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788Y1 -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 Google Patents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788Y1
KR900003788Y1 KR2019870020652U KR870020652U KR900003788Y1 KR 900003788 Y1 KR900003788 Y1 KR 900003788Y1 KR 2019870020652 U KR2019870020652 U KR 2019870020652U KR 870020652 U KR870020652 U KR 870020652U KR 900003788 Y1 KR900003788 Y1 KR 900003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garlic
rotating
drop passag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019U (ko
Inventor
서상문
박동기
Original Assignee
서상문
박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문, 박동기 filed Critical 서상문
Priority to KR2019870020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788Y1/ko
Publication of KR890010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마늘 분할및 껍질 제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통마늘 분할부(쪽내는 부분)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가-가'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통마늘 분할부 나 : 쪽마늘 탈피부
다 : 최종 박피부 1 : 1차 투입통
1' : 고무판 1a : 나선형 안내돌조
2 : 회전통 2' : 고무판
2a : 돌기 3 : 간격부
4 : 회전원판 5 : 낙하통로
5b : 배기구 6 : 송풍기
7 : 회전축 8 : 2차 투입통
8a : 나선형 안내돌조 9 : 회전통
9a : 돌기 10 : 간격부
11 : 낙하통로 12 : 안내통
13 : 최종 투입통 14 : 회전통
15 : 간격부 16 : 외출 안내관
17 : 원료 투입콤베어 18 : 통마늘
18a : 쪽마늘 18b : 탈피된 마늘
본 고안은 통마늘을 투입하면 1차 투입통에서 쪽마늘로 분할되고 2차 투입통에서 쪽마늘을 비벼서 껍질이 벗겨지게하고 3차인 최종투입통에서 쪽마늘의 외면에 부착된 속껍질까지 말끔히 털어내어 깨끗한 알마늘을 얻을수 있도록 한 통마늘 분할 및 껍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마늘박피기가 개발된 것이 있지마는 통마늘을 투입하여 알마늘이 되도록까지 일관성있게 처리하는것이 아니었기때문에 일손이 많이 가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재결접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최상부에 통마늘 분할부(가)를 배치하고 중간부에 쪽마늘 탈피부(나)를 배치하고 하측에 최종박피부(다)를 배치하여 통마늘 분할부의 회전통(2)과 쪽마늘 탈피부(나)의 회전통(9)은 같은 회전축(7)에 연결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데, 통마늘 분할부(가)의 1차투입통(1)은 상광하협한 테이퍼형 원통으로 구성하여 내주면에 수조의 나선형 안내돌조(1a)를 돌설하고 회전통(2)은 상광하협한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외면에 고무판을 피복한후 수개의 돌기(2a)를 외면에 돌착하고 회전통(2)과 투입통(1)과의 사이에 상광하협한 간격부(3)가 형성하며, 투입통(1) 하단부외측으로 낙하통로(5)를 구성하되 낙하통로 하단부(5a)는 2차투입통에 연결하고 중간부에 배기구(5b)를 형성하여 송풍기(5)를 장치하고 회전통(2) 저부에 회전원판(4)을 장치하여 회전원판 상면과 낙하통로(5) 입구사이에 안내판(A)을 장치하고 쪽마늘 탈피부(나)의 투입통(8)은 상협하광한 테이퍼형 원통체로 구성하여 내면부에 수조의 나선형 안내돌조(8a)를 형성시키고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통(9)은 외면에 고무판을 피복하여 수개의 돌기(9a)를 돌착시키고 간격부(10)은 상광하협한 간격으로 구성하여 하단부 일측으로 최종박피부(다)의 투입통(13)으로 통하는 낙하통로(11)를 돌착시키고 최종박피부의 투입통(13)은 삿갓형으로하고 내부에는 고무판과 고무튜으브등의 마찰구조를 구비시킨 회전통(14)을 장설하여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면 통마늘(18)이 콤베어(17)를 통해 1차투입통(1)내에 투입되면 상관하협한 투입통(1)과 회전통(2)사이의 간격(3)으로 통마늘이 투입되어 회전통(2)에 의하여 가압분할되므로 통마늘이 분할되어 여러쪽의 쪽마늘로 나누어지고, 회전통(2)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원판(4)위에 떨어지면 안내판(A)에 의하여 낙하통로(5)로 투입되므로 쪽마늘된것이 아래로 떨어져 이송되게 되고 이송과정에서, 쪽마늘이 분할되는 과정에서 생긴 껍질이나 부스러기는 낙하통로(5) 중간을 통과하는 순간에 송풍기(6)의 바람을 받아 외출되고 쪽마늘만 2차투입통(8)으로 투입되고 2차투입통(8)은 상협하광한 형태의 원통이고 그 내부의 회전통 역시 상협하광한 테이퍼형이므로 간격부(10)로 통과하는 쪽마늘은 돌기(9a)와 고무판으로 인해 쪽마늘이 비벼지면서 낙하되어 속껍질이 미세하게 파열되고 박피만되는 작용을하게 되는데 이상태에서 최종박피부(다)의 투입통(13)과 회전통(14) 사이에 들어오면 1차 2차보다 더 경사가 완화되고 접촉사항이 다소부드러운 고무판과 튜우브로된 마찰간격(15)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쪽마늘을 부드럽게 비비거나 털어주는 효과를 내도록되므로 마늘외면에 부착된 최종껍질까지 벗겨내고 외출안내관(16)으로 낙하되는 효과를내기 때문에 통마늘이 1차, 2차 투입통과 3차투입통을 거치게되면 쪽마늘로 분할되어 껍질이 깨끗이 제거된 알맹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는것이다.
