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33Y1 -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33Y1
KR900005133Y1 KR2019860019724U KR860019724U KR900005133Y1 KR 900005133 Y1 KR900005133 Y1 KR 900005133Y1 KR 2019860019724 U KR2019860019724 U KR 2019860019724U KR 860019724 U KR860019724 U KR 860019724U KR 900005133 Y1 KR900005133 Y1 KR 90000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witching
base
capacito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9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440U (ko
Inventor
강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9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33Y1/ko
Publication of KR880013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10 : 트랜지스터 R1-R9 : 저항
C1-C2 : 콘덴서 D1-D4 : 다이오드
본 고안은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전환 또는 오디오 모드 전환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원전환시 또는 모드 전환시에 발생되는 폽 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하기 위해 전환스위치 양단에 콘덴서를 사용하는 임시적인 방편을 취해 왔으나 근본적으로 폽 노이즈를 제거하지 못하였고, 오디오 시스템이 고급기종일 경우에는 폽 노이즈 제거용 집적회로를 사용하였으나 가격이 비싸서 중급형 이하 보급형 모델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원전환시 또는 모드 전환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뮤팅(Mutting)시키도록 하는 회로를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및 저항으로 구성하여서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을 "온"시에 또는 전환시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펄스에 의해서 들리는 잡음인 폽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이다.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을 "온"시에 또는 모드 전환시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펄스에 의해서 들리는 잡음인 폽 노이즈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이다.
첨부도면에서, 전원을 "온"시에 발생되는 논리 "1"(하이레벨)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5)는 도통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4)가 제어되도록 연결되고, 전원을 충전하는 콘덴서(C2)의 방전여부에 따라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6)와 트랜지스터(Q7)는 도통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키며 이 트랜지스터(Q1)의 도통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Q2)가 제어되어서 모드 전환신호가 콘덴서(C1)와 저항(R1)에 의해 펄스신호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킴을 제어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비교기인 트랜지스터(Q8,Q9)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을 비교하여서 트랜지스터(Q9)가 도통되면 트랜지스터(Q10)가 연속 도통되어서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에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뮤팅시키고, 트랜지스터(Q8)가 도통되면 트랜지스터(Q9-Q11)는 도통되지 않아 뮤팅상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먼저,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 전환시, 즉 전원을 "온""오프"할때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회로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뮤팅에 대해 설명하면, 트랜지스터(Q8,Q9)는 비교기로서 동작하는데,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전압이 높을때에는 트랜지스터(Q9)가 도통되지 않음에 따라 트랜지스터(Q10,Q11)으로 이루어진 출력 뮤트부를 구동하지 못해 뮤팅이 해제된 상태이고,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 전압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전압보다 높을때에는 트랜지스터(Q9)가 도통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0)가 연속도통되어서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 전류가 차제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9)를 접지되도록 전류패스(Path)가 형성된다.
즉, 전류패스가 트랜지스터(Q9)를 통해서 이루어질 때는 뮤팅상태인 것이다.
전원을 "온"시에 입력되는 논리 "1"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5)는 도통되고 그 콜렉터전압은 0V로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4)는 오프된다.
그러면 전원(Vcc)이 저항(R6)을 거쳐 콘덴서(C2)에 충전을 시작함과 동시에 그 전압은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인가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전압은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전압과 비교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전압은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전압보다 낮은 상태에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9)는 도통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를 뮤팅시킨다.
그후, 전원과 저항(R6)을 거쳐 콘덴서(C2)에 충전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전압보다 높을때까지 증가하게 되면 트랜지스터(Q9)는 도통되지 않으므로 뮤팅상태가 해제된다.
즉, 전원 온 순간에는 뮤팅상태에 돌입하므로 전원 온시 발생되는 잡음이 뮤트되고, 그 이후 뮤팅해제되어 오디오의 정상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콘덴서(C2)에 충전되는 전압은 다이오드(D1)에 의해 4VBE를 넘지 못하는데, 이는 다음 기능의 수행을 위해 방전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전원을 "오프"시에, 논리 "0"(로우레벨)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5)는 도통되지 않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4)는 도통되어서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저항(R3)과 트랜지스터(Q4)를 통해 순간적으로 방전된다.
이때, 방전을 개시한 콘덴서(C2)의 전압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전압이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전압이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전압보다 낮게 되어 트랜지스터(Q9)는 도통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9)가 도통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뮤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오디오 기능의 전환시에 발생되는 폽 노이즈를 제거하는 회로동작을 설명한다.
모드의 기능 전환시에 전환스위치를 구동시키면 이때에 발생되는 구동전압으로 회로를 제어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펄스에 의해 폽 노이즈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기능 전환시의 폽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기능전환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콘덴서(C1)와 저항(R1)에 의해서 펄스신호로 바꾸고, 이 펄스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면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R3)과 트랜지스터(Q3)를 통해 방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방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전압이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전압 보다 낮아져서 트랜지스터(Q9)는 도통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0,Q11)가 연속도통되어 오디오 출력신호는 뮤팅된다.
그리고, 콘덴서(C2)의 전압은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걸리는 전압이므로 방전된 콘덴서(C2)의 전압이 전원과 저항(R8) 및 다이오드(D2-D4)에 의해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 전압보다 낮게되면 트랜지스터(Q7)가 도통되어서 트랜지스터(Q1,Q2)가 연속 도통된다.
트랜지스터(Q1)이 온됨에 따라 전원과 저항(R2)에 의해 상기한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됨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전압이 논리 "0"신호로 떨어지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3)는 도통되지 않고, 이에 따라 콘덴서(C2)는 다시 충전되어서 트랜지스터(Q9)를 도통시키지 않도록 하여 뮤팅기능을 해제시킨다.
즉, 모드기능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순간 트랜지스터(Q3,Q9,Q10,Q11)는 온되어 뮤팅되다가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전압보다 떨어질 때 뮤팅 기능이 해제된다.
따라서, 모드기능 구동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뮤팅되어서 폽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며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을 전환시키거나 모드기능 전환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

