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059B1 -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 Google Patents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059B1
KR900004059B1 KR1019870003979A KR870003979A KR900004059B1 KR 900004059 B1 KR900004059 B1 KR 900004059B1 KR 1019870003979 A KR1019870003979 A KR 1019870003979A KR 870003979 A KR870003979 A KR 870003979A KR 900004059 B1 KR900004059 B1 KR 90000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valve
work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438A (ko
Inventor
장용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윤영석 filed Critical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059B1/ko
Publication of KR88001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52Tool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제 1 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4 도는 (a)-(d)는 본 발명에 위한 수중에서의 페인팅 작업 실시예의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챔버 W : 작업실
1 : 외통 2 : 내통
3 : 바닥면 4 : 출입구
5 : 격판 6 : 차단벽
7 : 챔버 공기 공급 밸브 9 : 물유통밸브
10 : 주공급관 11 : 주밸브
12 : 작업실 공기 공급 밸브 12' : 작업실 공기 배출 밸브
13 : 합성 고무테 14 : 뚜껑
14' : 경첩 15 : 전구
100 : 밀폐공간 200 : 유통공간
본 발명은 선박의 저면(이하 선저라한다)의 손상된 페인팅 부분의 수리 및 선저부착물의 수리를 위해 육상과 같은 조건으로 수중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특수한 구조의 챔버(CHAMBER)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선박이 거의 완공되면 이를 진수시킨 후 내부의 마무리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선체 내부의 각종 의장품이나 설치물의 조건에 따라 바닥면(BOTTOM)에 용접시공을 가하게 되므로 선저에 페인팅되어 있던 부분이 용접열로 인하여 극부적으로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선주측의 완공 검사시 결함 사항으로 지적될 수 있으므로 제작측의 신뢰성이 크게 실추되거나 인수를 거부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제작측에서 완전 무결을 기하기 위하여 손상된 국소 부위에 대한 페인팅(땜질)을 다시하게 되는데 잘알다시피 페인팅 작업이나 건조를 시행하려면 수중에서는 불가능 하므로 거대한 선체를 다시 이끌어 올려(Re-Docking)선저가 대기중에 노출되게 한 다음 손상 부위에 대하여 페인팅 작업을 시행하여야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수만톤이나 되는 선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대단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킹 및 리도킹하는 기간이 매우 길고 각종 장비 인력등이 대거 투입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내제하고 있다.
한편, 선저의 파손 부위에 대한 수리나, 음향 측심기(Echo Sounder) 및 속도 측정기(Speed log)등을 수리교환 할 때도 마찬가지의 리도킹이 불가피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많은 경제적 부담등 당해 업계에 주어지는 문제들은 실로 심각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선박을 리도킹하지 않고도 수중에서 페인팅 및 수리 교체등의 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작업실기구를 제공하므로서 경제성을 크게 개선시키려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국소 부위 작업을 5인 이하만으로도 단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신속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 많은 인력, 장비등의 동원이 배제되므로 과거와 같이 리도킹으로 인한 안전사고율을 크게 감소시킬수 있도록 하려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징은, 선체의 저면에 접근하여 대기(大氣)의 조건으로 작업할 수 있는 특수한 작업실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 및 작용 효과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사시도로서 중공부(작업실) (W)를 갖는 원통형 챔버(Chamber)(C)를 도시한것이며, 이 챔버의 형태는 원통으로 제한을 받지는 않고 설계의도에 따라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것은 제 2 도의 평면도 및 제 3 도의 종단면도에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구조 설명을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의 내부에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는 크기의 내통(2)을 삽입하여 내, 외통(2)(1)의 상부 및 하부의 주면을 서로 이어서 밀폐시키되 내통(2)의 상부는 전체가 개방되고 하부는 바닥면(3)을 형성하여 그 중앙에 출입구(4)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내, 외통(2)(1)간에 수직으로 격간이 형성되므로 상부의 일정한 지점을 격판(5)으로 차단하여 상단은 밀폐공간(100)이 되게하고, 그 아래 대부분의 공간은 공기 및 물이 드나드는 유통공간(200)을 형성한다.
또, 제 3 도에서 볼때 내, 외통(2)(1)간에는 수개의 차단벽(6)을 설치하여 유통공간(200)이 각각 독립되게 구성하여 이들 각각의 유통공간(200)에는 한조를 이루는 밸브관(V)이 설치된다.
즉, 상부에는 공기 공급 밸브(7) 및 공기 배출 밸브(8)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 유통밸브(9)가 설치되며, 상기의 공기 공급 밸브(7)는 전체적으로 동일 라인을 형성하는 주공급관(10)으로 연결되어 주 밸브(11)로부터 공기를 공급 받는다.
