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917B1 - 신규의 중합체 장벽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의 중합체 장벽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17B1
KR900003917B1 KR1019870001229A KR870001229A KR900003917B1 KR 900003917 B1 KR900003917 B1 KR 900003917B1 KR 1019870001229 A KR1019870001229 A KR 1019870001229A KR 870001229 A KR870001229 A KR 870001229A KR 900003917 B1 KR900003917 B1 KR 90000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organic liquid
mixture
ethylene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964A (ko
Inventor
마나칼 서브라매니언 팰라세리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놀드 에이 호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놀드 에이 호우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1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from solid polym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규의 중합체 장벽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제 1 도 및 제 2 도는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와 장벽 중합체의 두 혼합물의 현미경 사진들이다.
본 발명은 중합체의 장벽 혼합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을 구성하는 중합체가, 장벽중합체가 비교적 큰 디스크 같은 입자 또는 심지어 그물같은 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투과성 중합체내에 분산된, 크게 감소된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을 갖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410,482호에는 매우 우수한 탄화수소 장벽성질을 갖는, 양립화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매트릭스내의 폴리아미드의 비균질 박층분산액이 기술되어 있다. 그 혼합물들은 주의깊게 조절된 조건하에 혼합 화합물을 용융처리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중합체 혼합조작에 있어서 통례적인 고에너지, 고전단혼합장치 또는 기술을 피하기 위한 압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표준장치내에서 표준기술을 사용하여 우수한 기체 및 용매 장벽성질을 갖는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 방법들은 그러한 조건하에서 우수한 장벽성질을 갖지 않는 균질중합체 혼합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과성 중합체내에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의 다상(多相)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양 중합체들은 중합체들이 실질적으로 반응 및 가교결합됨이 없이 초기에 서로간 내의 불연속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는 그러한 양립성 작용기를 갖는다.
상기 방법은 약 25-60%의 기체 및 용매 장벽 중합체와 75-40%의 투과성 중합체와 중량비로 상기 중합체들을 혼합하고, 양 중합체가 더 큰 입자로 구성되는 뚜렷하고 분리된 상을 형성하도록 하기에 충분하게 점도를 증가시키면서 투과성 중합체를 분지형성 또는 제한된 양으로 가교결합시켜, 얻어진 혼합물이 향상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성질들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필수적으로 약 25-60%의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와 75-40%의 투과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낮은 유지액체 및 증기투과성을 가지며, 중합체들이 뚜렷하고 분리된 상을 형성하고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가 분지형성 또는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다상 중합체 혼합물이 또한 제공된다.
징외 : 본 기술내용 및 청구범위의 목적을 위하여, "유기액체"는 공업적 용매 또는 분산매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액체이며, 예컨대 탄화수소, 케톤,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 할로겐화 탄화수소등이 포함된다. 유기액체는 중합체혼합물을 공격하지 않아야 한다. 대표적인 유기액체는 크실렌, 톨루엔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이다. "증기"는 앞에서 정의된 유기액체의 증기이다.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는 대체로 예를들어 α-올레핀 또는 스티렌의 중합체와 같은 탄화수소형 중합체이며, 가장 편리하게는 에틸렌의 중합체이다. 그러한 중합체는 보통 작용성 극성기를 갖는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와의 약간의 양립성을 제공할 수 있는 팬던트 작용기를 가져야 한다. 전형적으로, 투과성 중합체내에 존재할 수 있는 적당한 팬던트기에는 예컨대, 카르복실, 에스테르, 무수물, 에폭사이드, 히드록실등이 포함된다.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는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폴리케톤, 폴리아크릴로니트릴등일 수 있다.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특히 에틸렌공중합체이고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면서 에틸렌의 비율은 50중량%이하인 것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투과성이라기보다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로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상의 작용기와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상의 작용기는 같지 않아야 한다.
장벽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폴리(ε-카프롤락탐) 또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투과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본 기술내용중에서, 용어 "공중합체"는 에틸렌외에도, 중합체 분자속에 혼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중합체는 이중합체일수 있으나, 또한 삼중합체 또는 사중합체일 수도 있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적당한 공단량체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푸마르산일 수 있다. 에스테르기-말단 공단량체로는 다른 것들중에서도, 메틸아크릴테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 및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발리에이트 및 디메틸푸마레이트를 포함한다. 말레산무수물은 가장 실제적인 무수물기-함유 단량체이다. 다른 적당한 공단량체로는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일산화탄소 및 비닐아세테이트가 포함된다.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는 그 자체가 앞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작용기 함유, 공중합체와,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탄화수소 중합체,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의 디엔 또는 α-올레핀과 디엔과의 공중합체 및 삼중합체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한 탄화수소 중합체의 양은 전체 투과성 중합체 중량의 약 50중량%이하일 수 있다.
