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65B1 -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65B1
KR900003865B1 KR1019870009704A KR870009704A KR900003865B1 KR 900003865 B1 KR900003865 B1 KR 900003865B1 KR 1019870009704 A KR1019870009704 A KR 1019870009704A KR 870009704 A KR870009704 A KR 870009704A KR 900003865 B1 KR900003865 B1 KR 900003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voltage
pulse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220A (ko
Inventor
사토시 고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55Layout of circuits with protective means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e.g. semiconductor devices or the ignition coil
    • F02P3/0552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1/00Safety means for electric spark ign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P11/02Preventing damage to engines or engine-driven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각기 본원 발명에 의한 점화장치의 구성도 및 동작파형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기 본원 발명에 의한 귀환회로의 일부 생략 회로도 및 그 동작파형도.
제 5 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점화장치의 부분 구성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각기 종래 장치의 구성도 및 동작파형도.
제 8 도는 제 6 도를 변경한 도면.
제 9 도 및 제 10 도는 각기 종래 장치의 상세구성도 및 그 동작파형도.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각기 다른 종래 장치의 구성도 및 동작파형도.
제 13 도는 종래의 점화코일의 폐로율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화신호발생기 2 : 전자회로
3 : 파워트랜지스터 4 : 점화코일
10 : 이그나이터회로 15, 16, 17 : 하니스
41 : 귀환회로
본원 발명은 점화신호에 중첩하는 점화노이즈에 기인하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내연기관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6 도는 종래 장치를 나타내며, (1)은 내연기관(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대응하여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발생기, (2)는 상기 점화신호를 받아서 내연기관의 운전조건에 의거하여 점화코일(4)에 적절한 시간만큼 통전하는 점화펄스를 출력하는 전자회로, (3)은 점화펄스에 의해 구동되고 점화코일(4)의 통전을 행하는 파워트랜지스터, (10)은 전자회로(2)와 파워트랜지스터(3)로 이루어진 이그나이터회로, (11)은 점화신호발생기(1)와 이그나이터회로(10)로 이루어진 점화시스템이다. 이그나이터회로(10)는 일반적으로 후막(厚膜) 집적회로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이 많으며, 소위 이그나이터라고 불리우는 것이다. 또한 점화신호발생기(1)는 이른바 배전기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제 7 도는 상기 구성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며, (a)는 점화신호발생기(1)가 발생하는 점화신호, (b)는 전자회로(2)가 출력하는 점화펄스, (c)는 점화코일(4)에 흐르는 코일전류, (d)는 점화코일(4)이 출력하는 점화진압을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신호발생기(1)는 내연기관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되고, 그 회전에 대응하여 점화신호를 발생한다. 이 점화신호는 전자회로(2)에 입력되고, 전자회로(2)는 기관의 운전조건에 따라서 이른바 폐로율(閉路率)제어된 점화펄스를 출력한다. 이 점화펄스는 t1-2, t3-t4- t5-t6의 각 기간(H)이 된다. 이 점화펄스에 대응하여 파워트랜지스터, (3)는 온 오프를 반복한다. 이 파워트랜지스터(3)의 스위치동작에 의해 점화코일(4)에 제 7 도(c)에 나타낸 코일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를 차단했을때에 제 7 도(d)에 나타낸 점화전압이 출력된다. 즉 시점 t2, t4, t6에 있어서 점화전압이 출력한다.
상기 구성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점화신호발생기(1)와 이그나이터회로(10)가 일체적으로 이른바 배전기에 내장되어 있지 않고, 이그나이터회로(10)기 배전기와는 별개로 차체보디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자체의 점화노이즈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제 8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5)는 점화코일(4)의 1차단자와 이그나이터회로(10)의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를 접속하는 하니스, (16),(17)은 점화신호발생기(1)와 전자회로(2)를 접속하는 하니스이다 각 하니스(15),(16),(17)은 점화신호발생기(1) 및 점화코일(4)와 이그나이터회로(10)를 접속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몇개의 코넥터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각 하니스(15),(16),(17)은 묶음상태로 배선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하니스(15),(16),(17)은 서로 접근하고 있으며, 전기적으로 간섭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따라서 확실한 점화동작을 위해서 점화신호발생기(1)와 이그나이터회로(10)사이의 하니스(16),(17)에는 실드선을 사용하고, 점화코일(4)의 1차신호선인 하니스(15)로부터의 점화동작에 수반되는 점화노이즈의 유도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하니스(15)에는 실드선을 사용하여 점화노이즈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하니스(15),(16),(17)에는 코넥터가 개재하므로, 실드되지 않은 부분이 생긴다. 즉 코넥터본체부분 및 이것에 삽입하는 하니스의 끝부분은 실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그나이터회로(10)를 점화신호발생기(1)와 별개체로 한 경우, 이그나이터회로(10)에 입력하는 점화신호에 점화동작에 수반되는 점화노이즈가 중첩한다. 이 점화노이즈는 하니스(15),(16),(17)의 실드되지 않은 부분이 길어질수록 커지며, 또한 코넥터부에서의 실드선의 가공결과에 따라서도 좌우된다.