주 밸브(11)에는 주 공급관(10)이 연결되어 챔버(C)의 상단 밀폐공간(100)을 관통하는 작업실 공기 공급밸브(12)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챔버(C)의 상단면에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고무테(13)가 전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챔버(C)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출입구(4)에는 뚜껑(14)이 복개 될 수 있도록 경첩(14')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벽에는 하나이상의 전구(15)가 수밀성 있는 조립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6)은 환형으로 된 공기 공급관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챔버 몸체에 용접된 지지간(브라켓)을 표시하며, (17)은 선박의 저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챔버(C)는 그 상단의 밀폐공간(100)이 전체 중량에 대응되는 부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침수시키더라도 항시 바른 자세로 떠오르게 되며, 그 하부의 유통공간(200)에 공기를 주입시킬 때는 공급량에 따라 부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챔버(C)를 수중에 침수시킨후 작업 대상의 선체저면으로 예인하여 해당 위치에서 부력에 의한 밀착 방법을 가하면 챔버 내부의 작업실(W)을 침수하고 있는 물을 공기압으로 밀어 내더라도 외부로 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작업 조건이 갖추어질 수 있다.
이를 도면 제 4 도 (a)-(d)에 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의 구조로 완성된 챔버(C)를 그림(a)와 같이 해수(海水)에 넣는다.
이때, 모든 물 유통 밸브(9)와 공기 배출 밸브(8)를 개방시켜 놓은 상태이므로 물 유통 밸브(9)를 통하여 유통공간(200) 내부로 물이 주입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 밸브(8)로 배기되면서 챔버(C)몸체는 중력에 의하여 침수되기 시작한다.
유통공간(200)에 물이 만충되면 밀폐공간(100)의 부력이 챔버(C)의 중력에 대응하므로 그 이상 침수되지않고 챔버의 상단이 수면에 닿는 정도로 떠 있게 된다.
그후, 잠수 장비를 갖춘 작업자가 상기의 챔버(C)를 예인하면서 (b)의 그림과같이 선체의 저면에 있는 작업 부위에 챔버(C)를 이동시킨후 모든 공기 배출 밸브(8)를 잠그고 육상의 작업자에게 신호하여 공기를 공급시키도록 한다.
육상의 콤프레셔(도시없음)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주공급관(10)을 통하여 각각의 공기 공급 밸브(7)로 압입되면서 유통공간(200)내에 충입되어져 있는 물을 밀어 내게 되므로 물 유통 밸브(9)를 통하여 물이 다시 배출되고, 유통공간(200)에는 공기가 차게 되므로 부력이 점점 증가되어 강한 상승력을 가진 챔버(C)가 선체(17)의 저면에 접근하게 되면서 상단면에 있는 고무테(13)에 의하여 밀착하게 된다.
수중의 작업자는 상기의 작동중에 물유통 밸브(9)로 기포가 배출되는지 여부에 의하여 유통공간(200) 내부에 공기가 만충된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물 유통 밸브(9)를 잠금과 아울러 공기 공급 밸브(7)도 잠근다.
이어서, 밀폐공간(100)을 관통하는 작업실 공기 공급 밸브(12)를 개방시키면 (c)의 그림과 같이 계속 공급중인 공기압이 챔버(C) 내부의 작업실(W)로 압입되므로 이곳에 충입되어 있던 물이 공압에 의하여 하부의 출입구(4)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공구 및 작업재료가 담겨진 별도의 수밀 가방을 휴대하고 출입구(4)를 통하여 (d)의 그림과 같이 작업실(W)로 들어간 후 작업실(W)내의 내압과 작업실(W)밖의 수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작업실 공기 공급 밸브(12)와 작업실 공기 배출 밸브(12')를 같은 정도로 개방한다.
(만약 작업실(W)공압이 수압보다 낮으면 작업실(W)에 물이 차고, 작업실의 공압이 수압보다 높으면 챔버와 선저가 분리되려는 현상이 일어나므로 작업실 공기 공급 밸브(12)와 공기 배출 밸브(12')를 같은 정도로 개방하여야 한다.)
아울러 바닥면(3)의 출입구(4)에 뚜껑(14)을 복개하여 발판으로 사용하면서 수밀 가방내의 도구등을 꺼내어 천정에 해당하는 선체의 작업 대상 부위를 페인팅하게 되는 것이다.
위의 페인팅 부분은 용접이나 충격으로 벗겨진 일 부분을 보수하는 것이므로 단순한 덧칠에 지나지 않으며 수분내에 신속히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좁은 밀폐공간이지만 신선한 공기가 계속해서 공급되고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므로 페인트의 유해 냄새로 부터 안전성이 있다.