장벽 중합체와 투과성 중합체는 둘다 엘라스토머 또는 플라스틱 성질을 갖는 고분자량 고체물질이어야 한다.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의 분지형성 또는 제한된 가교결합은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중합체들을 혼합하거나 혼합물을 고에너지 방사선에 노출시켜 얻는다.
커플링제는 과산화물, 과산화산, 과산화에스테르 또는 아조화합물(예 :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같은 자유라디칼 생성제일 수 있으며, 그것들은 모두 중합체 화학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과산화화합물로는 예컨대, 디쿠밀퍼옥사이드와 α,α'-비스(t-부틸퍼옥시) 디이소프로필벤젠이 포함된다. 다른 적당한 커플링제는 반응성기를 갖는 중합체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경화 또는 가황제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황 및 여러가지 폴리설파이드가 에틸렌/부타디엔/말레산무수물 삼중합체같은 경화성 이중결합을 갖는 가교결합 공중합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특별한 종류의 중합체를 위한 다른 적당한 경화제로는 예컨대, 카르복실, 에스데로 및 무수물기와 반응하는 디아민과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기와 반응하는 디에폭사이드가 포함된다. 적절한 조건하에서, 디아민은 또한 예컨대, 에틸렌/일산화탄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카르보닐기-함유 중합체와 가교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내의 커플링제의 양은 경화성 중합체의 유형과 사용되는 커플링제의 유형에 의존한다. 과산화물 또는 다른 과산화화합물에 대해 그 양은 보통 전체 중합체 100부를 기준으로 약 0.01-1중량부이다. 황 및 폴리설파이드에 대해, 그 양은 약 1-5부이고 디에폭사이드 및 디아민같은 가교결합제에 대하여는 또한 약 1-5부이다.
커플링제에 의한 분지형성 또는 가교결합 대신에, 혼합물을 예컨대 자외선, x-선 또는 고에너지 전자비임같은 고에너지 방사선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로를 택할 경우, 커플링제는 어느 단계에서도 혼합물내에 존재하지 않으나, 증감제(예 : 벤즈페논)를 첨가하여 가교결합반응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혼합된 물질을 압출하고 펠릿화 또는 어떤면 다른 편리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 조사(照射)시킨다. 방사선처리는 그것이 높은 겔 수준 및 그에 따른 처리곤란으로 이끌어질수 있는 혼합동안의 조숙한 가교결합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화학적 처리보다 때때로 더욱 실제적일 수 있다.
충전제는 보통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그들의 표면점착성 및 다공성이 엄밀히 조절되지 않는 한, 그들의 존재가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량의 충전제, 예컨대 전체중합체 중량의 약 10%이하의 안료, 카본블랙, 탈크 또는 탄산칼슘은 허용될 수 있다. 충전제는 혼합물의 장벽성질에 그들 첨가제의 유해한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분쇄되어야 한다.
커플링제를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의 혼합은 탄화수소-투과성 중합체의 분지형성 또는 부분 가교결합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에서 압출기내에서 가장 잘 이루어진다. 대체로, 적당한 온도범위는 약100-300℃이다. 혼합조건은 광범위한 가교결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조절은 가장 낮은 실제온도 및/또는 빠른 배출 또는 짧은 체류시간에서 조작하여 얻을 수 있다. 같은 장치내에서 2 또는 3번의 시행을 하고 공지된 기술로써, 예컨대 가교결합의 결과로서 중합체 혼합물의 용융점도의 증가 또는 용융지수의 감소를 측정 또는 평가하는 것에 의해, 가교결합의 양을 측정하여 적당한 혼합조건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다. 용융흐름은 ASTM-1238에 따라서 측정한다. 용융점도는 일정용력모세관 유동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만족스러운 가교결합은 조성물의 혼합 또는 제조를 방해하지 않고 원하는 효과를 얻는 정도까지 중합체 혼합물의 용융점도를 증가시키거나 용융지수를 감소시킨다. 가교결합 정도의 정성적인 평가는 중합체 혼합조성물로부터의 파리손 취입-성형의 용융강도를 관찰하여 행할 수 있다. 낮은 용융지수 또는 높은 용융점도는 용융강도증가를 초래한다.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가 분지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은 자체내 분지형성 또는 가교결합보다, 분지형성 또는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를 장벽 중합체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이른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우수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성질들을 갖는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실제적인 방식이 아니며 그 이유는 이러한 혼합물의 점도가 한 중합체의 다른 것에 우수한 균질분산액을 얻기 위하여 너무 높아질 것이고, 게다가, 장벽 중합체가 혼합물에 우수한 유기액체 및 중기장벽성질들을 부여하기에 적절한 크기 및 모양의 입자를 형성할 것인가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의 혼합에 통상적인 압출기, 예컨대 단일 스크류우 또는 쌍스크류우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공급부위에서 저온으로 유지되며, 온도는 압출다이를 향하여 점차 올라간다. 기타 적당한 혼합장치로는 예컨대 로울분쇄기와 내부혼합기를 포함한다.
