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093B1 -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 Google Patents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93B1
KR900005093B1 KR1019880012894A KR880012894A KR900005093B1 KR 900005093 B1 KR900005093 B1 KR 900005093B1 KR 1019880012894 A KR1019880012894 A KR 1019880012894A KR 880012894 A KR880012894 A KR 880012894A KR 900005093 B1 KR900005093 B1 KR 90000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arbon
catalyst
hydrocarbon fraction
fraction
ran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918A (ko
Inventor
이마이 라모츠
시. 브리커 제프리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죤 에프. 피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죤 에프. 피타스 filed Critical 유오피
Priority to KR101988001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093B1/ko
Publication of KR90000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촉매중의 하나인 촉매 A의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산세척 및 비세척된 산패된 탄화수소류를 처리하는데 사용된 촉매 A의 내구성을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은 알맞는 티오 에테르 생성 조건과 불포화 탄화수소 및 산촉매를 사용하여 산패된 탄화수소류를 감미화시키는 독특한 비-산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페트롤륨 정제공업에 공지되고 널리 사용되어온 알칼리 성분과 산화제의 존재하에서 산화촉매와 상기분율을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분율을 처리한다. 상기 공정은 전형적으로 산패된 탄화수소뷴율내에 함유된 공격성 메르캅탄을 무독성인 디설파이드로 산화-주로 감미화로 알려진 공정-하는데 영향을 주도록 고안되었다. 산화제는 대부분의 경우 공기이다. 천연, 지쇄와 측쇄 가솔린과 같은 가솔린이 주로 처리되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이다. 그외의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는 나프타, 케로센, 제트연료, 제트오일, 윤활류 등이 포함된다.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대하여 주로 사용되는 연속 공정은 부식성 수용액에 분산된 금속 프탈로시아닌 촉매를 유출물과 접촉하여 처리하므로서 닥터(doctor)감미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산패된 탄화수소분율과 촉매함유 부식성 수용액은 액체-액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메르캅탄은 일반적으로 공기인 산화제의 존재내의 비-혼합성 용액의 내부에서 디설파이드로 전환된다. 산화되기가 더욱 힘든 메르캅탄을 함유하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은 일반적으로 활성화된 챠콜상의 금속 프탈로시아나인과 같은 넓은 표면제의 흡수성 지지체상에 배치된 금속킬레이트 촉매와 접촉시킴으로서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된다.
산패분율은 알칼리 제제 존재하의 산화조건에서, 지지된 금속킬레이트 촉매와 접촉시켜 처리된다. 그와같은 공정중의 하나는 U. S. P. 제 2, 988, 500호에 서술되어 있다. 산화제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처리되어진 탄화수소분율과 공기 혼합되며 알칼리 제제는 대부분 촉매를 부식성-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어지는 바에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공정에 유입되는 부식성 수용액이다.
종래에 있어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메르캅탄을 촉매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제제를 처리공정에 앞서 산패된 페트롤륨 증류물에 주입시키는 것을 포함한다(U. S. P. 제 3, 108, 081과 4, 156, 641호). 이들 특히 및 그 외의 특허에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내의 메트캅탄올 모두 산화방법으로 처리함으로서 염기성 공정을 개선한다고 하였다.
U. S. P. 제 3, 894, 107호에서는 기체상내의 300℃-500℃의 온도를 특별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분자체상에서 헤테로원자 화합물을 더 큰 탄화수소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에 메르캅탄이 사용된다면 생성물은 더큰 탄화수소와 H2S일 것이다. H2S의 형성은 배출의 문제점을 갖게한다. 그러므로 H2S 배출문제와 고온에 의하여 본 공정은 탄화수소 감미화공정에 유용하지가 못하다.
