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590Y1 -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590Y1
KR900004590Y1 KR2019880006848U KR880006848U KR900004590Y1 KR 900004590 Y1 KR900004590 Y1 KR 900004590Y1 KR 2019880006848 U KR2019880006848 U KR 2019880006848U KR 880006848 U KR880006848 U KR 880006848U KR 900004590 Y1 KR900004590 Y1 KR 900004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evice
pressure sensing
switch
outpu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531U (ko
Inventor
정광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590Y1/ko
Publication of KR890022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1Pressure, vacuum level or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압력감지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D4: 다이오드 SW1, SW2: 스위치
R4, R5: 저항 C3: 콘덴서
1 : 압력감지장치 1a : 연결호스
1b : 몸체 1c : 압축코일스프링
1d : 접속부재 1e : 접점부재
1f : 판접점
본 고안은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 속도조절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대상물, 흡입구의 막힘정도, 먼지주머니의 포화상태 등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진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커튼이나 카페트등을 청소할 경우 최대의 출력으로 하면 커튼이 빨려들어가거나 카페트의 털이 빠질 염려가 있게되는 한편, 최저의 출력으로 하면 흡입력의 감소로 인해서 깨끗한 청소를 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커튼이나 카페트, 쇼파 및 창문구석등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거기에 적합한 흡입력을 사용자가 미리 숙지하여 슬라이드 볼륨을 조절하여야만 했고, 또한 최대의 출력으로 청소를 실시할 때 먼지주머니가 포화된 경우에는 공기의 흡입량이 적어지는 관계로 모터의 냉각이 제대로 되질않아 모터의 과열 및 수명 단축, 나아가서는 청소기 외관의 형상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구가 약간 막히거나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대출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흡입구가 막히거나 먼지주머니가 포화상태일 경우는 압력감지장치에 의해 전류분배가 되도록 하므로써 모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콘덴서(C1, C2), 저항(R1-R3), 가변저항(VR), 다이액(DIAC), 트라이액(TRIAC) 및 모터(M)로 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자와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자가 접속되어 전원의 한쪽단자 및 트라이액(TRIAC)의 주전극(T2)과 공통으로 접속되며, 다이오드(D3)의 캐소드단자와 다이오드(D4)의 애노드단자가 접속되어 저항(R2), 스위치(SW1) 및 가변저항(VR)의 각 일측단자와 공통으로 접속되고, 또한 다이오드(D2), (D4)의 캐소드단자는 스위치(SW2)의 일측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스위치(SW2)의 타측단자와 다이오드(D2), (D3)의 애노드단자간에는 압력감지장치(1) 및 저항(R4)이 직렬접속되는 한편, 저항(R5) 및 콘덴서(C3)가 병렬접속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 상기 압력감지장치(1)는 연결호스(1a)가 부착된 유연성 고무재몸체(1b)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1c)이 탄력설치되어 일측단은 몸체(1b)내부 일측으로 착설된 접속부재(1d)에 고정되는 한편, 타단은 몸체(1b)내부 일측으로 착설된 접점부재(1e)의 상단과 일정간격(H)을 유지토록 판접점(1f)를 밀어주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제2도는 본 고안 압력감지장치의 단면도로서 몸체(1b)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호스(1a)를 미 도시된 청소기 내부의 먼지주머니에 연결하고 청소기를 가동시키면 정상적인 상태하에서는 청소기 내부의 압력과 유연성고무재인 몸체(1b) 내부의 압력이 동일하므로 판접점(1f)과 접점부재(1e) 상단간의 간격(H)은 일정상태, 즉 "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흡입구가 막히거나 먼지주머니가 포화되었을 경우에는 공기흡입량이 적게될 뿐만 아니라 모터에서 계속 공기를 빨아내게 되어 청소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압력감지장치의 몸체(1b) 내부에 축적되어 있던 공기가 연결호스(1a)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로 유출되어져 유연성 고무재인 몸체(1b)가 오그라들면서 압축코일스프링(1c)을 수축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판접점(1f)이 접점부재(1e)의 상단에 접촉되어지므로 접점부재(1e)와 접속부재(1d)간은 "ON" 상태로 된다.
그후 흡입구가 다시 개방되거나 먼지주머니내의 먼지가 제거되면 공기 흡입량이 많게되어 청소기내부의 압력이 압력감지장치몸체(1b)내부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가 연결호스(1a)를 통하여 압력감지장치몸체(1b) 내부로 유입되면서 몸체(1b) 압축코일스프링(1c) 및 판접점(1f)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따라 접점부재(1e)와 접속부재(1d)간은 다시 "OFF"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 및 청소기의 상태에 따라 반복하게 되므로써 모터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상기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자동속도조절회로로서, 압력감지장치(1)의 접속부재(1d)는 저항(R4)과 접속되어 있고, 접점부재(1e)는 스위치(SW2)의 일측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1), (SW2)가 "OFF"된 상태에서 청소기를 가동시키게 되면 가변저항(VR)을 통한 전류는 저항(R2), (R3)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따라 다이액(DIAC)을 통해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 전극으로 흘러 주전극(T1), (T2)간을 "turn-on", 모터(M)를 구동시키게 되고, 가변저항(VR)에 의해 출력이 조절되어지며, 이때 스위치(SW1)를 "ON" 시키게 되면 전류의 대부분이 가변저항(VR)보다는 스위치(SW1)를 통해서 흐르게 되므로 모터(M)는 최대출력으로 구동을 하게 된다.