이렇게 하므로 작업이 수월하고 능율적이며,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케될뿐 아니라 마늘알맹이를 최대로 손상시키지 않고 껍질만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1차 2차 투입통(1)(9)의 간격부는 마늘의 굵기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여 굵기가 다른 마늘도 처리가 가능케되고 조정작업이 간편하여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것과같이 본 고안은 최상부에 통마늘에 분할부(가)를 배치하고 중간부에 쪽마늘 탈피부(나)를 배치하고 하측에 최종박피부(다)를 배치하여 통마늘 분할부의 회전통(2)과 쪽마늘 탈피부(나)의 회전통(9)은 같은 회전축(7)에 연결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데, 통마늘 분할부(가)의 1차투입통(1)은 상광하협한 테이퍼형 원통으로 구성하여 내주면에 수조의 나선형 안내돌조(1a)를 돌설하고 회전통(2)은 상광하협한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외면에 고무판을 피복한후 수개의 돌기(2a)를 외면에 돌착하고 회전통(2)과 투입통(1)과의 사이에 상광하협한 간격부(3)가 형성하며, 투입통(1) 하단부 외측으로 낙하통로(5)를 구성하되 낙하통로 하단부(5a)는 2차투입통에 연결하고 중간부에 배기구(5b)를 형성하여 송풍기(5)를 장치하고 회전통(2) 저부에 회전원판(4)을 장치하여 회전원판 상면과 낙하통로(5) 입구사이에 안내판(A)을 장치하고 쪽마늘 탈피부(나)의 투입통(8)은 상협하광한 테이퍼형 원통체로 구성하여 내면부에 수조의 나선형 안내돌조(8a)를 형성시키고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통(9)은 외면에 고무판을 피복하여 수개의 돌기(9a)를 돌착시키고 간격부(10)은 상광하협한 간격으로 구성하여 하단부 일측으로 최종박피부(다)의 투입통(13)으로 통하는 낙하통로(11)를 돌착시키고 최종박피부의 투입통(13)은 삿갓형으로 하고 내부에는 고무판과 고무튜으브등의 마찰구조를 구비시킨 회전통(14)을 장설하여된 통마늘 분할 및 껍질제거장치.
KR2019870020652U 1987-11-26 1987-11-26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KR900003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652U KR900003788Y1 (ko) 1987-11-26 1987-11-26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652U KR900003788Y1 (ko) 1987-11-26 1987-11-26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019U KR890010019U (ko) 1989-07-07
KR900003788Y1 true KR900003788Y1 (ko) 1990-05-01

Family

ID=1926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652U KR900003788Y1 (ko) 1987-11-26 1987-11-26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7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019U (ko) 198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1000A (en) Peeling machine and method
KR900003788Y1 (ko) 통마늘 분할및 껍질재거 장치
DE3775418D1 (de) Vorrichtung zum schaelen von lebensmitteln, insbesondere zum schaelen von nuessen.
KR790001798Y1 (ko) 양념작물의 탈피기
CA2003007A1 (en) Processing machine for boiled/cooked crab
US39131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kin from chicken necks
KR890006387Y1 (ko) 잣 껍질 까기 기기
KR840002813Y1 (ko) 들깨 탈피기
KR820000334Y1 (ko) 포도 제피기(除皮機)
KR900000114Y1 (ko) 마늘 박피기
KR870001804Y1 (ko) 고추 외피의 불순물 제거기용 교반솔로울러
SU10213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очатков кукурузы от оберток
SU1428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чеснока
NO168553C (no) Behandlingsapparat for viskoese materialer.
IE792008L (en) Surface cleaning device for carcasses
KR940013609A (ko) 정미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SU6881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хранени рыбы
SU16483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лодов от околоплодника и выделение сем н из косточковых культур
JPS5323470A (en) Egg conveying apparatus
KR900005611Y1 (ko) 쌀 세척 용기
SU897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тунговых плодов
JPS57125663A (en) Preventing method for separation of water from jam and jelly
SU16500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год винограда от гребней
SU125703A1 (ru) Машина дл разделени чеснока на дольки и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шелушени его
SU15143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оперения с тушек пт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