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857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857B1
KR900004857B1 KR1019850004731A KR850004731A KR900004857B1 KR 900004857 B1 KR900004857 B1 KR 900004857B1 KR 1019850004731 A KR1019850004731 A KR 1019850004731A KR 850004731 A KR850004731 A KR 850004731A KR 900004857 B1 KR900004857 B1 KR 90000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ontainer
frame
main body
shaped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923A (ko
Inventor
요시까쯔 무네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우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6000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도는 종단측면도.
제2도는 프레임상 내장체의 설치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프레임 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프레임 부재 성형형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비교를 위하여 표시한 성형형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세정비특성 곡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수조 4 : 세척조
5 : 조본체 6 : 용기상 교반체
10 : 밸런서 11 : 프레임상 내장체
12 : 프레임 부재 16 : 동력제어 기구
17 : 세탁기 모터
본 발명은, 세척조를 조본체와 이 조본체의 내하방에 배치된 용기형상의 교반체로부터 구성하며, 주로 용기형상의 교반체의 주벽 및 조본체의 주벽과 세탁물과의 마찰접촉에 의해 세정작용을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의류세탁 방법으로서 앞에 일본특허 출원 특원소 58-101283호를 제안하여, 그 발명을 탈수겸용 세탁기에 적용한 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이 탈수겸용 세탁기는, 탈수시에 회전되는 조체의 내하부에 세척시에 정역 회전되는 용기형상의 교반체를 배설한 구성으로서, 세탁물을 포량이 적을 경우는 주로 용기형상의 교반체에 의해 생기는 수류에 의해 유동시키며,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세탁물이 조체의 상부 주벽과 용기형상의 교반체의 주벽에 접촉하여 그 마찰력의 상승작용에 의해 움직여지도록 했기 때문에 세정작용에 필요한 움직임이 포량(布量)이 많더라도 확보되어서 일회로 세탁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며, 그러고도 세정효과가 높을뿐더러 세탁물의 손상도 적어 적절한 세정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포량 범위가 넓기 때문에 포량에 의한 세정의 과부족을 피할 수 있는 등, 종래의 조체의 내저부에 시설되었던 회전날개에 의해 수류를 생기게 해서 세정작용을 하는 방식이나 혹은 회전날개를 시설치 않고 단일의 조체를 간헐적으로 회전시켜서 물과 세탁물과의 속도차에 의해 세정작용을 하는 방식의 것으로서는 얻을 수가 없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 세탁기로는 조체의 내주면과 용기형상의 교반체의 외주면 사이의 틈에 세탁물이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등등 때문에 조본체 가운데 용기형상의 교반체 보다 상방부의 내경치수를 하방부의 그것보다도 작게 즉, 용기형상의 교반체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해서 용기형상 교반체의 내주면과 한면으로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조체의 상방부가 작게 되기 때문에, 일회로 세탁할 수 있는 포량 즉, 세탁용량이 감소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본체의 내용적 특히 용기형상 교반체보다 상방부의 내용적을 크게 할 수가 있는 세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세척조를 조본체와 이 조본체의 내하방에 배치되어서 정역회전 구동되는 용기형상 교반체로 구성한 것으로서, 조본체내의 상하방향도중 부위에 용기형상 교반체의 상단근방이 위치하도록 프레임 내장체를 조본체의 전주에 걸쳐 장착하여, 이 프레임상 내장체를 주방향으로 복수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있어서, 1은 케이스이며, 내부에는 수수조(2)를 배설하여 이것을 조봉기구(3)를 통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 4는 탈수조를 겸하는 세척조이며, 이것은 원통상의 조본체(5)와 천저용기상의 교반체(6)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본체(5)는 수수조(2)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해서 그 외저부를 탈수축(7)에 연결고정하고, 용기형상 교반체(6)는 조본체(5)의 내하부에 배치해서 그 외저부를 세척축(8)에 연결하여 나사못(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조본체(5)는 프라스틱제이며, 용기형상 교반체(6)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내경을 용기형상 교반체(6)가 배치되어 있는 하부위보다도 직경이 크도록 형성하여, 그 상단부 내측에 환상의 밸런서(10)를 감합고정시키고 있다. 한편, 용기형상 교반체(6)는 폴리프로피렌 등의 탄성이 풍부한 프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형상 교반체(6)의 외경치수 D1은 본래 조본체(5)의 상부의 최소 내경치수 즉 밸런서(10)의 내경치수 D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지만, 그 탄성을 이용해서 밸런서(10)의 내경치수 D2보다 조금 작은 폭의 타원형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11은 링형상을 이룬 프레임상 내장체이며, 이것은 조본체(5)내의 상하방향 도중 부위에 그 하단이 용기형상 교반체(6)의 상단근방에 위치하도록 해서 조본체(5)의 전주에 걸쳐 장착되어 있다.
