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04Y1 - 레이블 인자 첩부기 - Google Patents

레이블 인자 첩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404Y1
KR900004404Y1 KR2019870023870U KR870023870U KR900004404Y1 KR 900004404 Y1 KR900004404 Y1 KR 900004404Y1 KR 2019870023870 U KR2019870023870 U KR 2019870023870U KR 870023870 U KR870023870 U KR 870023870U KR 900004404 Y1 KR900004404 Y1 KR 900004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transfer roller
label tape
bundl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162U (ko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장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빈 filed Critical 장상빈
Priority to KR2019870023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404Y1/ko
Priority to GB8809136A priority patent/GB2214161A/en
Publication of KR890013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15Labels being adhered to a web
    • B65C11/0236Advancing the web by a cog wheel
    • B65C11/0247Advancing the web by a cog wheel by actuating a handle manu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B65C2210/0075Apply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B65C2210/0089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housing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블 인자 첩부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도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발췌 사시도.
제4도는 밑덮개를 연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이송로울러
3 : 작동간 4 : 밑덮개뭉치
5 : 인쇄대판 6 : 공실
7 : 레이블테이프뭉치 7' : 원형공
8 : 윗덮개 9 : 재치대
10 : 축봉 11 : 인자뭉치
12 : 스프링 13 : 가동구
14 : 갈고리 15,15' : 팔
16 : 스프링장치 17 : 연결수단
18 : 밀대 19 : 축봉
20 : 멈치 21 : 밑받침
본 고안은 레이블 인자 첩부기에 관한 것이다.
레이블의 인자 첩부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의 하나는 레이블테이프의 장입에 관한 것이다. 즉 레이블 인자 첩부기에 두루말이로 된 레이블테이프를 장압하려면 일반적으로 레이블테이프 두루말이를 첩부기의 두루말이 걸이용 축봉에 건 다음 두루말이로 부터 레이블 테이프를 풀러서 그 끝을 좁다란 레이블 통로를 통하여 인자대판 쪽으로 꺼낸다음 다시 인송로울러에 걸어야 하는바 이와같은 작업은 심히 불편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에도 레이블테이프를 풀어서 그 끝을 인자대판에 이르기까지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하는 각종의 고안이 인출되었으다 효과적이지 못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레이블테이프의 장입시에는 아예 레이블테이프 두루말이로 부터 인자대판에 이르기까지 특별한 통로가 존재하지 아니하게 하므로서 이러한 통로의 좁고 넓음에 대한 어떠한 불편도 제거할 수 있게 하였으나 나아가 구조물 극히 단순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레이블 인자 첩부기는 몸체(1)에 작동간(3)과 이송로울러(2)를 축설하고, 작공간(3)에 의하여 인자작업과 이송로울러(2)의 회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몸체(1)에 부착되는 여러가지 장치는 레이블테이프가 넉넉히 빠져나갈 충분한 공간을 부여할 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마치 바늘에 실을 꿔듯 레이블테이프를 첩부기의 좁은 공간을 통하여 꿔지 않으면 안되었으며, 이와같인 레이블테이프를 작업에 따르는 불편은 이송로울러(2)와 그 부속장치가 모두 레이블 첩부기의 몸체(1)에 장치되고 있으므로 해서 일어나는 필연적인 현상이었다.
그런데 종래의 레이블첩부기에 있어서의 위와같은 불편은 이송로울러(2)를 첩부기의 몸체에 부착시키므로해서 일어나는 것임을 알았다.
이에 본 고안은 이송로울러(2)가 첩부기몸체(1)의 내외로 출몰될 수 있게하여 레이블테이프 장입시에는 이송로울러(2)를 밖으로 인출시켰다가 레이블테이프를 장입시킨후에 이송로울러를 다시 소정의 위치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시켰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1)의 하단에 축봉(4')으로 축설시킨 밑덮개뭉치(4)에 인쇄 대판(5)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이송로울러(2)를 축설시켰다. 따라서 이제는 밑덮개뭉치(4)를 열게되면 이에 축설된 이송로울러(2)도 함께 외방으로 인출되어 몸체(1) 내부에는 커다란 공실(6)이 형성되는바 이 공실(6)의 상부에 레이블테이프뭉치(7)를 넣어 사용하게 된다. 레이블 테이프뭉치(7)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부의 원형공(7')을 이용하여 공실(6) 상부에 축설시킬 수도 있지만 본 고안과 같은 경우에는 공실(6) 상부에 윗덮개(8)를 복설하고 이송로울러(2) 윗쪽에 재치대(9)를 형성시키므로서 재치대(9)로 부터 윗덮개(8)에 이르는 공실(6)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면서 위치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이송로울러(2)의 저부에는 밑받침(21)을 형성시켜 레이블테이프가 이송로울러(2)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송로울러(2)를 회동시키는 것은 어느 레이블 인자 첩부기에서나 흔히 볼 수 있듯이 작동간(3)의 복원력에 의한다. 즉 레이블첩부기의 손잡이(1')를 잡고 작동간(3)을 당기면 작동간(3)이 축봉(10)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자뭉치(11)를 하강시켜 인쇄대판(5)에 놓여지는 레이블에 인자를 하게되는 것은 어느 레이블 첩부기에서나 동인한 것이고 또 이와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작동간(3)이 스프링 (12)에 의하여 복원되는 것도 그리고 스프링(12)에 의하여 복원되는 작동간(3)의 복원력으로 이송로울러(2)를 한단계씩 회동시키는 것도 또한 공지인 바이나 본 고안은 스프링(12)에 의해 복원되는 작동간(3)이 이송로울러(2)를 회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도 특징을 가진다.
즉, 본 고안은 작동간(3)에 가동구(13)를 축설하였다.
이 가동구(13)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로울러(2)의 톱니(2')를 당겨회전시킬 수 있는 갈고리(14)를 가진 두개의 당김막대(15)(15')와 두개의 당김막대(15)(15')가 시계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스프링장치(16), 하나의 스프링장치(16)만으로 두개의 당김막대(15)(15')가 모두 탄력을 얻도록 하는 연결수단(17) 그리고 이송로울러(2)의 톱니(2')와 갈고기(14)의 맞물림상태를 외부에서 해제할 수 있는 밀대(18)로 구성되었다. 이 가동구(13)는 당김막대(15)의 상단부에서 축봉(19)에 의해 작동간(3)에 축설 되었으며 작동간(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작동간(3)이 축봉(19)을 들어올리고 따라서 갈고리(14)가 올라가면서 이송로울러(2)의 톱니(2')를 한피치 회동시킨다.
그리고 이송로울러(2)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멈치(20)가 장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밑덮개뭉치(4)를 열면 몸체(1)의 중심부에 커다란 공실(6)이 헝성된다. 이 공실(6)에 레이블테이프뭉치(7)를 집어넣고 레이블테이프를 풀어 그 일단을 인쇄대판(5)과 축봉(4') 사이의 공간부로 빼어낸 후 이송로울러(2)의 저부와 밀받(21) 사이에 기우면 레이블테이프의 장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레이블테이프를 몸체(1)의 좁은통로로 꿔는 작업이 필요치 아니하며 레이블 장입이 극히 편리하며, 레이블테이프를 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통로설치가 필요치 아니하여 구조가 단순할 뿐 아니라 이송로울러(2)를 회동시키는 기술구성 또한 단순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단에 인자뭉치(11)를 가진 작동간(3)과 이송로울러(2) 및 밑덮개뭉치(4)로 구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이송로울러(2)를 밑덮개뭉치(4)에 장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블 인자 첩부기.
KR2019870023870U 1987-12-30 1987-12-30 레이블 인자 첩부기 KR900004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870U KR900004404Y1 (ko) 1987-12-30 1987-12-30 레이블 인자 첩부기
GB8809136A GB2214161A (en) 1987-12-30 1988-04-18 Portable labell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870U KR900004404Y1 (ko) 1987-12-30 1987-12-30 레이블 인자 첩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162U KR890013162U (ko) 1989-08-08
KR900004404Y1 true KR900004404Y1 (ko) 1990-05-19