본 발명은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의 비-산화성 감미화 방법을 서술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함유하는 메르캅탄을 불포화 탄화수소의 존재하에서 산형태의 촉매와 접촉시켜 상기 메르캅탄을 티오에테르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알칼리 제제가 사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소모된 알칼리 제제를 배출시키는 문제가 제거된다는 점에서 선공정의 산화 방법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목적은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처리하기 위한 신규의 비-산화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례는 메르캅탄을 함유하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내에 존재하는 메르캅탄의 몰량과 동등한 양의 최소한 하나의 농축된 불포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분율을, 상기 메르캅탄을 티오에테르로 전환시키도록 선택된 비-산화성 반응조건에서 산-촉매와 접촉시킨 뒤 상기 감미화된 탄화수소분율을 회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알맞는 양의 메르캅탄과 불포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은 메르캅탄을 티오에테르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선택된 조건에서 산성의 수지와 연속적으로 접촉시킨 뒤 감미화된 탄화수소분율을 회수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예는 다음의 서술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서, 탄화수소분율의 잔류 메르캅탄의 양은 스트림에 대한 시간으로 나타내었다.
제2도에서, 티오에테르로 전환하는 메르캅탄을 스트림에 대한 시간으로 나타내었다.
전자 방출기능을 갖는 올레핀과 티올의 반응은 공지되었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A.N.Glazer, Annual Rev. Biochem., 39, 108(1970); W.L.Baker, J.Chem.Tech.Biotechnol.,34A, 227-236(1984).
그러나 이것은 화학양론적 반응으로서, 낮은 반응속도에 의하여 촉매제 감미화제로는 유용하지가 않다. 본 발명은 산촉매의 존재내에서 불포화 탄화수소를 사용한 반응에 의하여 메르캅탄을 전환하므로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의 비-산화성 감미화방법을 서술하고 있다. 일반적인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각각의 R은 수소, 알킬탄화수소, 시클로알킬탄화수소, 아릴탄화수소, 알크아릴탄화수소와 아랄킬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된다. R이 상기 정의된 탄화수소중의 하나이라면 탄화수소는 약 25개까지의 탄화수소를 함유할 수 있다.
각각의 R이 t-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탄화수소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양호하다.
R'SH는 R'는 약 25개까지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라디칼인 어떠한 메르캅탄 화합물이라도 상관이 없으며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크아릴과 아랄킬에서 선택된다.
상기식에서, 산 촉매는 메르캅탄과 불포화 탄화수소의 반응을 촉매화하여 허용가능한 생성물인 티오에테르를 산출시킨다. 티오에테르화 반응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전형적인 촉매는 산성의 망상 중합체 수지, 삽입된 화합물, 고체 산성의 촉매, 산성 무기 산화물과 금속 설페이트가 있는데 이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히 하자면, 산선 중합체 수지의 예로는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수지가 있다.
비록 마크로-및 마이크로 망상의중합성 술폰산 수지가 사용된 경우라도, 마크로 망상의 주압성 술폰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들 형의 수지는 본 분야에 공지되었으며 시판되고 있다.
삽입된 화합물은 결정성 격자의 평판사이에 양이온의 층을 갖는 물질로서 정의된다. 산성인 삽입식 화합물만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산성의 삽입식 화합물의 예는 그래파이트내의 안티모니할라이드, 그래파이트내의 알루미늄할라이드, 그래파이트내의 질코늄 할라이드가 있다. 양호한 삽입식 화합물은 그래파이트내의 안티모니 펜타플루오라이드이다. 이들 화합물도 시판되고 있다.
고체인 산성 촉매도 메르캅탄이 티오에테르로 전환하는 것을 촉매화한다고 알려졌다. 고체인 산성 촉매의 형태중 하나의 예는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키젤구르 또는 클레이상에 지지된 인산, 황산 또는 붕산 등이 있다. 이들 산성촉매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액체 산을 원하는 지지체와 반응시킨 뒤 건조하여 제조한다. 고체 산성촉매의 그외의 형태로는 산성 무기산화물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성의 무기 산화물 촉매는 알루미나, 실리카-천연 및 합성 원주형 클레이와 천연 및 합성 제올라이트 즉 포저사이트, 모르데나이트, L, 오메가, X와 Y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산화물의 대부분은 합성되거나 시판되는 공급원으로부터 양호하게 산출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는 산성 무기 산화물의 아류에는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에 있는데 알루미늄 할라이드 또는 보존 할라이드로 함침된다. 이러한 형태의 양호한 촉매는 알루미나 상에 침착된 보존트리 플루오라이드가 이다.
