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92Y1 - 차량용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92Y1
KR900005292Y1 KR2019880005704U KR880005704U KR900005292Y1 KR 900005292 Y1 KR900005292 Y1 KR 900005292Y1 KR 2019880005704 U KR2019880005704 U KR 2019880005704U KR 880005704 U KR880005704 U KR 880005704U KR 900005292 Y1 KR900005292 Y1 KR 900005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housing
shaft
coupling
bal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957U (ko
Inventor
한웅석
Original Assignee
한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웅석 filed Critical 한웅석
Priority to KR2019880005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92Y1/ko
Publication of KR890020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일부절취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발췌 측면도.
제4도 (a)는 종래 장치의 일부발췌 분해 사시도, (b)는 종래장치의 조립상태 일부분 발췌일부절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섹터축
4 : 결합부 5 : 조정나사
6 : 구체 7 : 지지링
8 : 장공 9 : 캡너트
15 : 지지베어링 16 : 볼
18 : 볼너트
본 고안은 핸들(조향휘일)에서 전달되는 조향토오크와 회전변위를 적절하게 변환시켜 링크기구를 움직여 조향차륜에 전달하여주므로 차량의 방향을 바꿔줄 수 있게 하여 주는 차량용 조향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향장치로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섹터축(52)의 상부에 정단면이 ""형상으로 되게 결합홈(54)을 절삭가공하여 이에 조정나사(55)의 머리부분(55')을 끼워 결합시킨 다음 조정나사(55)를 하우징(51)에 부착하는 조정홈(55")이 형성된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하므로 조정홈(55")을 이용하여 공구로 조정나사(55)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섹터축(52)이 승강되게 하였으며, 또 섹터축(52)에 일체로 형성된 섹터기어(53)는 하우징(51)내에서 워엄축(67)에 결합시킨 볼너트(68)의 랙기어(69)와 맞물리도록 하였고, 볼너트(68)는 워엄축(67)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 워엄축(67)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게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이동이 되도록 하기위해 볼너트(68)는 섹터기어(53)에만 맞물리고, 다른부분은 하우징(51)의 내면과 격리되게 설치하였으며, 섹터기어(53)와 랙기어(69)의 물림틈새(백래쉬)조정은 조정나사(55)로 섹터축(52)을 움직여 주므로 조정되게 하였고, 섹터축(52)의 하부에는 길이가 짧은 니이들 베어링(64)을 결합시킨 구조로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된 조향장치는 볼너트(68)의 랙기어(69)가 섹터기어(53)와 맞물려 서로 받쳐주는 상태로 있게되는데, 주행시의 진동이나 충격등에 의해 섹터축(5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54)이 벌어지게 되거나 마모되어 조정나사(55)의 머리부분(55')과의 사이에 간격(R)이 생기게 되므로 그 간격만큼 섹터축(52)이 유동되기 때문에 섹터기어(53)와 랙기어(69)의 맞물림상태가 헐거워지게되고, 또 이렇게되면 볼너트(68)는 자체중량 또는 진동등에 의해 제4도(b)의 가상선(A)과 같이 하향회동되어 하우징(51)의 내면에 닿게되어 원활하게 이동되지 않게되므로 핸들조정이 어렵게 되며, 동시에 섹터기어(53)와 엇갈리게 되어 섹터축(52)을 회전시켜줄 수 없게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조정나서(55)를 조정하여 섹터축(52)을 하향시켜주어야 되는데, 그 하향되는 정도에 따라 결합홈(54)부분이 섹터커버(6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60')의 하단위치까지 내려가게 되는 경우 차체의 하중이나 주행시의 진동 또는 충격등에 의해 쉬파손되고, 파손된 조각들이 하우징(51)내에서 각 유동부품들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핸들조정이 되지 않게됨은 물론 다른 부품까지 파손되는 폐단도 있었다.
또한, 볼너트(68)가 하향회동되면 섹터기어(53)를 하강시켜 주어도 랙기어(69)와의 맞물림 상태에 큰 틈새가 생기게 되므로 그 틈새 만큼 핸들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이 링크기구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조향바퀴가 임의로 방향전환이 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섹터축의 상부에 결합부를 요입되게 형성하여 이에 조정나사의 머리부분을 결합시켜 캡너트로 이탈되지 않게 착설하여 조정나사가 섹터축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함과 동시에 섹터축 상부와 캡너트의 결합부분에 별도의 관형상으로된 지지링을 끼워지지토록 하므로 그 결합부분이 보강되게 하며, 또 볼너트는 다수의 볼을 직선상으로 배열되게 내장시킨 지지베어링으로 받쳐주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후이동이 원활하계 됨은 물론 어떠한 경우에도 랙기어와 섹터기어의 맞물림상태가 확실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하우징(1)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결합하는 섹터기어(3)가 일체로 형성된 섹터축(2)의 상부에는 결합부(4)를 요입되게 형성하여 구체(6)와 조정나사(5)의 머리부분(5')을 넣은 다음 일측에 장공(8)을 뚫은 지지링(7)은 결합부(4)외면에 끼우고 이에 캡너트(9)를 나사식으로 칙설하여 조정나사(5)를 결합부(4)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여줌과 동시에 조정홈(5")이 형성된 끝부분을 캡너트(9)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켜 외부에서 조정나사(5)를 회전시켜줄 수 있게하며, 이때 구체(6)는 조정나사(5)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지지하여주고, 지지링(7)은 결합부(4)와 캡너트(9)의 외면을 감싸 주므로 이들을 보강하여 준다.
