR1019830000087A KR830000087A KR890003435B1 KR 890003435 B1 KR890003435 B1 KR 890003435B1 KR 1019830000087 A KR1019830000087 A KR 1019830000087A KR 830000087 A KR830000087 A KR 830000087A KR 890003435 B1 KR890003435 B1 KR 89000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oller
groove
grin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040A (ko
Inventor
가주히꼬 마수이
Original Assignee
가주히꼬 마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주히꼬 마수이 filed Critical 가주히꼬 마수이
Publication of KR84000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제 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는 각각 다른 종래의 정미기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백 로울러 2 : 환상홈
3 : 각체 (殼體) 4 : 정백실
5 : 저항체 6 : 배출구
이 발명은 일반 식량미는 물론 정미조건이 까다로운 주조용정미에도 고능률은 발휘하는 종형 (從型)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에 관한 것이다.
주조 정미는 일반 식량 정미와 달리 높은 정백도를 필요로 한다. 즉 도정율이 일반 식량미에서는 90%전후로서 10%정도가 쌀겨가 되는 것인데 주조 정미는 최저 77%, 높은 도정율에 있어서 50%이하로 될때도 있다. 특급주와 같은 고급주 일수록 충분한 정미를 행하여 현미의 외층부에 존재하는 단백질, 지방, 회분, 비타민등 주조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정율은 높게 된다.
따라서 주조용의 정미기는 정미 능력이 높은 것이 아니면 안되므로 최근의 주조용 정미기는 큰 연삭저석을 사용하고 승강기를 갖춰서 순환하면서 연속하여 언삭 정미할 수있는 정미기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큰 연삭 저석에 의하여 고능률로 정미하고자 하면 대동력을 사용하여 강력 연산을 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이 한다면 분쇄되는 쌀이 증가하여 유효한 정백미가 감소하는 현상이 일어나며 또 도정율이 높아질수록 정백실 내에서 쌀이 정체하여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 정체 상태를 공전 현상이라 하는데 원인은 자세하지 않으나 쌀알이 점점 작아지면 미질이 경화함과 동시에 열에 의하여 쌀의 수분이 증발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쌀알이 서로 접하여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즉 정미 원리가 통용되지 않는 것으로 상상된다.
이 공전 현상은 일반 식량비에 있어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으나 도정율이 높아질수록 심하게 되므로 주조정미에 있어는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로서 현저하게 능률을 저하하므로 주조업자의 난제의 대상으로 되어 있다.
공전 현상의 대책으로서 종래는 정미기에 별도의 쌀겨를 투입하여 쌀알의 흐름을 촉진시키거나 배출구를 2개로 증가하여 배출을 촉진하여 정백실 내의 압력을 저감하는 등의 임시적 조치가 강구되어 왔으며 본격적인 해결은 되지 않고 있는 현상이다.
본 발명은 이 최대의 난점인 공전 현상을 정미기의 구성에 의하여 해결하고 일반 식량 정미는 물론 곤란한 조건의 주조용 정미를 고능률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종형 정미기의 연산 저석제 정백 로울러(1)을 상부를 대경으로, 하부에 이르면서 점차 소경으로하고 상하사이에 복수개의 환상홈(2)을, 홈구를 홈저 보다 넓게 형성하고 이 정백 로울러(1)의 환상홈(2)이외의 외주부에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내벽면을 갖는 각체(3)에 의하여 둘러싸고 전체적으로 하부가 좁고 환상홈부분은 넓고 외주부는 좁은 정백실(4)을 구성한 것이다.
각체의 내벽면에는 원주의 수개소에 종래와 같은 연삭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한 저항편(5)를 첨부하였다.
이 종형 정미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에 탱크를 갖추고 정백실(4)의 하방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6)로부터 배출하는 쌀과 쌀겨의 혼합물을 진동망식 쌀겨 제거 장치를 거쳐서 버킷콘베이어식의 승강 장치에 의하여 재차 상부의 탱크에 되돌아가서 연속 순환 정미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으로 금강석 로울이라 불리우는 연삭 저석제의 정백 로울러(1)는 제1도에 예시하는 환상홈(2)에 의하여 구획된 상단, 중단, 하단의 3단 로울러를 구성하고 상단이 가장 대경이고, 중단, 하단으로 점차 소경으로 하는 경우와 제2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상단, 중단, 하단의순으로 외경이 작아짐과 동시에 각단도 상변이 대경이고 하변이 소경으로 레이퍼져 있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역절두 원추형으로한 정백 로울러가 있다.
제1도, 제2도의 예시도에서는 환상홈(2)이 2본으로서 3단의 것을 예시 하였는데 환상홈을 증가하여 4단, 5단으로 하여도 된다. 또 정백 로울러(1)은 도면에서는 일체로 된 것을 나타냈는데 제조상의 형편에 따라서 2단∼3단으로 분할한 것을 쌓아 올릴 수도 있다.