마지막으로 질코늄 설페이트, 니켈 설페이트, 크로듐 설페이트, 코발트 설페이트 등의 금속 설페이트로 본 발명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어떠한 형태의 촉매가 사용되었던가를 차지하고 촉매는 입자형인 것이 양호한 뒤 입자는 평균 지름이 4.0mm미만이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평균입자크기(평균지름)은 약 105미크론 내지 약 4.0mm사이인 것이 양호하다. 촉매의 입자 크기가 105미크론보다 적으면 처리구역에서 과도한 후압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산패된 탄화수소뷴을은 FCC가솔린, 케로센, 열분해된 가솔린, 직쇄 나프타, LPG와 연료오일 등이 포함된다. 산패된 탄화수소가 불포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것이 양호하다. 원칙적으로, 어떠한 탄화수소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올레핀, 디올레핀, 알킬 등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산촉매의 존재하에서 t-카르보늄 이온을 형성하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중 하나와 불포화 탄소-탄소 결합을 갖고 또한 t-탄소 원자인 탄화수소의 예로는 이소부틸렌, 3-메틸-1-부텐, 2-메틸-2-부텐, 2-메틸-1-부텐, 2-메틸-1-펜텐 등인데 결합 및 t-탄소원자가 특히 양호하다.
본 발명의 공정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불포화 탄화수소의 농도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내에 존재하는 메르캅탄의 몰량과 최소한 같은 농도의 불포화탄화수소가 본 공정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데 필요하다.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이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을 때, 고정베드촉매와 접촉하기에 앞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첨가할 수 있다.
불포화 탄화수소를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첨가할 때,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의 메르캅탄과 최소한 같은 물 농도 내지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의 약 20중량%까지 첨가된다.
상한가는 공정의 어떠한 실시상의 제한보다는 경제적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불포화 탄화수소의 바람직한 농도는 약 0.01 내지 약 20중량%이다.
본 발명의 공정은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반응 구역내에 설치된 고정 베드 산-촉매상을 통과시킴으로서 실시된다. 고정베드촉매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반응구역에 위치한다. 수직반응 구역이 선택된다면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은 고정베드를 상향 또는 하향 통과한다. 반응구역내의 고체물질 베드를 지지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문에서는 상세하게 설명을 할 필요가 없다고 사료된다.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은 공급라인에 의하여 반응구역으로 유입되면 플로우(flow)는 본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채집된다.
탄화수소분율의 플로우는 메르캅탄이 원하는 정도의 티오에테르로 전환되도록 반응구역내에서의 접촉시간이 조절된다. 특히, 약 0.5 내지 약 10의 LHSV에 해당하는 접촉시간이 메르캅탄이 티오에테르로 알맞게 전환하는데 양호하다.
부가적으로, 반응구역내에서의 산패된 탄화수소의 분율은 약 25℃ 내지 약 350℃, 양호하게는 약 25℃ 내지 약 200℃의 온도범위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반응은 약 0.01 내지 약 25atm, 양호하게는 약 1 내지 약 10atm의 압력하에서 실시된다.
티오에테르화가 비-산화반응이므로, 탄화수소분율과 산촉매의 접촉은 비-산화 분위기하에서 발생한다. 정제조건하에서의 산소화 탄화수소 사이의 접촉방지는 표준 공정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된다.
티오에테르화에 영향을 주기위하여 반응구역에 불포화 탄화수소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불포화 탄화수소는 반응구역 초기에 그러나 고정베드 산 촉매전에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첨가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불포화 탄화수소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모든 미반응 불포화 탄화수소는 반응기출구에서 분리되어 촉매베드의 입구로 재순환된다.
일례로, 고분자 페트롤륨 분율(케로센, 연료오일)의 감미화는 산촉매상에서 과량의 이소부틸렌을 탄화수소 공급원에 첨가하여 성취된다. 미반응 이소부틸렌의 분리와 재순환은 감미화 속도를 증진시키고 이소옥틸렌의 사용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모든 공정은 배치공정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플로우형 공정에 사용되는 압력조건, 온도조건과 불포화 탄화수소의 농도는 배치공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반응구역내에서의 접촉시간은 촉매의 양, 반응구역의 크기, 반응구역내의 산패된 탄화수소의 양에 의한다. 상기와 같은 것을 고려해볼 때, 메르캅탄이 티오에테르로 알맞게 전환하는 것은 약 0.05 내지 약 2시간의 접촉시간에 의한다.