이 프레임상 내장체(11)는, 그 내주면을 상방으로 향해서 직경이 큰 테이퍼상으로 형성하여, 그 테이퍼상 내주면에 상하로 뻗는 凸부(11a)를 돌설함과 더불어 하단부에 전주에 걸쳐 돌조(11b)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상 내장체(11) 하단의 돌조(11b)에 있어서의 내경치수 D3은 용기형상 교반체(6) 상단에 내경치수 D4와 대략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상 내장체(11)은, 주방향으로 복수분할 예를 들면, 4분할되어 있으며, 이 분할된 각 프레임 부재(12)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조편(12a)을 돌설함과 더불어, 하면부에 차입편부(12b)를 하향으로 돌설하고 있다.
한편, 조본체(5)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용기형상 교반체(6)의 상단과 동일의 높이의 레벨에 위치하는 단부(5a)에 그 전주에 걸쳐 홈(13)을 형성함과 더불어 그것의 조금 상방에 계합공(1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차입편부(12b)를 홈(13)에 끼워넣고, 조편(12a)을 계합공(14)에 탄성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각 프레임(12)을 조본체(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15는 조본체(5)에 형성한 탈수공이다. 16은 동력제어 기구이며, 세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세척축(8)에게만 감속해서 전하든가, 탈수축(7) 및 세척축(8)의 쌍방에 전하든가 하기 위한 감속기구, 클러치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 등을 내장하고 있다. 18은 배수변이며, 세척조(4) 내의 물을 수수조(2)의 저부에서 배수 호-스(1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0은 조작부(21)에 시설한 운전제어장치이며, 이것에 의해 세척에서부터 최종 탈수까지의 각 행정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세척운전에서는 조본체(5)를 회전하지 않도록 브레이크기구에 의해 구속하며 용기형상 교반체(6)를 정역회전시키는 것으로부터 용기형상 교반체(6)에서 상방으로 노출된 조본체(5)의 주벽부분을 세척조(4)중의 고정 주벽부로서 기능시키고, 또 용기형상 교반체(6)의 주벽을 가동 주벽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세탁시에는 세척조(4)내에 세탁물을 물과 같이 넣고 세척운전은 조본체(5)를 회전하지 않도록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구속한 상태에서 용기형상 교반체(6)만을 정역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용기형상 교반체(6)의 회전수를 매분 120 내지 180회전의 범위 이내로 하며 그리고 대략 2-3회전마다 회전방향을 반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세척운전에 있어서는 세탁물은 용기형상 교반체(6)의 주벽과 조본체(5)의 주벽에 걸쳐서 접촉하기 때문에 아래 부분에서는 용기형상 교반체(6)에서 이것과의 마찰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주어지며, 상부위에서는 조본체(5)의 주벽과의 마찰접촉에 의해 구속력을 받아, 이러한 서로 다른 이 방향의 마찰력을 동시에 받는 것에 의해 세탁물에 비틀리거나 혹은 압박작용을 주면서도 이것이 용기형상 교반체(6)의 회전방향의 반전에 의해 되풀이되면서 행해짐과 더불어 용기형상의 교반체(6)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물이 용기형상 교반체(6)의 주벽방향으로 밀려 그 반작용을 조본체(5)의 주벽에서 안으로 향하여 받는 것에 의해 상하로 반전하는 작용까지도 생기어 복잡한 움직임이 주어진다.