도면에 관해 언급하면, 제 1 도는 0.5중량부의 나일론 66과 35부의 폴리에틸렌과 커플링제 부재시에 양립화제 또는 "유화제"로서 작용하는 15부의 무수물-변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성형된 시험컵의 벽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 현미경 사진은 두 유형의 물질(각각 어둡고 밝은 부위로서 구별됨)의 균일하고 미세하게 분산된 배합물을 나타낸다. 이 혼합물은 불량한 장벽성질들을 가진다. 제 2 도는 0.25부의 α,α'-비스(t-부틸퍼옥시) 디이소프로필벤젠(Vuloup
Figure kpo00001
40KE, 헤르쿨레스 사로부터 구입가능)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중량비 77.5 : 22.5의 나일론 66과 나일론 6 공중합체 40부와 60중량부의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96 : 4)의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진 시험-컵의 동일단면의 현미경사진이다. 이 도면은 두 뚜렷한 상들로 나타나는 혼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더 밝은 상의 투과성 중합체인 것으로 믿어진다.
이들 현미경 사진은 각각 앞에서 토의된 비가교결합 및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의 전형적일 뿐아니라 신뢰할 만한 또는 명확한 구현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제 그 대표적인 실시양태인 아래 실시예들로써 예시되며, 모든 부, 비율 및 백분율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중량비이다.
용융점도는 몬산토캄파니에서 제조된 0.0775mm 직경 및 1,575cm길이의 모세관이 장치된 일정용력 모세관 유동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1(비교)]
96% 에틸렌/4% 메타크릴산(E/MAA) 공중합체(용융지수=1)의 펠릿을 상업적 폴리카프롤락탐(Capron
Figure kpo00002
8207, 얼라이드 캐미칼사)의 펠릿과 70 : 30의 상대적 비율로 혼합한다. 이들 중합체를 28mm웨니 플라이더러 쌍스크류우 압출기내에서 용융-혼합하고, 기닥화하고 펠릿화한다. 펠릿을 약 0.05mm두께 필름으로 압축하고, 이것을 7.5cm직경원반으로 자르고 크실렌을 함유하는 시험컵의 상단에 뚜껑으로서 봉한다. 실온에서의 크실렌투과를 중량손실로써 측정한다.
[실시예 2]
전체 중합체 100부당 0.1부의 디쿠밀퍼옥사이드를 용융-화합중에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을 그대로 되풀이한다. 필름을 압축하고 크실렌투과성을 실시예 1과 같이 측정한다.
[실시예 3]
디쿠밀퍼옥사이드의 양을 전체 중합체 100부당 0.3부로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과정을 되풀이한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3에 대한 투과성 데이타를 제공한다.