몇몇의 예에서, 산촉매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내에 존재하는 염기성 질소 화합물에 의하여 탈활성화된다. 따라서 촉매의 탈 활성화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이 산성촉매와 접촉하기 전에 염기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 산패된 산화수소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화합물의 제거는 산 세척 또는 산촉매 앞에 위치한 가아드(guard)베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여러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실시된다.
효과적인 가아드베드의 예로는 A-제올라이트, Y-제올라이트, L-제올라이드, 모르데나이트와 산성 망상의 중합체 수지가 포함된다. 만약 가이드 베드기술이 사용된다면 반응기앞에 이중 가아드 베드가 설치되어 하나의 가이드베드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하나는 작동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단위의 연속공정이 성취된다. 산세척이 바람직할 때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수용액인 산으로 처리한다. 수용액에서의 산의 농도는 일정하지가 않지만 일반적으로 약 0.5 내지 약 30중량%의 범위내에서 선택한다. 산패된 산의 처리에 사용되는 산은 염산, 황산, 초산 등에서 선택되는데 염산이 양호하다.
산세척에 효과적인 하나의 방법은 산패된 탄화수소류를 추출칼럼의 하부에 유입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산패된 탄화수소류는 접촉판 또는 트레이를 통해 상향하여 추출기 역류의 상부를 지나 산성 수용액의 배출류에 유입된다. 산성 수용액을 산패된 탄화수소분율과 접촉시킴에 따라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함유된 염기성 질소화합물은 산성수용액에 추출된다.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은 계속 상향하여 칼럼의 상부의 점을 지나는데 이곳에서 산성수용액이 유입되고 제거된다. 산성수용액을 함유하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질소화합물은 반응기의 저부로부터 제거되어 배출된다.
이와같이 산 세척처리는 일반적으로 주위온도 및 대기압에서 실시되지만 약 20 내지 약 70℃의 온도와 약 1.0 내지 약 17.2atm의 기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산성용액의 유속은 산패된 탄화수소 공급원의 유속의 약 0.1 내지 약 3.0배이다.
상기 조건에서 산세척을 실시함으로서 약 60-95+중량%의 염기성 질소 화합물이 제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와 같은 잇점을 더욱 충분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시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본 발명의 넓은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I]
롬앤하스 컴패니로부터 마크로망상 중합체 술폰산 수지를 얻었다. 상기 수지는 Amberlite XE-372란 명칭으로 시판되며 약 16-50 U. S. 메쉬크기(1.19mm 내지 297미크론의 지름)의 구형이다. 상기 수지는 수집체로 사용되며 촉매 A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II]
롬앤하스 컴패니로부터 마크로망상 중합체 술폰산 수지를 얻었다. 상기 수지는 Amberlite XE-15란 명칭으로 시판되며 약 16-50 U. S. 메쉬크기(1.19mm 내지 297미크론의 지름)의 구형이다. 상기 수지는 수집체로 사용되며 촉매 B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III]
롬앤하스 컴패니로부터 마크로망상 중합체 술폰산 수지를 얻었다. 상기 수지는 Amberlite XE-252란 명칭으로 시판되며 약 16-50 U. S. 메쉬크기(1.19mm 내지 297미크론의 지름)의 구형이다. 상기 수지는 수집체로 사용되며 촉매 C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IV]
롬앤하스 컴패니로부터 크래파이트상의 안티모니펜타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삽입형 화합물을 얻었다. 본 촉매는 수집체로 사용되며 촉매 D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V]
85%의 인산 용액에 키젤구르 분말을 첨가한 뒤 3-7분가 혼합하여 고체인산 촉매를 제조하였다. 혼합성분을 형성한 뒤 물질을 압출, 규격화한 뒤 380℃로 건조하였다. 본 촉매는 촉매 E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VI]
BF, 기체를 700hr-1의 시간당 공간속도로 무수감마 알루미나 지지체상에 2시간 통과시켜 촉매 F를 제조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촉매를 반응기에 유입시켰다.