한편, 스위치(SW1)를 누르면 스위치(SW1)만 "ON" 으로되나 스위치(SW2)를 누르면 스위치(SW1)(SW2)가 동시에 "ON" 으로되도록 하여 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 및 청소기의 상태에 따라 압력감지장치(1)에 의한 모터(M)의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어지는데 먼지 청소기의 흡입구가 열려있고 먼저 주머니도 비어있을 경우 청소기 내부의 압력과 압력감지장치몸체(1b) 내부의 압력이 동일하므로 압력감지장치(1)가 "OFF"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이오드(D1-D4)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비교적 큰값인 저항(R5)과 콘덴서(C3)로만 흐르기 때문에 소량인 반면 다이액(DIAC)을 통하여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 전극(G)으로 흐르는 전류는 다량이 되어 트라이액(TRIAC)의 "turn-on" 위상폭을 넓힘으로써 모터(M)의 출력은 크게된다.
또한 흡입구가 막히거나 먼지주머니가 포화되었을 경우 청소기 내부의 압력이 압력감지장치몸체(1b) 내부의 압력보다 낮게 되므로 압력감지장치몸체(1b)의 수축에 의해 접점부재(1e)와 접속부재(1d)간이 "ON" 상태로 되어 다이오드(D1-D4)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비교적 큰값인 저항(R5)과 비교적 작은값인 저항(R4)으로 동시에 흘러 다량의 전류로 되고, 다이액(DIAC)을 통하여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 전극(G)으로 흐르는 전류는 소량이 되어 트라이액(TRIAC)의 "turn-on" 위상폭을 좁힘으로써 모터(M)의 출력을 낮추게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청소대상물, 흡입구의 막힘정도, 먼지주머니의 포화상태등에 따라 모터(M)의 출력이 자동조절되므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절작업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흡입력의 약함으로 인한 청소미비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출력의 과다로 인한 전력낭비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청소대상물의 손상방지, 나아가서 모터의 과열로 인해 청소기의 외관 및 수명단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콘덴서(C1, C2), 저항(R1-R3), 가변저항(VR), 다이액(DIAC), 트라이액(TRIAC), 모터(M) 및 최대출력 스위치(SW1)로 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구의 막힘정도나 먼지주머니의 포화상태등에 따라 "ON", "OFF" 작동을 하게 되는 압력감지장치(1)와, 압력감지장치(1)의 "ON", "OFF" 작동에 따라 모터(M)의 출력을 조절케 되는 출력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 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조절부는 다이오드(D1-D4), 저항(R4, R5), 콘덴서(C3) 및 출력자동조절스위치(SW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 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 조절 회로.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최대출력스위치(SW1)를 누르면 최대출력스위치(SW1)만 "ON" 으로 되나 출력자동조절스위치(SW2)를 누르면 최대출력스위치(SW1)와 출력자동조절스위치(SW2)가 동시에 "ON"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 장치를 이용한 진공 청소기의 자동 속도 조절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압력감지장치(1)는 연결호스(1a), 유연성고무재 몸체(1b), 압축코일스프링(1c), 접촉부재(1d), 접점부재(1e) 및 판접점(1f)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 장치를 이용한 진공 청소기의 자동 속도 조절 회로.
KR2019880006848U 1988-05-06 1988-05-06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KR900004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848U KR900004590Y1 (ko) 1988-05-06 1988-05-06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848U KR900004590Y1 (ko) 1988-05-06 1988-05-06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531U KR890022531U (ko) 1989-12-01
KR900004590Y1 true KR900004590Y1 (ko) 1990-05-25

Family

ID=1927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848U KR900004590Y1 (ko) 1988-05-06 1988-05-06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1014B2 (en) * 2019-03-13 2022-10-18 Mr. Wash Autoservice AG Suction cleaning attach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1014B2 (en) * 2019-03-13 2022-10-18 Mr. Wash Autoservice AG Suction cleaning at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531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605A (en) Electric cleaner
US4399585A (en) Vacuum cleaner with constant air flow
US5515572A (en) Electronic vacuum cleaner control system
GB2401957A (en) Appliance power management system
KR910007481A (ko) 전기청소기
KR900004590Y1 (ko) 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자동속도조절회로
JP2001008871A (ja) 電気掃除機
JP3453845B2 (ja) 電気掃除機
JP2688665B2 (ja) 自動電力制御形の電気掃除機
KR900007530Y1 (ko) 진공청소기의 다기능 속도 제어회로
JP2545777Y2 (ja) 電気掃除機
JPH05253150A (ja)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JP2739116B2 (ja) 電気掃除機の制御方法
JPS63309232A (ja) 電気掃除機
KR960012816B1 (ko) 진공청소기의 제어장치
JPH0137942B2 (ko)
JPH0685755B2 (ja) 電気掃除機
KR960007468B1 (ko) 진공청소기의 압력센서 감도절환/고장감지장치 및 방법
KR200166662Y1 (ko) 진공청소기의 공중먼지 흡입장치
JPH05199972A (ja) 電気掃除機
KR930007480Y1 (ko) 진공청소기의 출력조절장치
JPH0121977B2 (ko)
KR100237048B1 (ko) 진공청소기의 구동제어장치
JPH022273Y2 (ko)
KR89000082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자동조절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