다음에 상기 점화동작에 수반되는 점화노이즈 및 이것에 기인하는 오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9 도는 제 8 도에 있어서의 전자회로(2)의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21)은 전압비교기,(22)는 전압비교기(21)의 한쪽의 입력인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기준전원,(23)은 점화신호발생기(1)의 기준단자에 접속되어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기준전원,(24)는 전압비교기(21)의 다른쪽 입력과 어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이고, 전압비교기(21)의 다른쪽 입력이 마이너스 전압이 되었을때에 순방향(順方向)전류가 흐른다. 점화신호발생기(1)의 점화신호출력단자와 전압비교기(21)의 다른쪽 입력과는 접속되어 있으며, 기준전원(23)에서 공급된 기준전압은 전자회로(2)의 기준단자→하니스(17)→점화신호발생기(1)의 기준단자→점화신호발생기(1)→점화신호발생기(1)의 점화신호출력단자→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전압비교기(2)의 입력단자의 경로로 전압비교기(2)에 입력되어 기준전원(22)으로부터의 기준전압과 비교되어서 기본점화펄스를 얻는다 이 기본 점화펄스는 기관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폐로율제어를 하는 폐로율제어부(도시 생략)을 통해서 파워트랜지스터(3)에 그 베이스신호로서 입력된다.
제 10 도는 점화코일(4)에 흐르는 코일전류를 차만해서 점화전압을 발생했을때의 동작파형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a)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전압, (b)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동작모드, (c)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전압, (d)는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이 파형도는 10마이크로초(秒)의 영역의 현상을 나타낸다. 점화신호발생기(1)의 기준단자에는 기준전원(23)에서 기준전압이 공급되고 있으며, 이 기준전압에 대해 발생된 점화신호가 중첩되어서 출력된다. 이 점화신호는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를 거쳐 전압비교기(21)에 입력되어 기준전압과 비교되어서 상기한 기본점화펄스로 변환된다. 이 점화펄스는 폐로율제어를 받은 후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파워트랜지스터(3)를 스위치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점화코일(4)의 통전이 이루어진다. 다시 상세히 기술하면, 정규동작시에 있어서는 시점(t10)에서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전압은 H에서 L로 되고, 시점(T11)에서 파워트랜지스터(3)는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다(t10-t11사이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동작 지연).
이에 따라서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전압은 시간(t11)-(t13) 사이(H)가 되어서 펄스를 발생한다. 시점(t13) 이후 점화코일(4)의 2차측에 발생한 점화전압이 점화코일(4)의 전환작용으로 1차측에도 나타나고, 이 파형의 정현파(正弦波)의 반파(半波)처럼 나타난다. 또한 이와같이 점화전압에 기인되는 파형이 점화코일(4)의 1차측에 나타나는 것은 점화코일(4)의 2차출력에 접속된 방전갭(도시하지 않음)이 무한(無限) 길이인 경우이다. 지금 하니스(15),(16)이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배선되어 있으면,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전압은 실선과 같이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전압의 유도가 전혀 없으며, 특히 그 전압변화율이 큰 시간(t11)-(t13)에 발생하는 펄스마저 유도하고 있지 않은 파형으로 된다. 그러나 하니스(15),(16)이 직접 인접한 경우에는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 입력단자에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전압의 펄스(t11-t13)가 유도되어 나타난다. 이 펄스는 전압변화율이 크므로 시점(T13) 이후의 파형보다도 크게 유도되어 전자회로(2)에서는 유해한 점화노이즈로 된다. 이 점화노이즈는 하니스(15),(16)이 근접할수록 또한 장거리에 걸쳐 인접할수록 크게 나타나며, 나아가 코넥터부의 하니스의 결과에도 의존한다.