[표 1]
Figure kpo00003
상기 데이타는 0.1% 과산화물이 존재할 때 크실렌투과도가 45%만큼 감소한 다음 과산화물의 양이 0.3%로 증가할 때 원래값의 3.5%까지 극적으로 감소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4-12]
동일한 E/MAA 공중합체를 보유하지만 폴리아미드 성분을 변화시키면서 동일한 일반적 과정을 사용한다. E/MAA 공중합체대 폴리아미드 비율은 모든 실시예서 70 : 30이다. 각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과산화물이 없는 하나의 실시와 두 가지 상이한 수주의 과산화물이 포함된 두 실시를 행한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표 2]
Figure kpo00004
1 A=수평균 분자량 Mn 16,000을 갖는 나일론 66과 나일론 6의 77.5 : 22.5 코폴리아미드
B=Mn 30,000을 갖는 나일론 66과 나일론 6의 77.5 : 22.5 코폴리아미드
C=Mn 18,000을 갖는 나일론 66
2 디쿠밀퍼옥사이드(40% 활성)
3 3샘플의 평균
4 겔 존재, 한 샘플값 0.05
5 다량의 겔 존재
상기 실시예들은 과산화물 첨가시에 일반적인 투과성 감소를 명백히 나타낸다. 과산화물의 양이 상당한 양의 겔이 형성될 만큼 높은 경우, 시험샘플은 고르지 않은 두께를 가지며 균일하지 않은 시험결과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향상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13-17]
이들 실시예에서는, 과산화물 존재하에 에틸렌 공중합체와 폴리아미드를 용융 혼합하고 혼합물을 펠릿화하여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한다. 펠릿을 다음에 로첼로(Rocheleau) 압출취입-성형기계를 사용하여 4oz.(118mL) 병속으로 취입-성형한다. 병을 크실렌으로 부분적으로 채우고 부과성을 시험한다. 결과가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표 3]
Figure kpo00005
1 E/MAA 공중합체(96 : 4, 용융지수 0.9)
2 Capron
Figure kpo00006
8207(얼라이드 케미칼스 폴리(ε-카프롤락탐)
3 디쿠밀퍼옥사이드(40% 활성)
4 거친표면과 공칭벽두께를 갖는 용기 ; 겔 존재
또한, 크실렌투과성 환원은 용융-혼합단계에 과산화물이 사용되는 모든 경우에 나타난다.
[실시예 18 및 19]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얻어진 향상된 장벽성질들이 2원 혼합물보다는 3원 중합체 혼합물에 대해 또한 관찰됨을 보여준다. 실험방법은 실시예 13-17에서와 같으나, 크실렌 손실은 실온에서 측정한다.
[표 4]
Figure kpo00007
A) E/MAA 공중합체(96.4, 용융지수=1)
B) 폴리카프롤락탐(나일론 6, Mn=21,000)
C) 직쇄 고밀도 폴리에틸렌, Marlex
Figure kpo00008
5202 (필립스 페트롤륨)
D) 디쿠밀퍼옥사이드(40% 활성)
장벽성질의 개선에 대한 0.1%의 과산화물의 효과가 극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비교)]
웨너 및 플라이더러 28mm 쌍스크류우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혼합물에 의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용융지수=0.7)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4% 메타크릴산 : 용융지수=1)의 40 : 60 용융혼합물을 제조한다. 그 다음이, 혼합물의 과립을 로첼로툴 앤드 디 캄파니(Rocheleau Tool and Die Company)에서 제조한 압출 취입 성형기계를 사용하여 4oz.(118mL) 병속으로 어렵게 취입 성형시킨다.
이들 병을 이어서 크실렌으로 채운 다음 실온(23℃)에서 중량손실로써 투과도를 시험한다. 평균손실(3샘플기준)은 387시간에 16.4g(1.02g/24시간)이다.
[실시예 21]
실시예 20의 것과 유사한 혼합물을 용융혼합물에 의해, 그러나 중합체 혼합물 100부당 0.05부의 활성과산화물에 해당되는 40% 활성인, 점도상에 지지된 α,α'-비스(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을 혼합물 100부당, 0.125부를 흡입하여 제조한다. 이들 펠릿으로부터 실시예 20에 기술된 바와같이 병(118mL)을 압출 취입한다. 이 혼합물은 상기한 혼합물과 반대로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크실렌투과도 시험은 387시간내에 1.13g(3샘플의 평균)의 손실을 나타낸다(0.07g/24시간).
[실시예 22]
실시예 20과 유사하나 이번에는 중합체 100부당 디에폭시수지, EPON 1009(쉘 케미칼사) 1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것을 용기속으로 처리하고 앞에서와 같이 시험하여 601시간의 시험기간동안 0.2g(2샘플)의 평균 크실렌손실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0.008g/24시간).
[실시예 23(비교)]
앞에서 기술된 것과같이, 동일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50 : 50용융 혼합물을 제조하고, 취입-성형하고, 크실렌투과도를 시험한다. 시험결과, 231℃에서 747시간동안 0.4g의 평균손실을 나타낸다(0.013g/24시간).