이상과 같이 세탁물은 복잡한 움직임을 하며, 그 복잡한 움직임에 의해 천끼리의 심한 마찰, 아울러, 조본체(5)의 주벽 및 용기형상 교반체(6)의 주벽과의 심한 마찰에 의해 비벼빠는 작용을 받는 한편, 비틀림과 압박의 되풀이에 의한 일종의 주물러빠는 작용까지도 받아서 세척되는 것이며, 그 세정효과는 제6도의 비교실험 결과의 일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즉, 제6도에 있어서 각각 곡선 A는 본 발명에 의한 경우, B는 종래의 회전날개 방식에 의한 경우, C는 본 발명에 선행해서 연구되었던 조체회전방식에 의한 경우의 세정비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세정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세척운전에 있어서, 조본체(5)의 내주면과 용기형상 교반체(6) 사이의 틈은 프레임상 내장체(11)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그 틈속에 세탁물이 들어갈 염려는 없다. 그러면서도 프레임상 내장체(11)는 조본체(5)의 내주면중 용기형상 교반체(6)의 상방으로 노출된 부분의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일부를 덮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프레임상 내장체(11)에 의해 조본체(5)의 내용적이 그다지 좁혀지는 것이 아니어서 세탁용량을 크게 할 수가 있다.
그런데, 프레임상 내장체(11)를 분할하지 않고, 프라스틱에 의해 링형상으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생각되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프레임상 내장체(11)을 링형상으로 일체 성형하면, 그 성형형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형빼기 방향이 직경방향 외측(화살표 E방향)인 외형(22)과 형빼기 방향이 상 및 하(화살표 F 및 G방향)인 상내형(23) 및 하내형(24)으로 구성하지 않을 수 없다. 이 형구성으로 한다면, 프레임상 내장체(11)의 내주면에 상내형(23)과 하내형(24)과의 분리라인 PL이 존재하며, 그곳에 바리(burr)가 발생할 염려가 있어, 세탁물이 이 "바리"에 걸려서 손상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상 내장체(11)을 4개의 프레임 부재(12)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12)의 성형형으로서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형빼기 방향이 직경방향 외측(화살표 H방향) 및 직경방향 내측(화살표 1방향)인 외형(25) 및 내형(26)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형의 구성이 간단해짐과 더불어, 분리라인 PL 나아가서는 "바리"가 프레임상 내장체(11)의 내주면에 생길 염려는 본래적으로 없어지기 때문에 "바리"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 염려는 없다.
이 실시예의 탈수운전은 배수변(18)의 개방에 의한 배수후, 도시하지 않은 크러치기구 등을 작동해서 조본체(5) 및 용기형상 교반체(6)를 한 방향으로 일체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점검 혹은 수리같은 것을 할 때, 용기형상 교반체(6)를 조본체(5)에서 빼내지 않으면 안될 때가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프레임상 내장체(11)을 구성하고 있는 각 프레임 부재(12)의 조편(12a)을 계합공(14)에서 빼냄과 더불어 차입편(12b)을 홈(13)에서 빼내고, 이것으로써 조본체(5)에서 떼어진 프레임 부재(12)를 조본체(5)에서 꺼낸다.
다음에 나사못(9)을 세척축(8)에서 풀어서 용기형상 교반체(6)를 세척축(8)에서 떼내고, 이 용기형상 교반체(6)를 제1도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듯이 타원형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밸런서(10)내를 통과시켜, 조본체(5)에서 빼낸다.