상기 2종류의 정백 로울러는 총체적으로는 근사한 것으로서 작용 효과도 대차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백 로울러(1)는 상방이 주속이 크며 하방이 작으므로 상방이 연삭력이 크고 하방에 갈수록 연삭력은 저하하며 이와는 반대로 정백실(4)내의 압력은 상방이 낮고 하방에 갈수록 쌀의 중량과 연삭력에 의하여 압력은 높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압력이 낮은 데서는 고속 연삭이 행해지며 압력이 높은데서는 저속 연삭을 행하게 되므로 특히 고압이 되는 하부에서 무리한 연삭을 행하지 않으므로 쌀알에 미치는 힘이 작아져서 압력의 상승을 완화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공전 현상을 경감하며 나아가서 환상홈(2)내에서는 흐름 방향이 변화하여 쌀알이 여러 각도로 변화하여 쌀알 외층부를 균등하게 연삭하는데 기여함과 동시에 흐름의 변화에 의하여 압력도 변화하여 공전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점 제3도,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종래의 정미기에서는, 제3도의 경우는 정백 로울러가 상하가 모두 직경이 같으므로 고압이 되는 하부에서 과도한 연삭을 행하게 되므로 압력은 점점 높아져서 공전 현상을 일으켜서 정미효율을 저하시킨다.
또 제4도의경우는 역절두 원추형의 정백 로울러를 사용하므로 압력이 높아지는 하부에서 주속은 저하하고있지만, 환상홈이 없으모로 외주 전체가 긴 시간을 좁은 정백로로 하기 때문에 역시 무리한 연삭이 행해져서 공전 현상을 일으켜서 분쇄미가 되는 율도 높아진다.
또한 제5도의 경우는 환상홈에 따른 각체로 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간격이 같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상홈 부에서 흐르는 방향이 변화할 때에 저항이 크므로 이 부분에서 막히기 쉽고 역시 공전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미기를 실제로 종래의 정미기의 동일 마력의 것과 비교 실험을 행한 결과 종래 정미기의 기 기종에 따라서 다소의차는 있지만 공전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150%∼180%의 능률 향상을 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여 이상적인 정백 로울러와 정백실의 형상에 의하여 공전현상을 방지하고 능률의 정미를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삭 저석제로서 상부를 대경으로, 하부에 이를수록 소경으로하고 상하사이에 복수본의 환상홈을, 홈구를 홈저보다 넓게 형성한 종형 로울러와, 이것의 주위를 홈부 이외의 외주부에 거의동일 간격으로 내면벽을 갖는 각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전체적으로 하부가 좁고 홈부는 넓고 외주부는 좁은 정백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정미기.
KR1019830000087A 1982-01-13 1983-01-12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KR890003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70 1982-01-13
JP57004170A JPS58128152A (ja) 1982-01-13 1982-01-13 縦型精米機の精白室および精白転子
JP???57-4170 1982-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040A KR840003040A (ko) 1984-08-13
KR890003435B1 true KR890003435B1 (ko) 1989-09-21

Family

ID=1157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087A KR890003435B1 (ko) 1982-01-13 1983-01-12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28152A (ko)
KR (1) KR890003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8664A (ja) * 1988-11-08 1990-05-17 Yukichi Hayashi 大麦の製粉方法
JP5897301B2 (ja) * 2011-10-26 2016-03-30 新中野工業株式会社 酒造用精米機
CN112138739B (zh) * 2020-09-09 2021-11-23 安阳工学院 一种藜麦去壳装置以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28152A (ja) 1983-07-30
KR840003040A (ko) 198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888A (en) Refiner plate with interspersed surface and subsurface dams
CN208031045U (zh) 一种食品加工机用研磨装置及食品加工机
KR890003435B1 (ko) 종형 정미기의 정백실 및 정백 로울러
KR950024806A (ko) 연마형 수직 곡물 제분기
CN106513081B (zh) 一种大米的抛光装置
CN206029626U (zh) 硅片减薄砂轮
JP2013091036A (ja) 酒造用精米機
KR850001026A (ko) 정 미 기
CN209680272U (zh) 一种用于磨料生产的研磨机
CN111775343A (zh) 一种低压内供水薄壁钻头
CN213966889U (zh) 一种手工石磨的磨齿
US2599892A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outer layers from hard kerneled grains
KR940006972B1 (ko) 선회식 분쇄기의 분쇄부재
CN211682641U (zh) 木纤维热磨机
KR20190005422A (ko) 정미기
CN105058185B (zh) 小型超硬材料砂轮节块去毛刺机
CN210474131U (zh) 一种橡胶助剂生产加工用超微磨粉机
CN112439475A (zh) 一种颗粒谷物低温脱皮机结构和制造方法
CN217288613U (zh) 一种研磨装置
JPH05329765A (ja) バレルによる研磨装置及び方法
CN217055033U (zh) 一种更耐用的磨孔钻头结构
JP7412042B2 (ja) 高速且つ高効率のドリルビット
CN220074422U (zh) 一种金刚石精磨轮
KR0165572B1 (ko) 상향식 경사 정미기세트
CN219540966U (zh) 一种大米去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