[실시예 24]
중합체 100부당 2부의 디에폭시수지, EPON 1009(쉘 케미칼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3의 것과 유사한 용융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 혼합물로부터 취입성형된 용기는 23℃에서 948시간의 시험 기간동안 약 0.01g의 크실렌을 잃는다.
[실시예 25]
실시예 20의 것과 유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50 : 50용융 혼합물을 약 0.5mm두께 시이트로 용융압출한다. 이 시이트를 알루미늄컵내 뚜껑으로서 사용하여 크실렌투과도를 시험한다. 23℃에서 337시간 시험후, 3.15g의 평균손실이 얻어진다(0.224g/24시간).
[실시예 26]
실시예 20의 것들과 유사한 중합체 혼합물 펠릿을 0.5Mrads 용량으로 반드그라프(Van de Graaff) 발전기를 사용하여 고에너지 전자로 조사한다. 그 다음 이들 렐릿을 시이트로 압출하고 실시예 25에서와 같이 투과도를 시험한다. 23℃에서 481시간 동안의 투과도손실은 0.15g(3샘플의 평균) 또는 0.0075g/24시간이다.
[실시예 27]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E/MAA 공중합체와 혼합물과 나일론 66과 동일한 E/MAA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다양한 양의 과산화물 존재하 및 부재하에 실시예 1-3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조 및 처리한다. 혼합물들의 용융점도를 280℃에서 측정한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되어있다.
[표 5]
E/MAA 나일어렵오히려 과산 용융점도
Figure kpo00009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굳이어 클리어터프(Goodyear Cleartuf
Figure kpo00010
7202)
3 자이텔(zytelR) 101 듀 퐁(Du Pont)
4 디컵(DiCupR) 40KE, 디쿠밀퍼옥사이드, 점토상 40%, 헤르클레스(Hercules)
실시예 27은 과산화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280℃에서 혼합물 용융점도가 증가함을 보여주며, 상기 혼합물용융 점도는 E/MAA 공중합체의 분지형성 또는 제한된 가교결합의 지표이다.

Claims (14)

  1.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50중량%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케톤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중합체 25 내지 60중량%와 ; 불포화카르복실산, 불포화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일산화탄소 및 비닐 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들 중에서 선택된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 75 내지 40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두 중합체들이 더 큰 입자로 구성되는 뚜렷하고 분리된 상을 형성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점도 증가의 상태로 상기 투과성 중합체를 분지형성시키거나 제한된 정도로 가교결합시켜, 얻어진 혼합물이 향상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성질들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내에 분산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로 구성되며, 상기 두 중합체들은 중합체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반응 및 가교결합됨이 없이 서로내에 초기에 불연속 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는 양립성 작용기를 가지는, 엘라스토머 또는 플라스틱 성질을 갖는 고분자량 고체 중합체의 다상분산액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가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폴리(ε-카프롤락탐) 및 그 혼합물 ;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분지형성 또는 가교결합이 커플링제 존재하에 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작용기를 갖는 중합체를 경화시키기 위한 가황제 및 자유라디칼 생성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과산화물, 과산화산, 과산화에스테르 및 아조화합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황 또는 폴리설파이드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분지형성 또는 가교결합이 중합체 혼합물을 고에너지 방사선에 노출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방법.
  9. 필수적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50중량%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케톤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중에서 선택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 25 내지 60중량%와 ; 불포화카르복실산, 불포화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일산화탄소 및 비닐 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들 중에서 선택된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 75 내지 4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중합체들은 뚜렷하고 분리된 상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는 혼합후, 분지형성되거나 제한된 정도로 가교결합되는, 낮은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을 갖는 다상 중합체 혼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기액체 및 증기장벽 중합체가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폴리(ε-카프롤락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혼합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전체 중합체 중량의 10%까지의 미세하게 분쇄된 충전제를 함유하는 혼합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유기액체 및 증기투과성 중합체의 분지형성 또는 가교결합이 에틸렌 공중합체의 펜던트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가황제와 자유라디칼 생성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커플링제에 의해 얻어지는 혼합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과산화물, 과산화산, 과산화에스테르 및 아조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자유라디칼 생성화합물인 혼합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황 또는 폴리설파이드인 혼합물.
