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19Y1 - 텐트포울 연결구 - Google Patents

텐트포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19Y1
KR900005119Y1 KR2019860001200U KR860001200U KR900005119Y1 KR 900005119 Y1 KR900005119 Y1 KR 900005119Y1 KR 2019860001200 U KR2019860001200 U KR 2019860001200U KR 860001200 U KR860001200 U KR 860001200U KR 900005119 Y1 KR900005119 Y1 KR 900005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les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883U (ko
Inventor
임명순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임명순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순, 이용권 filed Critical 임명순
Priority to KR2019860001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19Y1/ko
Publication of KR880000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텐트포울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발췌단면도로서 포울을 절첩한 상태.
제2도는 제1도에서 포울을 일직선으로 전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삽착구 2 : 브라킷
3,3' : 고정구 4,4' : 축핀
5 : 연결간 7 : 외통
9 : 내통 10 : 연결구
본 고안은 포울이 자유롭게 절첩 및 전개됨과 동시에 전개 사용시는 포울 상호간의 연결고정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되고 또 그 연결상태가 매우 견고한 텐트포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양상의 텐트포울 연결구등이 안출 사용되어온 바 있으나 그 대부분이 사용시 포울간의 연결고정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또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중 연결구의 고장파손이 빈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게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어느것은 일측단부에 적절한 크기의 끼움부를, 그 반대측단부에는 이에 대한 삽착홀을 형성한 개개의 단위 포울대들을 단순히 삽착식으로 연결시켜 사용토록한 것도 있었으나, 이는 포울상호간의 연결고정작업은 비교적 간편하나 이를 사용해 전개설치된 텐트가 다소간 큰 풍압을 받으면 상기와 같이 단순삽착식으로 연결된 포울들이 상호 해리되어 텐트의 설치상태가 와해되기 쉬운 결점이 있음과 동시에 포울을 해체시켜 보관, 휴대할 때의 그 단위 포울대들을 한두개씩 분실하기 쉬운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울을 자유롭게 절첩휴대,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 사용시 포울 상호간의 연결고정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되고, 또 그 연결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보다 개선된 텐트포울 연결구를 제공코자 함이다.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삽착부(1)와 브라캣(2)을 서로 배반되게 형성한 원주상의 고정구(3)(3') 한쌍을, 적정 간격을 두고 그 브래킷(2)을 상호 대향시켜 이 브래킷(2)내에서 각 단부가 축핀(4)(4')으로 회동자재토록 지지되는 연결간(65)으로 연결구속하고, 상기 각 고정구(3)(3')의 삽착부(1)에 임의의 일정길이로 형성된 단위 포울(6)(6)들의 마주보는 각 단부를 삽착고정시키는 한편, 고정부(7')을 가진 외통(7) 내부에 이 고정부(7') 맞은편의 개구단으로부터 스프링(8)과 관상의 내통(9)을 차례로 수장함과 동시에 상기 내통(9)이 스프링(8)의 힘으로 외통(7)의 내주면을 따라 제한된 거리만큼 탄동되도록 설치한 연결구(10)를 상기 포울들중 어느 일측 포울(6)에 그 외통(6)의 개구단이 고정구(3)(3')쪽을 향하도록 관삽시켜 고정부(7')로 고착하되 이의 내통(9)이 상기 일측 포울(6)의 고정구(3) 일부에만, 혹은 양쪽 포울(6)(6)의 각 고정구(3)(3') 외주면들에 동시에, 선택적으로 외접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상기 연결구(10)의 설치구조를 좀더 자세히 보면, 외통(7)의 몸체 적소에 긴 활동공(7")을 그 축방향으로 적외 형성하고 내통(9)의 적소에는 걸림편(9')을 형성하여 이 내통(9)을 외통(7) 내에 삽설할때 상기 내통(9)의 걸림편(9')이 외통(7)의 활동공(7")에 내지되도록 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포울(6a)(6b)을 도면 제1도의 상태로 절첩 보관, 또는 휴대하다가 사용시는 이 포울(6a)(6b)을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전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포울(6a)(6b)의 절첩 보관시는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연결간(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통(9)을 스프링(8) 힘을 거슬려 외통(7)내에 삽착시킨후 각 포울(6a)(6b)들을 상기 연결간(5)의 축핀(4)(4')들을 지점으로 회동시켜 상호 절첩구속된 상태로 보관, 휴대할 수 있는 것이고(포울이 완전히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내통(9)은 그 선단부가 연결간(5)의 몸통에 걸려 있게 되어 스프링(8)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외통(7) 외부로 임의 탄출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절첩된 포울(6a)(6b)을 상호 일직선으로 전개 고정시켜 사용코자할 때에는 연결간(5)의 축핀(4)(4')을 지점으로 포울(6a)(6b)들을 전기의 역으로 회동시켜 상호가 일직선으로 되게 펴가면 이때 내통(9)의 선단부가 연결간(5)의 몸통으로부터 해방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내통(9)이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외통(7) 외부로 자동 탄출되고, 포울(6a)(6b)을 완전히 폈을 때는 내통(9)의 걸림핀(9')이 외통(7)의 활동공(7") 선단부에 걸려 상기 내통(9)의 탄출이 정지됨과 동시에 이 내통(9)이 상기 각 포울(6a)(6b)의 고정구(3)(3') 외주면들에 동시에 기밀히 외접케 됨으로써 이 포울(6a)(6b)들을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은 상태로 간편히 전개고정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임의의 일정길이로 된 단위 텐트포울들을 상호간 간편히 절첩구속시켜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에도 절첩된 포울들을 상호 일직선으로 펼쳐주기만 하면 이들이 일직선상으로 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견고히 연결 고정되는 것이어서 포울의 사용시 극히 편리하고, 또한 그 연결구조도 상호 적의 구속된 원주상의 고정구 외주면에 관상의 연결체를 기밀하게 외접시켜주도록한 구조로써 포울의 연결 고정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수명이 장구한 것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포울(6a,6b)의 단부에 고정시킨 고정구(3,3)를 연결간(5)으로 연결하여 축핀(4,4')을 중심으로 회동절곡되도록 한 텐트포울에 있어서, 상기 포울(6a,6b)중 일측에, 축방향의 활동공(7")을 구비한 원통형의 외통(7)과, 외통(7) 내에 스프링(8)으로 탄력설치되고 활동공(7")에 안내되는 걸림편(9')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구(3,3') 외면을 지지보강하는 내통(9)으로 구성된 연결구(10)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포울 연결구.
KR2019860001200U 1986-02-04 1986-02-04 텐트포울 연결구 KR900005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200U KR900005119Y1 (ko) 1986-02-04 1986-02-04 텐트포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200U KR900005119Y1 (ko) 1986-02-04 1986-02-04 텐트포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883U KR880000883U (ko) 1988-02-20
KR900005119Y1 true KR900005119Y1 (ko) 1990-06-09