페인팅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구를 정리하여 작업실(W)로 부터 퇴실하며 페인트가 건조되는 시간동안 그대로 방치시켜 두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밸브를 개폐조작하여 선체로부터 챔버(C)를 분리시키고 타부분의 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위의 설명은 페인팅시의 일예이며, 본 발명의 기구를 이용하여 각종 보수작업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거대한 선체가 진수된 후 저면에 국부적으로 보수작업을 시행해야 되는 경우, 특히 대기중의 작업 조건과 같이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작업해야 되는 경우에 있어서, 최적한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선체를 리도킹하는 종래의 방식이 배제되므로 막대한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간 절감 및 작업 안전성등이 제공되는 등 획기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수중 챔버(C)를 구성하기 위하여 내통(2) 및 외통(1)의 형태를 가지며, 그들의 간격에는 격판(5)으로 밀폐공간(100)과 공기 또는 물의 유통공간(200)을 형성하며, 내통(2)은 작업실(W)을 구성하되 상부는 전체가 개방되고 그 둘레에 합성 고무테(13)를 부착시키며, 하부는 바닥면(3)을 형성하면서 중앙에 출입구(4)를 가지며, 상기의 유통공간(200)에는 공기를 급, 배출시키는 공기 공급 밸브(7) 및 공기 배출 밸브(8)를 설치하고 하부에 물 유통 밸브(9)를 설치하며, 또한 밀폐공간(100)을 관통하여 작업실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작업실 공기 공급 밸브(12)와 작업실 공기 배출 밸브(12')로 구성되어 상기의 각 밸브의 개폐에 조작 따라 공기 및 물이 급, 배출되면서 챔버(C)의 부력 조절과 작업실(W)의 대기상태 유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작업용 챔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챔버(C)의 균형 유지를 위하여 내통(2) 및 외통(1)의 간격에 4개의 차단벽(6)을 설치하여 유통공간(200)을 4개로 구획시키는 수중 작업용 챔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챔버(C)의 유통공간(200) 상부에는 공기 공급 밸브(7)와 공기 배출 밸브(8)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물 유통 밸브(9)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각개의 밸브들을 1개 조로 하여 각각 독립된 유통공간(200)마다 하나의 단위로 설치되도록 밸브 구성을 시킨 수중 작업용 챔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챔버(C)의 둘레에 주 공기 공급관(10)을 설치하고 각각의 공기 밸브(7)와 연결시켜서 주 밸브(11)로부터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공급 라인을 구성시킨 수중 작업용 챔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 또 하나의 연결관을 작업실 공기 공급 밸브(l2)로 연결시켜 작업실(W)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기 공급라인을 구성시킨 수중 작업용 챔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실(W) 하부의 바닥면(3)에 출입구(4)보다 큰 뚜껑(14)을 복개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경첩(14')으로 부착시켜 작업실(W)의 내부 바닥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뚜껑을 갖도록 구성시킨 수중작업용 챔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실(W)에 해당하는 내통의 상부에 하나이상의 전구(15)를 설치하되, 수밀 씰에 의하여 완전히 방수 구성을 갖는 조명등을 갖도록 구성시킨 수중 작업용 챔버.
KR1019870003979A 1987-04-24 1987-04-24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KR90000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979A KR900004059B1 (ko) 1987-04-24 1987-04-24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979A KR900004059B1 (ko) 1987-04-24 1987-04-24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38A KR880012438A (ko) 1988-11-26
KR900004059B1 true KR900004059B1 (ko) 1990-06-11

Family

ID=1926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979A KR900004059B1 (ko) 1987-04-24 1987-04-24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06B1 (ko) * 2007-03-09 2008-06-26 주식회사 언딘 수중 작업용 챔버 구조물
KR100842175B1 (ko) * 2007-03-09 2008-06-30 주식회사 언딘 수중 밀봉용 챔버 구조물
KR101313554B1 (ko) * 2011-11-16 2013-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러더용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38A (ko) 198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9878A (ko)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US3602301A (en) Underwater borehole servicing system
US3408822A (en) Diving method and apparatus
KR900004059B1 (ko) 수중(水中)작업용 챔버
RU2280586C2 (ru) Камера спасательная всплывающая
US2581098A (en) Apparatus for marine operations
US3646771A (en)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a vessel and a structure and vessel-positioning means
US5098219A (en) Mobile submersible caisson for underwater oil-well drilling and production
KR101942560B1 (ko) 선박용 수중작업공간 가설장치
US4658749A (en) Autonomous station for cleaning the hulls of pleasure craft
US4502405A (en) Floating device comprising storage holds for bulk freight, such as a hopper dredge
US2653796A (en) Apparatus for drilling wells
US5400735A (en) Modular caisson for underwater tasks
JPH1016884A (ja) 水上浮遊構造物底面に対する潜水作業装置
RU2081783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GB2114195A (en) Marine railroad
US51504A (en) Improved apparatus for the ventilation of ships
JPH0811775A (ja) 船体モジュールの連結方法
US42929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underwater work on ship hulls and like objects
SU943094A1 (ru) Подводный кессон дл ремонта судов
RU2238878C2 (ru) Тренировочная башня
US1309756A (en) Testing-tank for submarines
CN112356970A (zh) 钢夹板叠加结构
SU1416652A1 (ru) Погружна морска бурова установка
US1803369A (en) Salvage chamber for submar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