상기 점화노이즈가 점화전압발생시에 전압비교기(21)의 작동전압(Vr)이상이 되면, 전압비교기(21)는 시점(t12)에서 여분의 펄스를 출력하고, 이 여분의 펄스는 일단 시점(t11)에서 오프로된 파워트랜지스터(3)를 재차 여분의 온으로 전환시킨다. 시간(t11)-(t12)는 회로의 응답지연이다 시간(t11)-(t13)에서 발생한 펄스는 10마이크로초 정도의 단시간의 것이므로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에 나타나는 점화노이즈도 10마이크로초 정도의 단시간의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시점(t12)에서의 파워트랜지스터(3)의 여분의 온기간은 10마이크로초가 되고, 시점(t12)의 수 10마이크로초 후(시점 t15)에 원래의 오프상태로 돌아온다. 그리고 시점(t15)에서도 시점(t11)(징규시점)과 다르지 않은 펄스형태 전압이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전압에 나타나므로 시간(t11)-(t13)의 현상이 차례로 반복된다. 이 반복은 하니스(15),(16)의 전기적 간섭정도에 따라서 또는 점화시스템의 계(系)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며, 그 주기 및 회수는 일정하지는 않다. 이 하니스(15),(16)사이의 간섭에 의한 오동작은 하니스(17)측에서는 하니스(16)측보다 잘 발생하지 않는다 하니스(17)은 기준전원(23)에 가깝고, 하니스(16)보다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전압(Vr)은 기본적으로 기준전원(22),(23)의 각기의 기준전압의 차이며, 전원전압이나 점화신호의 주기에 의해 제어되므로 점화노이즈가 문제가 된다. 점화전압이 발생할때는 작동전압(Vr)을 커지도톡 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작동전압(Vr)은 크더라도 수볼트로 하는 것이 한계이며, 하니스의 결과여하에 따라서는 점화노이즈는 이것의 2배에도 이르게 되므로 충분한 내(耐) 노이즈성을 얻을 수 없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1 도에 나타낸 장치가 고안되었다. 도면에 있어서,(25)는 기준전원(23)의 출력과 전자회로(2)의 기준단자 사이에 접속된 저항,(31)은 저항(32)와 콘덴서(33)으로 이루어진 귀환회로이고, 그 한끝은 전자회로(2)의 기준단자에 접속된다. (36)은 전압비교기(21)의 출력을 받아서 파워트랜지스터(3)를 가장 적절하게 구동하는 점화펄스를 만드는 펄스회로이며, 동시에 파워트랜지스터(3)를 구동하는 신호와 동위상(同位相)의 신호를 귀환회로(31)에 입력한다. 파워트랜지스터(3)를 구동하는 신호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동작의 영향을 받아서 그 파형과 전압이 변화하므로, 이것에 영향받지 않은 귀환을 하기 위해서 파워트랜지스터(3)를 구동하는 신호 그 자체는 귀환하지 않는다
제 12 도는 제 11 도의 구성 각 부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며, (a)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전압, (b)는 그 동작모드, (c)는 그 콜렉터전압, (d)는 귀환신호, (e)는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전압을 나타낸다. 시점(t20)에서 파위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전압은 (H)에서 (L)로 전환하고, 소정 시간후의 시점(t21)에서 파워트랜지스터(3)는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다. 펄스회로(36)로부터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전압이 (H)에서 (L)로 전환했을때에 동시에 귀환신호를 (H)에서 (L)로 전환해서 출력한다. 이 귀환신호를 받아서 귀환회로(31)는 미분(徹分) 전압(VFB)을 출력하여 기준전원(23)의 출력에 중첩한다. 이에 따라서 기준전원(23)으로부터의기준전압은미분전압(VFB)만큼 낮아지고,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전압도 이에 따라서 낮아지고,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전압도 이에 따라서 낮아지며, 이 시점(t20) 이후 귀환회로(31)로부터의 미분전압은 미분특성을 따라서 서서히 작아진다. 시점(t21)에서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전압에 펄스가 나타나고, 이것이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 입력단자의 전압에 점화노이즈로서 나타난다. 시점(t21)에서도 귀환회로(31)로부터의 미분전압은 효과적인 값으로 있으므로, 점화노이즈의 피크치는 전압비교기(21)의 작동전압(Vr)을 초과하는 일 없이 제 10 도의 시점(t12)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파워트랜지스터(3)의 온에의 반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제 11 도의 장치에서는 간단한 귀환회로(31)에 의해 점화노이즈의 마스크를 할 수 있지만, 펄스회로(36)로부터의 귀환신호가 (L)에서 (H)로 상승할때에는 귀환회로(31)에 귀환신호가 입력되어 기준전원(23)의 출력에 중첩된다. 이것은 점화코일(4)의 통전중의 현상이고, 점화코일(4)의 통전특성(폐로율 특성)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제 11 도의 장치에서는 점화노이즈만을 고려한 귀환은 할 수 없었다.