이와 같이, 프레임상 내장체(11) 및 용기형상 교반체(6)의 외경치수가 밸런서(10)의 내경치수보다 크다고 하는 사정이 있더라도, 프레임상 내장체(11) 및 용기형상 교반체(6)를 밸런서(10)의 내측을 통해서 조본체(5)에서 빼낼 수가 있기 때문에, 하나씩 하나씩 밸런서(10)를 조본체(5)에서 떼내지 않더라도 좋다.
그리고, 프레임상 내장체(11)로서는, 용기형상 교반체(6)의 상방으로 노출하는 조본체(5)의 내부면중 절반 정도를 덮는 높이치수로 해도 좋고, 또 프레임상 내장체(11)의 분할개수로서는 2개 이상이면 좋다. 또, 본 발명은, 탈수기능을 갖지 않은 세탁조에 적용해도 좋다. 따라서 조본체의 주벽을 구멍이 없게 해서 여기에 물을 저축하도록 하여 수수조를 제거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조본체를 각 형으로 했을 때에는, 프레임상 내장체는 내주를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하여 외주를 조본체에 맞추어 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본체와 용기형상 교반체 사이의 틈속에 세탁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그 들어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프레임상 내장체에 의해 조본체의 내용적이 그다지 좁혀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세탁용량을 크게 할 수가 있으며, 그러면서도 프레임상 내장체를 주방향으로 복수 분할했기 때문에 그 내주면에 "바리"가 발생할 염려도 없고, 세탁물이 "바리"에 걸려서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을 본래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등등의 여러 가지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세척조를 조본체 및 이 조본체의 안 하방에 배치되어서 회전구동되는 용기상 교반체로 구성한 세탁기에 있어서, 조본체의 교반체보다 상부에 있어서의 내경을 교반체의 상단 외경보다 크게 하고, 또한 교반체의 상단과, 조본체와의 사이의 간극을 서로 프레임상으로 배열한 상태로 씌운 복수개의 내장체를 각각의 하단이 교반체의 상단 근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본체 상하방향 도중 부위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850004731A 1985-01-09 1985-07-02 세탁기 KR900004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01899A JPS61159996A (ja) 1985-01-09 1985-01-09 洗濯機
JP60-1899 1985-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923A KR860005923A (ko) 1986-08-16
KR900004857B1 true KR900004857B1 (ko) 1990-07-08

Family

ID=1151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731A KR900004857B1 (ko) 1985-01-09 1985-07-02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59996A (ko)
KR (1) KR9000048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59996A (ja) 1986-07-19
KR860005923A (ko) 198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35C (zh) 具有可变脉动器的洗衣机
KR890004926B1 (ko) 세 탁 기
KR850001923B1 (ko) 탈수 겸용 세탁기
KR900004857B1 (ko) 세탁기
KR900000556B1 (ko) 탈수겸용 세탁기
KR900004858B1 (ko) 세탁기
US3276228A (en) Flexible paddle rotative laundering machine
JPS61232890A (ja) 洗濯機
KR20040046982A (ko) 세탁기의 필터 고정 구조
KR0128870Y1 (ko) 세탁기
KR950007052B1 (ko) 분리세탁기
KR890005373Y1 (ko) 세탁기
KR890004927B1 (ko) 세 탁 기
KR200174328Y1 (ko) 보조펄세이터를 갖는 2조식세탁기
JPS61162981A (ja) 脱水兼用洗濯機
KR0127121B1 (ko) 세탁기용 저수조의 구조
JPH0141411Y2 (ko)
KR0140189Y1 (ko) 탈수물 이탈방지턱을 가진 전기탈수기용 탈수통
KR0116464Y1 (ko)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KR0172905B1 (ko) 세탁기의 세탁날개
KR900008625Y1 (ko) 세탁기
JPH0221011Y2 (ko)
KR200141016Y1 (ko) 세탁기
KR19980063361U (ko) 세탁기의 축하우징 결합구조
JPH01414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