KR1019870001229A 1986-02-14 1987-02-14 신규의 중합체 장벽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900003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957386A 1986-02-14 1986-02-14
US829573 198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964A KR870007964A (ko) 1987-09-23
KR900003917B1 true KR900003917B1 (ko) 1990-06-04

Family

ID=2525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229A KR900003917B1 (ko) 1986-02-14 1987-02-14 신규의 중합체 장벽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238197A3 (ko)
JP (1) JPS62246934A (ko)
KR (1) KR900003917B1 (ko)
CN (1) CN87101919A (ko)
AU (1) AU600255B2 (ko)
BR (1) BR8700659A (ko)
CA (1) CA1282514C (ko)
DK (1) DK73387A (ko)
FI (1) FI870626A (ko)
IL (1) IL81567A (ko)
IN (1) IN166034B (ko)
NZ (1) NZ2192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930A (en) * 1989-11-16 1992-09-15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with enhanced properties
US5208083A (en) * 1989-11-16 1993-05-04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with enhanced properties
DE4031389C2 (de) * 1990-10-04 1993-12-09 Mudder H Europlast Verwendung einer Polymermasse aus Polyester und einem Ethylen-Methacrylsäure-Copolymerisat
US5188784A (en) * 1990-10-16 1993-02-23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 (Mcgill University) Process for laminar pollymer extrus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1898B2 (ko) * 1972-05-10 1977-08-18
US4410482A (en) * 1979-03-06 1983-10-18 E. I. Du Pont De Nemours & Co. Process for making laminar articles of polyolefin and a condensation polymer
JPS58129035A (ja) * 1982-01-29 1983-08-01 Kishimoto Akira 延伸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GB8320270D0 (en) * 1983-07-27 1983-09-01 Raychem Ltd Polymer composition
US4550141A (en) * 1983-08-22 1985-10-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ends of ionomer with propylene copolymer
JPS6096631A (ja) * 1983-10-31 1985-05-30 Toyoda Gosei Co Ltd ポリアミド−ゴムブレンド組成物
US4594371A (en) * 1984-08-31 1986-06-1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Fine particle dispersions of incompatible polymers in polymer matrices
DE3443959A1 (de) * 1984-12-01 1986-06-12 Basf Ag, 6700 Ludwigshaf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81567A (en) 1990-09-17
CA1282514C (en) 1991-04-02
IL81567A0 (en) 1987-09-16
KR870007964A (ko) 1987-09-23
NZ219273A (en) 1989-06-28
JPS62246934A (ja) 1987-10-28
CN87101919A (zh) 1987-09-02
FI870626A (fi) 1987-08-15
FI870626A0 (fi) 1987-02-13
AU6869187A (en) 1987-08-20
BR8700659A (pt) 1987-12-15
DK73387A (da) 1987-08-15
EP0238197A2 (en) 1987-09-23
DK73387D0 (da) 1987-02-13
EP0238197A3 (en) 1990-03-14
IN166034B (ko) 1990-03-03
AU600255B2 (en) 199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6279B2 (en) Blends of olefin polymer and nitrile rubber containing compatibilizing block copolymers
US4594386A (en) Polyamide grafted EPM blend
KR87000194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0595886A1 (en) Graft polymers for use in engineering thermoplastic blends
EP0813553A1 (en) Nucleophilic amine functionalized polyolefin
AU586617B2 (en) Polymer blends containing a polymer having pendant oxazoline groups
US5349023A (en) Vinyl alcohol copolymer having terminal amino group
KR900003917B1 (ko) 신규의 중합체 장벽 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0146965B1 (en) Polymer blends containing a polymer having pendant oxazoline groups
CA1255835A (en) Blends of olefinic and monovinylidene aromatic polymers
AU628803B2 (en) Composition enabling at least two incompatible thermoplastic polymers to be made compatible,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alloys and thermoplastic alloys obtained
US4956501A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U643930B2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EP0467958A4 (en) Polypropylene-polyester graft copolym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4977217A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CA1339171C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JPH07149911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の製造方法
JPH10511133A (ja) 重合体混合物
JP2000053671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用架橋剤およびその用途
US20040230013A1 (en) Blends of poly (alpha-methylene-gamma-methyl-gamma-butyrolactone-co-glycidyl methacrylate) and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 articles therefrom and preparation thereof
JPH03250039A (ja) 樹脂組成物
EP0469038A4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olefin-polyester graft copolymer
EP0586066A2 (en) Polyolefin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JPH03247654A (ja)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