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96Y1 -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 Google Patents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96Y1
KR900005196Y1 KR2019870019030U KR870019030U KR900005196Y1 KR 900005196 Y1 KR900005196 Y1 KR 900005196Y1 KR 2019870019030 U KR2019870019030 U KR 2019870019030U KR 870019030 U KR870019030 U KR 870019030U KR 900005196 Y1 KR900005196 Y1 KR 900005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piston
vehicle
hydraulic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88U (ko
Inventor
주영승
Original Assignee
주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승 filed Critical 주영승
Priority to KR2019870019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96Y1/ko
Publication of KR890010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제1도는 본 고안의 상하운동범위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좌우운동범위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전지면(地面) 접촉판을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부착형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전방(前方) 유압쟈키를 사용하여 앞타이어를 든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부착형태 및 좌. 우회전반경을 나타낸 평면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어스위치만을 한곳으로 모아 인출전선으로 길게 빼내어 위험 상황시 차량 밖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8도는 본 고안의 전방(前方) 유압쟈키 사용 후, 후방(後方)유압쟈키를 1회씩 사용하였을 때의 측방이동상태를 나타낸 측방이동예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전방유압쟈키 사용으로 좌측이동 후, 후방유압쟈키를 사용하여 우측이동 했을 때의 회전이동 예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전방유압쟈키만의 반복된 사용으로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전이동 예시도.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 이동 및 방향전환은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의 조작에만 의존해야한다는 점에 있어서 복잡한 주차장에서와 같이 좁은 곳에서는 쉽게 가벼운 접촉사고를 유발하거나, 자동차가 길이 방향으로 좁은 간격으로 주차되어 있을 때는 앞차 또는 뒷차가 빠져나가지 않으면 주차된 곳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는 결점과 자동차의 진행도중에 종종 발생하는 일로서 하수구, 맨홀 등에 타이어가 한쪽 또는 두 쪽 모두 빠졌거나 벼랑 같은 곳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하였을 때는 견인차가 있어야만 차량을 구조할 수 있는 불편한 점 타이어의 펑크 등으로 차량을 들어주어야 할 때, 진흙탕에 빠졌을 때의 구조의 어려움 등의 결점을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앞바퀴 중앙부와 뒷바퀴 중앙부에 본 고안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1대당 본 고안의 2셋트가 필요하다. 주요 구성요소를 보면 상하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7) 및 이에 따르는 부속제어기구와 좌우 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11) 및 이에 따르는 부속제어기구, 지렛대(17)와 지렛대 끝에 이어진 회전지면 접촉판(19)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압펌프 제어용스위치(1)를 연결하여 전원을 통해주면 유압펌프(3)가 작동하여 유압을 발생시켜 준다.
유압은 유압관(4)을 통하여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6)(10)로 흘러 상하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7) 및 좌우이동 조절용 유압실린드(11)로 공급되어 상하이동 피스톤(8) 및 좌우이동 피스톤(21)을 밀거나 당겨주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6)(10)는 상하이동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스위치(5) 및 좌우이동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스위치(9)에 의해 각각 제어를 받게 된다.
제1도는 상하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7)의 상하이동 피스톤(8)에 의해 움직이는 지렛대(17)의 상하운동이 도시된 것으로써 유압에 의해 피스톤(8)이 밀려 내려가면 핀(16)으로 연결된 지렛대가 아래로 움직이게 되는데 오른쪽의 끝부분은 상하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11)의 좌우이동 피스톤(2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렛대의 왼쪽 끝부분이 내려가게 된다. 왼쪽 끝에는 회전지면(回轉地面) 접촉판(19)이 있어서 지렛대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지면에 견착된다. 견착된 후의 계속된 유압은 반작용으로 자동차를 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좌우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11)의 좌우이동피스톤(21)의 역할에 의해 움직이는 지렛대의 좌우운동이 도시된 것으로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밀려나가거나 당겨지게 되면 상하이동용 피스톤(8)을 축으로 지렛대가 제한된 반경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피스톤이 완전히 당겨 들어가면 지렛대는 제2도의 B피스톤이 완전히 밀려나가면 지렛대는 제2도의 C의 위치가 된다.
이때 두 유압실린드(7)(11)의 자체고정장치에는 차이가 있다. 제1도에서 보면 상하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7)는 볼트 조임(14)으로 차체의 하부(15)에 완전히 결착시켜 주면 지렛대가 아래로 내려올 때 피스톤은 직선운동을 하므로 지렛대의 오른쪽의 좌우이동용 피스톤의 연결된 부분이 왼쪽으로 조금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제2도에서 보면 좌우이동용 피스톤(21)이 왕복운동할 때에도 지렛대는 상하이동용 피스톤(8)을 축으로 회전하므로 이에 따라 좌우이동조절용 피스톤도 따라서 회전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좌우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11)은 차체의 하측부에 고정은 하되 후미의 고정핀(27)을 축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헐거운 조임(12)하고 구멍(28)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 준다.
제3도는 회전지면 접촉판(19)으로서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23)을 이용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해 주면서 지렛대(17)를 통하여 전달되는 자체의 하중을 받쳐주고, 지렛대의 상하이동에 의한 각(角)의 차이는 공이(24)와 공이집(18)이 해준다.