제 13 도는 점화코일(4)의 폐로율특성을 나타내며, 귀환회로(31)가 없는 경우에는 실선으로 표시한 기본특성을 나타내며, 귀환회로(31)가 있는 경우에는 귀환이 커지며,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다란 값의 특성이 되어 그만큼 여분으로 점화코일(4)의 통전이 이루어져 여분의 전류소비 또는 열파괴로 통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점화신호에 중첩하는 점화노이즈가 어느 정도 작은 경우는 폐해없이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큰 점화노이즈에 대해서도 정규동작을 확보하는데는 귀환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점화코일의 통전이 여분으로 이루어지므로 여분의 전류소비 및 발열을 초래하고, 열파괴의 위험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큰 점화노이즈에 대해서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점화코일의 통전을 기본특성대로 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점화장치는 점화코일의 점화전압발생시에 생기는 점화노이즈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귀환신호를 이그나이터 회로의 점화신호입력단자에 점화전압발생시에만 인가하는 수단을 이그나이터회로에 내장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점화전압발생시에 생기는 점화노이즈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귀환신호를 이그나이터회로의 점화신호 입력단자에 인가하도록 하고 있으며, 점화노이즈의 영향은 제거되어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 귀환신호는 점화전압발생시에만 인가되고, 점화코일의 통전시에는 인가되지 않으므로 점화코일의 여분의 통전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41)은 귀환회로이고, 다이오드(42), 저항(43) 및 콘덴서(44)로 이루어지며, 다이오드(42)의 양극측은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콘덴서(44)는 펄스회로(36)에 접속된다.
제 2 도는 상기 구성의 각 부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며, (a)는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전압, (b)는 그 동작모드, (c)는 그 콜렉터전압, (d)는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전압이다. 전압비교기(21)에서 기본점화펄스가 출력되고, 이 점화펄스는 펄스회로(36)에서 점화코일(4)에 가장 적당한 통전특성을 부여하는 점화펄스로 변환되어 파워트랜지스터(3)를 스위치 동작시킨다. 파워트랜지스터(3)의 스위치동작에 대응해서 점화코일(4)에 통전을 하여, 점화코일(4)의 통전전류의 차단시에 점화전압이 출력된다. 한편 펄스회로(36)에서 귀환회로(41)에도 점화펄스가 입력된다. 여기서 파워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단자에 공급되는 신호를 병행해서 귀환회로(41)에 공급하지 않고 있지만, 이것은 파워트랜지스터(3)의 동작에 의해 펄스회로(36)에서 공급되는 점화펄스의 파형(상승 및 하강의 파형 또는 전압)이 변화하여 이것이 귀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귀환회로(41)의 기본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다이오드(42)를 제외한 저항(43), 콘덴서(44)로 이루어진 회로를 나타내며, 콘덴서(44)의 입력단자에 펄스회로(36)로부터 점화펄스가 입력되고, 저항(43)의 단자전압이 귀환신호로서 출력된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구성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며, (a)는 입력신호인 펄스회로(36)로부터의 점화펄스, (b)는 출력신호인 귀환신호를 표시한다. 펄스회로(36)로부터의 점화펄스는 (H)일때 파워트랜지스터(3)의 온, (L)일때 파워트랜지스터(3)의 오프에 각기 대응하며, 시점(t31)(t33)은 점화코일(4)의 통전종료에 대응한다. 이 점화펄스에 의하여 콘덴서(44)는 저항(43)을 통하여 충방전되므로, 귀환신호는 미분파형이 된다. 이 귀환신호가 다이오드(42)를 통해서 전자회로(2)의 점화신호 입력단자에 입력되므로, 이 단자의 전압은 제 2 도(d)와 같이 시점(t40)에서 마이너스전압에 클립된다. 