또한, 조정나사(5)의 끝부분은 하우짐(1)에 부착하는 섹터커버(10)의 나사 결합구(11)를 관통하여 하우징(1)외부로 노출되게하고 이에 너트(12)를 결착하며, 이렇게 조립하면 지지링(7)을 결합한 부분은 섹터커버(1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10')내에 끼워진 상태가되고, 장공(8)은 하우징(1)과 지지부(10')에 뚫은 나사공들과 일치하게 되므로 외부에나 고정나사(13)를 착설하면 그 내단부가 장공(8)에 끼워지게 되어 결국 섹터축(2)은 장공(8)의 길이범위내에서 승강이동될 수 있게되는 것이며, 섹터축(2)의 하부에는 비교적 길이가 긴 니이들베어링(14)은 결합시켰다.
한편, 하우징(1)의 일측 내저면에는 다수의 볼(16)을 일직선상으로 결합시킨 지지베어링(15)을 고정부착하여 하우징(1)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결합하는 워엄축(17)에 착설된 볼너트(18)의 저면을 받쳐주게하므로 볼너트(18)가 안정되게함과 동시에 전후이동 작동이 부드럽게 되도록 하였고, 또 볼너트(18)에 형성된 랙기어(19)가 섹터기어(3)와 확실하게 결합되어 이들 사이에 물림틈새가 극소화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 20'는 워엄축 지지베어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핸들을 회전시키면 워엄축(17)이 회전되므로 통상의 조향장치와 동일하게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볼너트(18)는 가상선(a)과 같은 위치로 전진하거나 또는 실선위치로 후진되며, 이렇게되면 랙기어(19)에 의해 섹터기어(3)가 회동되므로 섹터축(2)이 회전되기 때문에 핸들의 회전력이 링크기구로 전달되어 조향바퀴의 방향을 바쿼주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섹터기어(3)와 랙기어(19)의 맞물림 상태 즉, 물림틈새를 조정하기위해 조정나사(5)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조정나사(5)가 섹터커버(10)의 나사결합구(11)를 따라 들어가게되므로 섹터축(2)을 하강시켜 주게되어 물림틈새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섹터축(2)의 하강폭은 지지링(7)에 뚫어진 장공(8)의 길이 범위내로 한정되며, 또 최대로 하강되어 결합부(4)와 캡너트(9)의 결합된 부분이 섹터커버(10)의 지지부(10') 하단위치까지 내려가도 이들 외면을 지지링(7)이 감싸서 보강하여 주고 있기 때문에 차체의 하중이나 또는 주행시의 진동·충격등에 의해서도 쉬 파손되지 않게되어 수명이 매우 길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볼너트(18)의 저면은 다수의 볼(16)을 내장시킨 지지베어링(15)이 받쳐주고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는 볼너트(18)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안정되기 때문에 섹터기어(3)와 랙기어(19)의 맞물림 상태가 앙호하게되고, 또 볼너트(18)의 전후이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핸들의 회전력을 항상 정확하게 링크기구로 전달하여 주게되는 등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하우징(1)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결합하는 섹터축(2)의 상부에는 결합부(4)를 요입되게 형성하여 구체(6)와 조정나사(5)의 머리부분(5')을 결합하고, 일측에 장공(8)을 뚫은 지지링(7)을 결합부(4) 외면에 끼운 다음 캡너트(9)를 나사식으로 착설하여 조정나사(5)의 끝부분이 캡너트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며, 하우징(1)의 일측 내저면에는 다수의 볼(16)을 일직선상으로 결합시킨 지지베어링(15)을 고정부착하여 볼너트(18)를 받쳐 주게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KR2019880005704U 1988-04-20 1988-04-20 차량용 조향장치 KR900005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04U KR900005292Y1 (ko) 1988-04-20 1988-04-20 차량용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04U KR900005292Y1 (ko) 1988-04-20 1988-04-20 차량용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957U KR890020957U (ko) 1989-11-01
KR900005292Y1 true KR900005292Y1 (ko) 1990-06-15

Family

ID=1927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704U KR900005292Y1 (ko) 1988-04-20 1988-04-20 차량용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957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1534B2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29979Y2 (ko)
US6000491A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steering torque sensor integrally assembled in steering device with variable steering ratio
DE68910204T2 (de) Motorisch höheneinstellbare Lenkvorrichtung.
EP0269751B1 (en) Wrist assembly of an industrial robot
US20050121251A1 (en) Belt speed reducing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10989284B2 (en) Steering column device
EP0414245A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20020062569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4333627A (en) Arrangement for moving an object
JPH0686900B2 (ja) スクリユ−ナツト駆動装置
US10569798B2 (en) Linkage for steering wheel electric motor tilt assembly
CN113015858B (zh) 用于转向柱的调节驱动器及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4724714A (en) Rack-and-pinion steering gear device
JPH0579546B2 (ko)
JP2002002503A (ja) 車両用電動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900005292Y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1028729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JP4008577B2 (ja) 水上オートバイ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装置
EP0089129A2 (en)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with a backlash regulator for industrial robots
KR100619225B1 (ko) 조향 휠의 회전수 조절장치
US5211069A (en) Steering device
KR20050018142A (ko) 차량용 전동 틸트 조향컬럼
JPH0418959B2 (ko)
CN218431388U (zh) 一种带角度传感器转向柱的改良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