도면 미설명 부호 2 : 전선, 12 : 볼트너트, 13 : 유압실린드 고정판, 20 : 지면고정침, 22 : 핀, 25 : 와셔, 26 : 볼트, 29 : 전. 후방 전원전환스위치, 30 : 볼트, 31 :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아링 이탈방지 와셔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로 실제 장착하여 사용시에는 자동차의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사이에 하나씩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지렛대의 한쪽 끝은 지면에 고정되고 한쪽 끝은 앞바퀴의 중앙 혹은 뒷바퀴 중앙에 설치된 유압실린드와 결착된 자동차의 하체를 들어주는 것이므로 전방유압쟈키를 사용할 때는 전륜의 중앙부와 후륜 2개가 삼각점을 이루고 후방 유압쟈키를 사용할 때는 후륜의 중앙부와 전륜 2개가 삼각점을 이루어 타이어가 들릴 때는 앞바퀴 2개 혹은 뒷바퀴 2개가 동시에 들린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인 전반유압쟈키와 후방유압쟈키의 부분사용 혹은 복합사용으로 차체를 단순히 들어주는 역할을 넘어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측방이동하거나 좌. 우로 회전이동이 가능해지게 되는데 그 이동과정은 좌우 이동용 피스톤 및 상하이동용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한 것이므로 제6도의 평면예시도처럼 자동차의 전륜 및 후륜의 사이에 유압쟈키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하고, 전방 좌우이동용 유압실린드의 피스톤을 : F, 전방 상, 하 이동을 유압실린드의 피스톤을 : f, 후방 좌우 이동용 유압실린드의 피스톤을 :B, 후방 상하이동용 유압실린드의 피스톤을 : b, 각각의 피스톤이 밀려나간 상태를 :, 각각의 피스톤이 당겨 들어간 상태를 :로 표시한다고 할 때 각각의 이동을 위한 작동순서를 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되어있다.
전방을 들어줄 때 : f, 전방을 내려줄 때 : f, 후방을 들어줄 때 : b, 전방을 내려줄 때 : b, 차체를 좌측으로 측방이동 시킬 때 : F, 차체를 우측으로 측방이동 시킬 때 : F , 차체를 좌측으로 회전시킬 때 : F또는 F차체를 우측으로 회전시킬 때 :F또는 F, 위와 같은 순서의 반복된 동작으로 자동차는 본 고안만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조작은 차내에서도 할 수 있고, 위험상황시와 같은 때는 자동차에서 내려서 조작할 수 있도록, 위험상황시와 같은 때는 자동차에서 내려서 조작할 수 있도록 제7도와 같이 전. 후방 유압실린드 조절용 스위치 박스를 만들어 전선(2)을 길게 하여 차량 바깥으로도 가지고 나올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본 고안의 효과로는 타이어의 펑크 등으로 바퀴를 갈아 끼워야 할 때, 하수구, 맨홀, 비탈 등에 타이어가 2개까지 빠졌을 때, 비좁은 주차장 등에서 앞뒤의 차량에 의하여 진행해 나갈 수 없을 때나 진흙탕에 뒷바퀴가 빠져 차량이 진행하지 못할 때, 등의 상황시에 본 고안을 이용하여 방향전환을 이룰 수 있고, 좁은 도로상에서 자동차를 180°회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등 승용차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종류의 차량에 장치하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제7도)의 조작으로 상하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7) 및 좌우이동조절용 유압실린드(11)의 상하이동피스톤(8)과 좌우이동피스톤(21)의 끝 부분에 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렛대(17)와, 지렛대의 한쪽 끝에서 공이(24)와 공이집(18)으로 연결되고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베어링으로 자유회전을 꾀한 회전지면(地面) 접촉판(19)으로 구성된 유압쟈키의 2개 사용으로 자동차의 측방이동 및 회전이동과 바퀴의 노상(路上) 이탈상황시의 구조를 위한 자동차 장착용 유압쟈키.
KR2019870019030U 1987-11-02 1987-11-02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KR900005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030U KR900005196Y1 (ko) 1987-11-02 1987-11-02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030U KR900005196Y1 (ko) 1987-11-02 1987-11-02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88U KR890010588U (ko) 1989-07-11
KR900005196Y1 true KR900005196Y1 (ko) 1990-06-15

Family

ID=1926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030U KR900005196Y1 (ko) 1987-11-02 1987-11-02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81B1 (ko) * 2008-10-21 2010-02-11 우창홍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동력배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81B1 (ko) * 2008-10-21 2010-02-11 우창홍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동력배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88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316B2 (en) Motor grader circle drive assembly
US4572340A (en) Safety lock vehicle transmission
EP0164369A1 (en) Lifting and maneuver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AU7825501A (en) Spare wheel carrier
US2698667A (en) Wheeled vehicle convertible to crawler type
KR880000562B1 (ko)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KR900005196Y1 (ko) 자동차에 장착된 방향전환 및 바퀴 이탈상황시의 구조용(救助用) 유압쟈키
US3029886A (en) Combination parking device, wheel jack, and wheel block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US4809797A (en) Auxiliary snow-chain device for motor vehicles
CN106740741A (zh) 一种车辆移位装置
US4372220A (en) Motor vehicle for use on roads and railways
US200200785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al/ installation of a vehicular component
US3460643A (en) Wheel device for laterally moving an automotive vehicle from rest
US3589462A (en) Motor vehicle parking mechanism
CN2037708U (zh) 汽车增设液压升降万向轮转向机构
US1539974A (en) Lifting jack
CN110878833B (zh) 专用车行驶锁止装置
US2662604A (en) Parking attachment for automobiles
DE19743735B4 (de) Flurförderzeug mit einem Fahrerstand zum Bremsen eines solchen Flurförderzeugs
DE3217421A1 (de) Fahrhilfe fuer fahrzeuge
FR2376779A1 (fr) Dispositif de bequilles automatiques pour moto ou vehicules automoteurs ou non
CN101559768B (zh) 一种基于线控的汽车制动系统
CN112124005B (zh) 一种车轮自动防滑装置
DE480563C (de) Wagenheb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CN211442265U (zh) 一种便于挪动避险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