이것은 전자회로(2)의 다이오드(24)에 제 4 도(b)의 귀환신호에 의한 순방향전류가 흘러 순전압(VF)에 클립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귀환신호의 미분특성에 의거하여 시점(t40)→(t41)→(t42)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다이오드(24)의 순방향 전류가 감소 쇠퇴해가고, 순전압도 감소 쇠퇴해간다. 점화노이즈가 발생하는 시점(t41)에 있어서도 충분히 다이오드(24)에 순방향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다이오드(24)의 양극전압은 시점(t40)과 차가 없는 전압에 있다(콘덴서(44)의 용량을 선택하면 시점(t41)에 있어서도 완전한 클립상태로 된다. 즉 시점(t40)과 같은 전위로 된다). 이 결과로 시점(T41)에서 전압 비교기(21)에 입력되는 점화신호는 오검출이 생기지 않는 충분히 낮은 전위에 유지되어 점화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귀환회로(41)에 다이오드(42)를 배설하고 있으므로 귀환신호가 정파(正波)일때는 다이오드(42)에 역전압이 가해지고, 귀환회로(41)와 전자회로(2)는 분리되어 버린다. 즉 귀환신호의 정파는 무효로 된다. 이 때문에 제 11 도에 나타낸 종래 장치에서 문제였던 점화코일(4)의 통전특성이 증대하는 폐해는 완전히 해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귀환회로(41)는 콘덴서(44)를 중심으로한 미분신호를 귀환신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회로(2)에 대해서는 교류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점화노이즈의 폐해를 해소하고 있다.
다음에 귀환회로(41)의 전자회로(2)에 대한 직류적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도는 제 1 도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며, 귀환회로(41)중 전자회로(2)에 대해 직류적으로 작용하는 다이오드(42), 저항(43)만을 나타내고 있다. 기준전원(23)이 출력하는 기준전압은 하니스(17), 점화신호발생기(1) 및 하니스(16)를 지나서 전압비교기(21)에 입력된다. 지금, 다이오드(42)와 저항(43)의 직렬회로가 전압비교기(21)의 입력과 어스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기준전원(23)에서의 기준전압은 하니스(17)과 점화신호발생기(1)와 하니스(16)의 각 내부저항의 합계와, 다이오드(42)와 저항(43)의 내부저항의 합계에 의해 분할된다. 이 때문에 다이오드(42)와 저항(43)이 없는 경우보다도 전압비교기(21)에 입력되는 전압이 작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압비교기(21)는 기준전원(22),(23)의 각기의 기준전압의 차를 기본작동전압(Vr)으로 하여 작동하는 것이므로 다이오드(42), 저항(43)에 의해 기준전원(23)으로부터의 기준전압이 분할되어서 작아진 분량만큼 전압비교기(21)의 입력의 전위차는 커지고, 검출전압(Vr)은 커진다. 이것은 전압비교기(21)를 작동시키는데에 종래는 Vr이상 필요했던 것이 여기서는 다이오드(42) 및 저항(43)분만큼 Vr에 가한 커다란 전압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의미하며 점화신호발생기(1)에 의해 커다란 출력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점화신호발생기(1)가 커다란 전압을 발생하는데는 그 원리상 회전수를 올릴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기관의 회전수를 높이는 것으로서 점화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저회전영역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이다. 그러나, 저항(43)은 메그음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미소한 영향밖에 없으며, 실제 사용상에 있어서는 기관의 회전수로서 큰 차이를 나타내는 레벨이 되지 않으며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미소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점화전압발생시에 이그나이터 회로의 점화신호입력단자에 귀환신호를 인가하고 있으며, 점화전압발생시에 점화신호에 중첩하는 점화노이즈의 영향을 귀환신호에 의해 제거할 수 있고, 오동작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귀환신호의 인가는 점화전압발생시 뿐이므로 점화 코일의 통전을 기본특성대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신호의 하니스의 실드처리가 없는 부분에 대한 허용길이를 길게 할수 있다.

