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93Y1 - 경운기용 탑승 장치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탑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93Y1
KR900005293Y1 KR2019880008360U KR880008360U KR900005293Y1 KR 900005293 Y1 KR900005293 Y1 KR 900005293Y1 KR 2019880008360 U KR2019880008360 U KR 2019880008360U KR 880008360 U KR880008360 U KR 880008360U KR 900005293 Y1 KR900005293 Y1 KR 900005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or
seat plate
seat
tiller
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852U (ko
Inventor
안흥두
Original Assignee
안흥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흥두 filed Critical 안흥두
Priority to KR2019880008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93Y1/ko
Publication of KR890022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운기용 탑승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결합 부위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가설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간 2 : 연결간
3 : 좌판 4 : 지지간
5,5' : 연결금구 6 : 경첩
7,7' : 돌출핀 8 : 연결공
8' : 장공 9 : 경운기
10 : 핸들
본 고안은 주로 경운기의 물논같이 로타리 작업시 경운기를 운전하면서 보행으로 경운기를 따라 다니지 않고 편안히 탑승한 상태에서 경운기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한 경운기용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모내기시 물논같이 로타리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경운기의 핸들을 잡고 사람이 일일이 따라다녀야 하였으므로 보행에 힘이 많이들어 작업의 어려움이 많았던바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여 경운기에 사람일 탑승한 상태 또는 흡사 보오트를 탄것과 같이 탑승대 위에 올라서서 경운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탑승장치 전체에 대한 사시도로서 좌우한 쌍으로된 지주간(1)은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형 연결공(8)이 천공되고 연결간(2)이 축방으로 연결되어 지주간(1)의 상단과 연결간(2) 상단에는 경첩(6)에 의해 개방이 가능한 연결금구(5)(5')를 핀(5")으로 결합할수 있는 구조로 되며 또한 지주간(1)의 상간에는 L형의 좌판(3)을 개재하여 좌판(3)의 측방에 머리달린 돌출핀(7)을 고정하므로서 이 돌출핀(7)이 지주간(1)의 연결공(8)에 끼워져 결합되고 또한 보조 지지간(4)을 좌판(3)의 저면에 연결하여 좌판(3)의 횡설 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하여 전기한 연결금구(5)(5')를 제4도와 같이 통상의 경운기(9)의 핸들(10)속에 결합하므로서 본고안의 탑승 장치가 경운기의 핸들측에 부착되어 있게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좌우 1조로 되는 2개의 지주간(1)을 연결금구(5)(5')로서 경운기(9)의 핸들(10)측에 고정시킨 다음 좌판(3)의 양단측 돌출핀(7)을 연결공(8)에 결합하고 저면측에 지지간(4)을 역시 장공(8') 및 돌출핀(7')으로서 좌판(3)과 지지간(1) 하단측에 고정시키면 제4도 표시와 같이 탑승 장치 전체는 경운기(9)에 부착된 상태에 있고 좌판(3)위에 사람이 올라타서 운전을 할수가 있으므로 종래 로타리 작업시 경운기를 일일이 보행으로 따라 다니는 경우와는 달리 작업의 능률성을 기할 수 있고 아주 편안한 작업을 할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좌판(3)을 제4도와 같은 상태에서 분리시킨 다음 지주간(1)의 최하단측 연결공(8)에 결합을 시키면 좌판(3)은 논바닥 지면에서 질질끌려 경운기를 따라 다니게 되므로 이상태에서 좌판(3)위에 올라서서 운전을 하게되면 흡사 작업자는 보우트를 탄것과 같이 보행을 하지 않아도 되고 운전을 하기가 편하며 탑승감이 경쾌하여 작업능률 향상에 큰 효과가 따른다.
이상와 같이 본 고안의 탑승 장치를 경운기의 운행시 앉은 상태의 탑승 또는 보우트와 같이 미끄럼 장치로서 서서 운전하는 상태로 탑승할수가 있어서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좌우 한쌍의 지주간(1)에 다단으로형 연결공(8)을 천공하고 연결간(2)과 함께 연결금구(5)(5')로서 통상의 경운기 핸들에 부착시킬 수 있게하되 지주간(1)의 사이에는 L형의 좌판(3)을 개재하여 돌출핀(7) 및 지지간(4)으로서 좌판(3)을 상하 2단으로 고정 시킬수 있게 하여서 된 경운기용 탑승장치.
KR2019880008360U 1988-05-30 1988-05-30 경운기용 탑승 장치 KR900005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60U KR900005293Y1 (ko) 1988-05-30 1988-05-30 경운기용 탑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360U KR900005293Y1 (ko) 1988-05-30 1988-05-30 경운기용 탑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852U KR890022852U (ko) 1989-12-01
KR900005293Y1 true KR900005293Y1 (ko) 1990-06-15

Family

ID=1927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360U KR900005293Y1 (ko) 1988-05-30 1988-05-30 경운기용 탑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852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59066A (en) Vehicle for invalids
US5307527A (en) Pool chair
US4324430A (en) Infant carrier particularly for grocery store shopping carts
KR900005293Y1 (ko) 경운기용 탑승 장치
CN2647286Y (zh) 轮椅式多功能生活自助车
US3422830A (en) Walking device
FR2445125A1 (fr) Chaise pliante reglable en hauteur
CN214206304U (zh) 一种微耕机可抬的支架
KR200437753Y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용 트라이크
JPS57121932A (en) Tractor
CN209712233U (zh) 多功能仗凳
DE29824243U1 (de) Schwimmvorrichtung
IT8922170A1 (it) Sdraio ad inclinazione regolabile.
KR920003105Y1 (ko) 낚시용 텐트
CN106304952B (zh) 一种便携式起藕装置
JPS5822833Y2 (ja) 小型農作業機における足載装置
CN2149139Y (zh) 游凳
JPS584773Y2 (ja) トラクタ−における安全フレ−ム
KR19980014880U (ko) 차량의 손잡이
DE20000170U1 (de) Fahrrad mit abgesenkter Sitzhöhe
KR830000854Y1 (ko) 경운기의 탑승 운전 장치
KR860000686B1 (ko) 경운기에 부착되는 작업좌대
JPS60213591A (ja) セ−リング用ゴムボ−ト
JPH0624600U (ja) 便 器
CN2188061Y (zh) 多用途行李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