실시예 1-6의 촉매는 이들의 활성과 내성의 평가를 위해 고안된 시험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상기 시험에서, 평가되어질 촉매의 샘플(50cc)을 스크린에 의하여 지지되는 0.5"×6.5"(12.7×165.1mm) 촉매 반응구역에 유입시켰다. 표준 시험방법에 이어서, 촉매를 함유하는 반응기 구역을 충분한 시간동안 질소 세정하여 모든 기체성 산소를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하여다. 표 1에 명시된 특성을 가지며 약 200중량ppm의 메르켑탄 황을 함유하는 산패된 탄화수소공급원을 질소블랭킷하에서, LHSV=2.0hr-1에 대응하는 100cc/hr의 속도의 액체상으로 촉매구역에 공급한다. 반응 구역의 입구온도는 30℃로 유지하고 반응기 압력은 1atm으로 유지한다. 질소-세정된 샘플링 박스를 사용하여 1시간 간격으로 샘플의 메르캅탄 분석을 실시하였다. 촉매구역의 온도는 스트립상의 시간에 대한 발열반응의 확장으로 1시간마다 측정하였다. 공급원에 올레핀을 첨가하지는 않았다.
[표 1]
Figure kpo00004
실시예 7에 서술된 활성시험의 결과는 표 2에 열거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5
상기 표의 결과에 의하여, 다양한 산성 촉매가 메르캅탄을 티오에테르로 전환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결과는 안티몬 삽입 화합물이 양호한 촉매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VII]
모르데나이트 제올라이트 감마 알루미나 결합제에 결합시켜 실리카-알루미나 촉매를 제조하였다.
다음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이 촉매를 평가하였다:
1) 192wppm 메르캅탄 황을 함유하는 산패된 FCC 가솔린 ; 2) LHSV=5 ; 3) 온도=50℃ ; 4) 압력=18atm ; 5) 1.6%이소부틸렌 첨가.
스트림상의 총 10시간에 의하여 메르캅탄 함량이 20%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VIII]
다음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촉매 A의 새로운 일부를 평가하였다 : 1) 355ppm의 메르캅탄을 함유하는 산패된 FCC가솔린 ; 2) LHSV=5 ; 3) 온도=50℃ ; 4) 압력=9.2atm ; 5) 13.6중량%의 이소부틸렌이 첨가됨.
촉매의 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40시간 동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평가의 결과는 제1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는 시간의 기능에 의한, 처리된 탄화수소분율에 잔류하는 메르캅탄의 양에 대한 그래프이다. 결과에 의하여 시험기간동안 최소한 235ppm(66%)의 메르캅탄이 티오에테르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IX]
특별한 산성 촉매의 평가시에, 촉매의 탈활성화가 발생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러한 탈활성화의 원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장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산성 촉매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서 발견되는 염기성 질소 화합물에 의하여 탈활성화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산세정은 대부분의 염기성 질소화합물을 제거한다고 알려졌다.
본 실시예는 산세정된 FCC가솔린과 산세정되지 않은 FCC가솔린에 의하여 시험된 산성촉매에 의한 내성을 나타낸다. FCC가솔린의 일부는 다음과 같이 산세정되어다.
FCC가솔린의 산세정은 HCl수용액 10중량%과 부피비율이 4/1인 FCC가솔린/H2O를 사용한 배치형상으로 실시되었다.
산세정에 의하여 67%의 질소화합물이 제거되고(1단계 추출)티올함량은 단지 193wppm에서 171wppm의 메르캅탄 황으로 감소되었다. 상기와 같은 산세정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은 촉매 B의 새로운 일부와 실시예 7에 서술된 장치를 사용하여 처리되었다. 특히 본 시험에서는 다음의 공정조건이 사용되었다.
1) LHSV=5.0; 2) 반응기온도=50℃; 3) 압력=0.2atm; 4) 13.6중량%의 이소부틸렌이 첨가되었다.