  1. 전원 전환시 또는 모드 기능 전환시에 발생되는 폽 노이즈를 제거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뮤팅회로에 있어서, 전원 절환신호를 받는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비교기(Q3,Q4)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그 콜렉터에 연결된 저항(R3)을 충,방전용 콘덴서(C2)와 병렬 연결하여 저항(R6)을 거쳐 전원(Vcc)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는 또 다른 비교기(Q9,Q9)의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에는 오디오신호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0,Q11)를 연결하며 모드기능 구동신호를 받는 콘덴서(C1)는 저항(R1)을 거쳐 상기 비교기(Q3,Q4)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스위칭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공히 연결하며,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2)에 비교기(Q6,Q7)를 연결하고, 전원과 저항(R8) 및 다이오드(D2-D4)에 의해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를 연결하여 그 콜렉터는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또 다른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사기 트랜지스터(Q1)를 연결구성하여 전원전환 및 모드 전환시 뮤팅 온/오프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KR2019860019724U 1986-12-10 1986-12-10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KR900005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9724U KR900005133Y1 (ko) 1986-12-10 1986-12-10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9724U KR900005133Y1 (ko) 1986-12-10 1986-12-10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440U KR880013440U (ko) 1988-08-30
KR900005133Y1 true KR900005133Y1 (ko) 1990-06-09

Family

ID=1925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9724U KR900005133Y1 (ko) 1986-12-10 1986-12-10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440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9649A (en) Monolithically integrable squarewave pulse generator
EP0345339A1 (en) Darlington amplifier with high speed turnoff
US4092551A (en) A.C. powered speed up circuit
US4424455A (en) Glitch eliminating data selector
EP0381238B1 (en) Bi-MOS logic circuit having a switch circuit for discharging electrical charge accumulated in a parasitic capacitor
US3657572A (en) Power converter with self-synchronization and bias
KR900005133Y1 (ko) 오디오 노이즈 제거회로
US4129793A (en) High speed true/complement driver
JPH07104711A (ja) ポータブルターミナルにおけるlcd電源制御回 路
US6104151A (en) Starting circuit and method for stagedly starting an electrosensitive circuit
EP0299581B1 (en) Bipolar multiplexer and select buffer circuit for use therein
US5900786A (en) Oscillation circuit
KR0138451B1 (ko) 하이브리드 릴레이
KR20030055966A (ko) 팝 노이즈 발생 방지 장치
JPS6129188B2 (ko)
EP0685941B1 (en) Bootstrap circuit
KR920006206Y1 (ko) 오디오 뮤팅회로
JPH0686458A (ja) 電源選択回路
JP2943810B2 (ja) モータ駆動ic回路
JPH0430816Y2 (ko)
SU6830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и защиты источника напр жени
SU1370768A2 (ru) Элемент выдержки времени
SU1750038A1 (ru) Генератор задержанных импульсов
SU17201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ключени реле при пониженном напр жении питани В.Г.Вохм нина
KR100211108B1 (ko) 전원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