Family

ID=1924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200U KR900005119Y1 (ko) 1986-02-04 1986-02-04 텐트포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883U (ko) 198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5619B (fi) Foerbindningselement foer en staong.
US5375938A (en) Interior sleeve for tubular members
CA2199447C (en) Locking device for telescopic rods
KR910004238B1 (ko) 구조물 부재의 연결장치
KR900001464A (ko) 푸쉬-온 식 패스너
US3850534A (en) Chair connector
US4086014A (en) Quick locking and unlocking connector
KR900005119Y1 (ko) 텐트포울 연결구
DE69704910D1 (de) Stock mit änderlicher Länge und Verriegelungsvorrichtung dafür
US3674293A (en) Expansible connector for joining tubes
US20050229467A1 (en) Collapsible gun cleaning rod
KR940020504A (ko)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FR2352200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elements tubulaires
KR200263644Y1 (ko) 뜰채의 연결구조
CH596458A5 (en) Assembly joint for tubular elements - has snap fittings inside tubes to retain plug ends of cylindrical connectors
KR0119705Y1 (ko) 낚시대
KR850002955Y1 (ko) 낚시대 받침대
RU189657U1 (ru) Склад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каркасно-тен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910008844Y1 (ko) 릴낚시대 손잡이의 걸림편 가동 장치
KR200218094Y1 (ko) 샹들리에 암 연결구
KR200152599Y1 (ko) 총구 소제용 꼬질대
CN215333824U (zh) 一种伸缩杆
KR940007610Y1 (ko) 비닐하우스 지지구
JP3118506U (ja) 棒状体結合ユニット
KR200195694Y1 (ko) 절첩식 건조대의 프레임 및 걸이봉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