똑같은 FCC가솔린의 두 번째 분율을 새로운 촉매를 사용하여, 산세정없이 처리되었는데 상기 문단에서와 똑같은 공정 조건을 사용하였다. 이들 2가지 실험으로 부터의 결과는 제2도에 도시하였다. 제2도는 스트림상의 시간에 따라 티오에테르로 전환하는 메르캅탄을 도시하였다. 이들 점들은 산성촉매와 접촉하기에 앞서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산세정하므로서 촉매의 내성을 증가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산세정은 산성 촉매의 내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7)

  1. 불포화된 탄화수소와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함유된 메르캅탄과 산성무기 산화물, 중합성 술폰산수지, 삽입성 화합물, 알루미나상에 분산된 보론 할라이드와 알루미나상에 분산된 알루미늄 할라이드에서 선택된 산성촉매물, 메르캅탄이 티오에테르로 전환되도록 선택된 반응조거내의 비-산화성 분위기하에서 반응시킨 뒤 감미화된 탄화수소분율을 회수하는 것으로 구성된 메르캅탄을 함유하는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시키는 비-산화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된 탄화수소가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내에 존재하는 메르캅탄의 몰량과 최소한 같은 양으로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의 성분으로 존재하는 공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가 상기 산성촉매와 접촉하기에 앞서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내의 메르캅탄의 최소한 몰량의 농도 내지 약 20중량%의 양의 상기 불포화된 탄화수소를 상기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에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된 공정.
  4.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된 탄화수소가 t-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공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건이 약 25° 내지 약 350℃의 온도, 약 0.01 내지 약 25atm의 압력과 약 1 내지 약 10의 LHSV로 구성된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의 무기 산화물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모르데나이트, L-제올라이트, 오메가-제올라이트, X-제올라이트, Y-제올라이트와 포스포린산이 분산되어진 알루미나에서 선택된 공정.
  7. 제1항에 있어서, 삽입성 화합물이 그래파이트상의 안티모니 펜타플루오로라이드 또는 그래파이트상의 질코늄 할라이드인 공정.
KR1019880012894A 1988-09-30 1988-09-30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KR90000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894A KR900005093B1 (ko) 1988-09-30 1988-09-30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894A KR900005093B1 (ko) 1988-09-30 1988-09-30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918A KR900004918A (ko) 1990-04-13
KR900005093B1 true KR900005093B1 (ko) 1990-07-19

Family

ID=192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894A KR900005093B1 (ko) 1988-09-30 1988-09-30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0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918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5462A (en) Non-oxidative method of sweetening a sour hydrocarbon fraction
US4204947A (en) Process for the removal of thiols from hydrocarbon oils
US3341448A (en) Desulphurization of hydrocarbons using oxidative and hydro-treatments
US6368495B1 (en) Removal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from liquid hydrocarbon streams
EP0616634B1 (en) Method for removing sulfur to ultra low levels for protection of reforming catalysts
US4163708A (en) Process for the removal of thiols from hydrocarbon oils
US4562300A (en) Mercaptan extraction process
US4626341A (en) Process for mercaptan extraction from olefinic hydrocarbons
US5300126A (en) Process for improving olefin etherification catalyst life
TW272135B (en) Process for the removal of mercaptans and hydrogen sulfide from hydrocarbon streams
US7192565B2 (en) Method of collecting mercaptans contained in a gaseous feed
MX165471B (es) Procedimiento para efectuar el craking catalitico de una fraccion de alimentacion de petroleo crudo con una zeolita cristalina conteniendo catalizadores de craking
US3668117A (en) Desulfurization of a preoxidized oil
US4265735A (en) ZSM-5 Zeolite catalyzes dialkyl disulfide conversion to hydrogen sulfide
US4582819A (en) Catalytic absorbent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US4613724A (en) Process for removing carbonyl-sulfide from liquid hydrocarbon feedstocks
EP0359874B1 (en) A non-oxidative catalytic method of sweetening a sour hydrocarbon fraction
HU175553B (hu) Sposob dlja udalenija merkaptanov iz frakcijj nefti
KR900005093B1 (ko) 산패된 탄화수소분율을 감미화하기 위한 비-산화 방법
EP0432447A1 (en) Process for upgrading light olefinic streams
EP0799880A2 (en) Desulfurization process
JPH03128989A (ja) 硫黄含有原料油の品質向上方法
US5034118A (en) Non-oxidativ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from gaseous, petrochemical, and other streams
US2558137A (en) Process for sulfur removal
US2729592A (en) Air sweeten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