Family

ID=1927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870U KR900004404Y1 (ko) 1987-12-30 1987-12-30 레이블 인자 첩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4404Y1 (ko)
GB (1) GB22141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72043T3 (es) * 1997-02-14 2002-09-16 Duck Hee Lee Maquina de etiquetado manu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09853B (it) * 1976-04-30 1976-12-20 Prix Italia Srl Dispositivo di avanzamento di etichette in nastro particolar mente per macchine prezzatrici etichettatrici
IT1068973B (it) * 1976-07-21 1985-03-21 Gottardo Guido Apparecchiatura prezzatrice etichettat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14161A (en) 1989-08-31
KR890013162U (ko) 1989-08-08
GB8809136D0 (en) 198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6793B1 (en) Web material dispenser
US3858951A (en) Towel dispenser
US4919350A (en) Holder/dispenser for paper in roll form
US4354643A (en) Bathroom tissue holder
JPS59158760A (ja) 複式ロ−ル・デイスペンサ
US3184176A (en) Dual toilet tissue dispenser
KR900004404Y1 (ko) 레이블 인자 첩부기
US4828193A (en) One handed sheet holder apparatus and method
US2673042A (en) Tape dispenser and cleaning device
CN111987682B (zh) 一种收缩式线缆整线器
US2919842A (en) Paper toweling and dispenser therefor
US2367200A (en) Towel cabinet
US4871123A (en) Paper roll holding device
KR100281429B1 (ko) 낚시용 릴의 클러치기구
JPH0286528A (ja) ペーパーテープロール制御ユニット
CN220170348U (zh) 一种方便收纳的天平打印机
US3265454A (en) Towel cabinet
KR970001237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US2372500A (en) Merchandise storage and dispensing rack
JPS6210750Y2 (ko)
JP3626377B2 (ja) 包装機用プリント装置
US3044535A (en) Label dispenser
JPS601044Y2 (ja) ラベル貼付機におけるラベル飛出量調整の構造
JPH0642998Y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保持装置
KR970001236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