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341Y1 -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341Y1
KR900004341Y1 KR2019870017678U KR870017678U KR900004341Y1 KR 900004341 Y1 KR900004341 Y1 KR 900004341Y1 KR 2019870017678 U KR2019870017678 U KR 2019870017678U KR 870017678 U KR870017678 U KR 870017678U KR 900004341 Y1 KR900004341 Y1 KR 900004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utton
button box
box
front pan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837U (ko
Inventor
최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7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341Y1/ko
Publication of KR890009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제1도는 종래의 콘트롤 버튼박스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콘트롤 버튼박스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5도의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콘트롤 버튼박스가 닫혀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본 고안에 의한 기체본체의 전면 패널을 보인 정면도.
(b)는 본 고안에 의하여 콘트롤 버튼박스가 닫혀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c)는 콘트롤박스 타원봉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6도의 제6a도 내지 제6c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콘트롤 버튼박스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본 고안에 의한 기기본체의 전면판넬을 보인 정면도.
(b)는 본 고안에 의하여 콘트롤박스가 개방된 상태의 종단면도.
(c)는 콘트롤박스 타원봉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콘트롤버튼박스 4b : 버튼고정면
4c : 타원봉 4d : 전면판넬면
6 : 회전손잡이 6a : 축핀
6b : 타원홈 7 : 구형공
8 : 중간판넬 8a : 십자형홈
8a' : 걸림턱 8b, 8b' : 장홈
9, 9' : 철편 10, 10' : 걸림돌조
11, 11' : 자석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 및 브이씨알등의 가전제품에 있어서, 콘트롤 버튼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 판넬면과 버튼고정면을 갖는 콘트롤 버튼박스에 타원봉을 형성하여 회전손잡이와 연결고정하고 상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콘트롤 버튼박스가 회전되어 기기본체의 전면 판넬에 형성된 요입부에 콘트롤 버튼박스의 전면 판넬면 또는 버튼 고정면이 위치하게 한 개선된 형태의 콘트롤 버튼박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브이씨알등에 사용되는 콘트롤 버튼박스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본체(21)의 전면 판넬(22) 일측모서리에 요입부(23)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버튼(24)이 고정되고, 상기 요입부(23)의 후방부에는 인쇄회로기판(25)이 상, 하부 고정편(26) (26')에 고정되어 버튼(24)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스위치(27)가 납땜으로 고정되며, 상기 요입부(23)의 하측부에는 힌지핀(23a)이 형성되어 그 힌지핀(23a)이 삽입되는 안내홈(8a')을 갖는 탄성고정부(28a)를 형성한 콘트롤 버튼박스 도어(28)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콘트롤 버튼박스는 도어(28)를 잡아당기게 되면 힌지핀(23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버튼(24)을 조작하게 되며, 따라서 버튼(24)은 인쇄회로기판(25)에 고정된 스위치(27)를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트롤 버튼박스 구조는 버튼(24)이 전면 판넬(22)이 요이부(23)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버튼(24)이 고장이 생기거나 파손이 되었을 경우에는 전면 판넬(22)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힌지핀(23a)에서 도어(28)의 탄성고정부(28a)가 이탈되어 도어(28)의 분실 및 파손의 염려가 있을 뿐만아니라 제조공정에서 전면 판넬(22)의 고정방법에 따라서 요입부(23)에 고정된 버튼(24)과 인쇄회로기판(25)의 스위치(27)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버튼(24)의 조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기본체의 전면 판넬 일측모서리부에 형성된 요입부의 일측에 중간판넬의 십자형홈으로 연통되는 구형(矩形)공을 형성하여 회전손잡이를 삽입하고,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전면판넬과 버튼고정면을 갖는 콘트롤 버튼박스의 일측부에 십자형홈에 삽입되는 타원봉을 형성하여 회전손잡이의 타원홈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회전손잡이의 회전으로 전면판넬의 요입부에 콘트롤 버튼박스의 전면 판넬면 또는 버튼고정면이 위치하게 하여 회전손잡이의 회전으로 콘트롤 버튼박스의 개폐동작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본체(1)의 전면판넬(2) 일측모서리에 힌지핀(3a)이 구비된 요입부(3)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3a)에 삽입되는 힌지공(4a)이 일측에 형성된 콘트롤 버튼박스(4)의 버튼 고정면(4b)에 버튼(5)이 고정되어 콘트롤 버튼박스(4)가 요입부(3)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3)의 일측부에 회전손잡이(6)가 삽입되는 구형(矩形) 공(7)을 형성하고, 상기 구형공(7)과 요입부(3)사이의 중간판넬(8) 후단부에 다수개의 걸림턱(8a')을 갖는 십자형홈(8a)을 형성하여 요입부(3)와 구형공(7)을 연통되게 하며 상기 십자형홈(8a)의 상, 하측부에 장홈(8b) (8b')을 형성하고, 상기 구형공(7)의 일측벽에 회전손잡이(6)의 축핀(6a)이 삽입되는 원형홈(7a)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콘트롤 버튼박스(4)의 일측면에는 십자형홈(8a)에 삽입되는 타원봉(4c)을 형성하여 회전손잡이(6)의 일측면에 형성한 타원형홈(6b)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콘트롤 버튼박스(4)의 버튼 고정면(4b)일측에 전면판넬편(4d)과 만곡면(4e)이 형성되어 그 만곡면(4e)이 양측부에 철편(9) (9')이 부착된 걸림돌조(10) (10')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돌조(10) (10')의 철편(9) (9')에 접촉되는 전면 판넬(2)의 내부 상, 하측 일정부위에 자석(11) (11')을 부착고정하여 구성한 것으로, 미설명 부호 12는 인쇄회로기판을 보인 것이고, 13은 인쇄회로 기판(12)에 납땜 고정되어 버튼(5)과 스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콘트롤 버튼 박스 회전장치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5도의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콘트롤 버튼박스가 