Claims (1)

  1. 내연기관의 회전에 대응하여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발생기와, 상기 점화신호를 기준단자와 점화신호입력단자의 사이에 받아서 점화코일의 통전을 소정의 특성으로 행하는 이그나이터회로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점화코일의 점화전압발생시에 발생하는 점화노이즈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귀환신호를 상기 점화신호입력단자에 점화전압발생시에만 인가하는 수단을 이그나이터회로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KR1019870009704A 1986-09-24 1987-09-02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KR900003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26985 1986-09-24
JP226985 1986-09-24
JP61226985A JPS6380077A (ja) 1986-09-24 1986-09-24 内燃機関の点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220A KR880004220A (ko) 1988-06-02
KR900003865B1 true KR900003865B1 (ko) 1990-06-02

Family

ID=1685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704A KR900003865B1 (ko) 1986-09-24 1987-09-02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2863A (ko)
JP (1) JPS6380077A (ko)
KR (1) KR900003865B1 (ko)
DE (1) DE373225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8679B1 (de) * 2003-09-26 2014-01-15 Krohne Mess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Impulsgenerator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kurzen elektrischen Impulsen
DE10359441B4 (de) * 2003-09-26 2006-11-23 Krohne Meß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Impulsgenerator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kurzen elektrischen Impulsen
US8223985B2 (en) * 2009-04-22 2012-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Masking of pure tones within sound from a noise generating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5713A (en) * 1970-05-18 1971-09-20 Gen Motors Corp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system
DE2137204C3 (de) * 1971-07-24 1978-05-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ünd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JPS543626A (en) * 1977-06-10 1979-01-11 Hitachi Ltd Ignition system without contact point
JPS54158536A (en) * 1978-06-02 1979-12-14 Hitachi Ltd Current control circuit for ignition device
DD143144A1 (de) * 1979-06-07 1980-08-06 Exner Karl Christoph Anordnung zjm schweissen mit hydraulischen pressstumpfschweissmaschinen
US4347827A (en) * 1981-06-01 1982-09-07 Motorola, Inc. Noise blanker circuit for use with electronic ignition systems or the like
JPS5918270A (ja) * 1982-07-20 1984-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接点点火装置
JPS608444A (ja) * 1983-06-27 1985-01-17 Toyota Motor Corp クランク角信号の波形整形方法
GB8431630D0 (en) * 1984-12-14 1985-01-30 Lucas Ind Plc I c engine ignition systems
GB8408029D0 (en) * 1984-03-28 1984-05-10 Lucas Ind Plc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ic engine
EP0158458A3 (en) * 1984-03-28 1986-12-17 Lucas Electrical Electronics & Systems Limited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32253C2 (de) 1994-06-09
JPS6380077A (ja) 1988-04-11
JPH0545794B2 (ko) 1993-07-12
KR880004220A (ko) 1988-06-02
US4862863A (en) 1989-09-05
DE3732253A1 (de) 198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999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060623A (en) Spark duration control for a capacitor discharge ignition system
JPH07217519A (ja) 内燃機関用失火検出回路
US3450942A (en) Electrical pulse generating system
KR900003865B1 (ko) 내연기관의 점화장치
CA1148603A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082075A (en) Input quarter cycle timing circuit
US4982717A (en) Ignition system for an engine with a reverse-rotation preventing function
US5781429A (en) Pulse charging apparatus using electron tube for switching control
EP0384436B1 (en) Ignition detecting device of ignition apparatus
US4155107A (en) Generator earth fault protection
US4414954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improvement
US3450972A (en) Electrical pulse generating apparatus
KR850003934A (ko) 전자진각식(電子進角式)점화장치
US4804923A (en) Voltage control system
JP2519574B2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US3443152A (en) Electrical pulse generating apparatus
US4391262A (en)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75520A (en) Contactless erroneous ignition prevention type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044846A (en) Coil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283605B2 (ja) イオン電流検出装置
JPS6155623B2 (ko)
JPS6329178Y2 (ko)
EP0480723A1 (en) Inductive load drive circuit
KR100282897B1 (ko) 노이즈를 제거한 점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