기기본체에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회전손잡이(6)의 타원홈(6b)에 삽입고정된 콘트롤 버튼박스(4)의 타원봉(4c)이 중간판넬(8)의 십자형홈(8a)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전면 판넬(2)의 요입부(3)에는 콘트롤 버튼박스(4)의 전면판넬면(4d)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걸림돌조(10)에 의하여 전면판넬(2)의 내부 상측단부에 접촉이 되어 콘트롤 버튼박스(4)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전면판넬(1)의 상측 자석(11)에 일측 걸림돌조(10)의 철편(9)이 부착되어 콘트롤 버튼박스(4)으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 버튼박스(4)의 버튼(5)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5a도의 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손잡이(6)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회전손잡이(6)에 고정된 콘트롤 버튼박스(4)의 타원봉(4c)이 중간판넬(8)의 십자형홈(8a)에 형성한 걸림턱(8a')을 벗어나면서 제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봉(4c)은 십자형홈(8a)에 수직의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수평상태의 타원봉(4c)이 걸림턱(8a')을 벗어나는 순간에 상, 하측부의 장홈(8b) (8b')에 의하여 십자형홈(8a)이 탄성적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며, 타원봉(4c)이 수직의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십자형홈(8a)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제6도의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본체(1)의 전면판넬(2)에 콘트롤 버튼박스(4)의 버튼고정면(4b)이 위치하게 되어 버튼(5)을 조작할수 있게 되며 이때에는 전면판넬(2)의 내부 하측부에 콘트롤 버튼박스(4)의 걸림돌조(10')가 접촉되어 콘트롤 버튼박스(4)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게 되며, 전면판넬(4)의 하측 자석(11')에 콘트롤 버튼박스(4)의 철편(9')이 부착되어 더욱 콘트롤 버튼박스(4)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는 콘트롤 버튼박스에 전면판넬과 버튼고정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콘트롤 버튼박스의 타원봉으로 회전손잡이에 연결고정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판넬의 전면에 전면판넬면 또는 버튼 고정면이 위치하게 되어 회전손잡이에 의하여 콘트롤 버튼박스의 개폐동작이 확실하게 되며, 종래의 경우처럼 버튼의 고장 및 파손에 의하여 전면판넬 전체를 폐기하여하는 문제점을 배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버튼과 스위치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버튼의 동작 불안을 방지할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기기본체(1)의 전면판넬(2) 일측에 요입부(3)가 형성되어 그 요입부(3)에 버튼(5)이 고정되는 버튼고정면(4b)이 구비된 콘트롤 버튼박스(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 것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3)의 일측부에 회전손잡이(6)가 삽입되는 구형공(7)을 형성하고, 상기 구형공(7)과 요입부(3) 사이의 중간판넬(8)의 후단부에 걸림턱(8a')을 갖는 십자형홈(8a)을 형성하여 콘트롤 버튼박스(4)의 일측면에 형성한 타원봉(4c)이 삽입되게 하며, 상기 콘트롤 버튼박스(4)의 만곡면(4e)양측에 걸림돌조(10) (10')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콘트롤 버튼박스(4)의 타원봉(4c)이 회전손잡이(6)의 일측면에 형성한 타원홈(6b)에 삽입되게 하여 회전손잡이(6)의 회전으로 전면판넬(6)의 요입부(3)에 콘트롤 버튼박스(4)의 전면판넬(4d)또는 버튼고정면(4b)이 위치하게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2)의 내측 상, 하부 일정부위에 자석(11) (11')을 부착고정하고, 이와 대응되는 콘트롤 버튼박스(4)의 걸림돌조(10) (10') 일정부위에 철편(9) (9')을 부착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KR2019870017678U 1987-10-17 1987-10-17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KR900004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678U KR900004341Y1 (ko) 1987-10-17 1987-10-17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678U KR900004341Y1 (ko) 1987-10-17 1987-10-17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37U KR890009837U (ko) 1989-05-31
KR900004341Y1 true KR900004341Y1 (ko) 1990-05-19

Family

ID=1926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678U KR900004341Y1 (ko) 1987-10-17 1987-10-17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3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37U (ko) 198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83B1 (ko) 콘센트
KR900004341Y1 (ko)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KR0123209Y1 (ko) 안전콘센트
KR890004975Y1 (ko) 전기 전자 기기의 콘트롤 스위치 개폐 도어
KR930008120Y1 (ko) 브이 씨 알의 도어 개폐장치
KR870001195Y1 (ko) 전축 레크자동문 개폐장치
KR200279074Y1 (ko)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KR900002189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에 장착한 보턴(Button) 장치
KR940000768Y1 (ko) 록킹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KR950005205Y1 (ko) 전자제품의 도어개폐장치
KR910002918Y1 (ko)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10090Y1 (ko) Vcr용 카세트 도어 안전 개폐장치
KR890005509Y1 (ko) 릴레이가 부설된 푸쉬 스위치
JPH0229643Y2 (ko)
KR920007014Y1 (ko) 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920001218Y1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KR200142337Y1 (ko) 이중버튼장치
KR0126043Y1 (ko) 노브가변형 슬라이드 스위치
KR900001231Y1 (ko) 가전제품 문 개폐 장치
KR10024642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및 방법
KR930005352Y1 (ko) 전자식도어록크장치
KR900006249Y1 (ko) 마이크로스위치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960001572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