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779B1 -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779B1
KR900003779B1 KR1019860010356A KR860010356A KR900003779B1 KR 900003779 B1 KR900003779 B1 KR 900003779B1 KR 1019860010356 A KR1019860010356 A KR 1019860010356A KR 860010356 A KR860010356 A KR 860010356A KR 900003779 B1 KR900003779 B1 KR 90000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liquid crystal
light emitt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678A (ko
Inventor
방호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1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779B1/ko
Publication of KR88000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제 1 도는 종래 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블록도.
제 3 도는 제1필드 및 제2필드의 동기펄스를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에 따른 각부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합성영상신호 발생부 2 : 수직동기신호분리부
3 : 좌우판별회로 4 : 주파수발진부
5 : 변조부 6 : 발광부구동회로
7 : 발광부 8 : 수광부
9 : 증폭부 10 : 자동바이어스레벨제어회로
11 : 리미터증폭회로 12 : 대역통과여파기
13 : 검파비교기 14 : 적분기
15 : 히스테리시스비교기 A : 송신부
B : 수신부 IV : 인버터DF1, DF2: DD형 플립플롭
BF1-BF3: 버퍼 X : 좌액정셔터
Y : 우액정셔터 C : 액정셔터구동부
본 발명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로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왼쪽영상신호가 텔레비젼 수상기에 수신되는 기간에는 왼쪽안경만, 오른쪽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기간에는 오른쪽안경만이 투명하게 되도록 적외선으로 액정안경의 좌우액정셔터를 온/오프시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는 입체감을 만끽하면서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입체화상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바, 이러한 입체화상장치는 입체합성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1필드씩 건너 왼쪽영상신호와 오른쪽영상신호를 번갈아 발생시킨다음 상기 영상신호들을 텔레비젼수상기로 수신하게 되면 정상적인 사람의 시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없게 되지만, 왼쪽 및 오른쪽으로 구성된 액정안경을 통해서 텔레비젼수상기를 시청하게 되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왼쪽 및 오른쪽 안경을 번갈아 구동시켜주기위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유선으로된 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가 이미 고안되어 있으나, 이 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는 유선으로 하나의 액정안경에 연결되기 때문에 여러사람이 시청할 수가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액정안정의 셔터구동회로가 갖고 있는 결점을 개선시켜주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유선대신 적외선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어 왼쪽 및 오른쪽 액정안경을 빈갈아 구동시겨 주므로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합성영상신호를 발생하는 합성영상신호발생부(1)와 합성영상신호에서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직동기신호분리부(2), 제1필드와 제2필드에서의 수직동기의 등화펄스수를 이용하여 좌우를 판별하므로서 1프레임의 주기를 갖는 구형파를 출력하게 되는 좌우판별회로(3), 수광소자의 주파수에 일치하는 주파수를 발진하는 주파수발진부(4), 상기 주파수 발진부(4)에서 발진되는 신호에 상기 좌우판별회로(3)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신호를 싣는 변조부(5), 상기 변조부(5)에서 변조된 신호를 받아 발광부(7)를 구동시켜주는 발광부구동회로(6) 및 상기 발광부구동회로(6)의 구동에 의해 적외선신호를 송출하는 발광부(7)로 구성된 송신부(A)와, 상기 송신부(A)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8)와 수광부(8)에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9), 상기 증폭부(9)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바이어스레벨제어회로(10), 상기 증폭부(9)에서 증폭된 신호중 저역의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증폭하는 리미터증폭회로(11), 필요한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여파기(12), 상기 대역통과여파기(12)의 출력성분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잡음의 혼입을 경감시켜 검파하는 검파비교기(13), 상기 검파비교기(13)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14) 및 상기 적분기(14)에서 적분된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는 히스테리시스비교기(15)로 구성된 수신부(B) 및, 인버터(IV)와 D형 플립플롤(DF1)(DF2) 및 버퍼(DF1-BF3)로 구성되어 상기 수신부(B)의 출력에 따라 좌우액정셔터(X)(Y)를 번갈아 구동하는 액정셔터구동부(C)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X, Y는 각각 좌, 우액정셔터를 나타낸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블록도로서, 제 2 도의 (a)는 송신부(A)를 나타내고, 제 2 도의(b)는 수신부(B) 및 액정셔터구동부(C)를 각각 나타낸다. 제 3 도는 제1필드 및 제2필드의 동기펄스를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에 따른 각부 파형도로서, 합성영상신호 발생부(1)에서 발생된 좌우판별신호가 인가된 합성영상신호(제 4 도(a))가 수직동기신호분리부(2)로 인가되어 동기분리된다(제 4 도(b)에는 동기분리된 신호(합성동기신호)중 수직동기신호만을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동기분리된 합성영상신호는 좌우판별회로(3)로 인가되고, 그에따라 좌우판별회로(3)는 좌우판별을 한다음 1프레임주기의 구형파(제 4 도(C))를 출력하게 되는데, 좌우의 판별은 등화펄스의 수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필드 및 제2필드에서 각각 다르므로 이 등화펄스의 수를 계수하여 판별하게 된다. 이어 상기 좌우판별회로(3)에서 출력된 1프레임주기의 구형파(제 4 도(c)는 변조부(5)에 인가되어 주파수발진부(4)로 부터 입력되는 발진신호(제 4 도(d))와 함께 변조된다. 이렇게 변조부(5)에서 변조된 신호는 제 4 도(e)와 같은데, 이 변조된 신호(제 4 도(e))는 발광부구동회로(6)로 인가되어 발광부구동부회로(6)가 발광부(7)를 구동시켜줌에 따라 발광부(7)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적외선으로 수신부(B)로 전송되어 된다.
상기 전송된 변조신호(제4(e) ; 제 4 도(f)와 동일함)를 수신부(B)에 있는 수광부(8)의 포토다이오드로 받아 이신호(제 4 도(e))를 증폭기(9)로 인가하게되고, 증폭부(9)에서 증폭된 다음 리미터증폭회로(11)로 인가되어 신호중 저역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되며, 증폭된다. 여기서 자동바이어스레벨제어회로(10)는 수광부(8)의 포토다이오드에 백열등과 같은 큰광량이 입사될때 직류적으로 하강해서 증폭부(9)가 포화되는 것을100μA 까지 조절해주는 적용을 하게되며, 이렇게 증폭부(9)에서 증폭된 신호는 리미터증폭회로(11)로 인가되어 리미터증폭회로(11)에서 저역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되고 증폭되어 대역통과여파기(12)로 인가되는데, 저역의 불필요한 신호의 제거는 과대입력시 대역통과여파기(12)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대역통과여파기(12)로 인가된 신호는 불필요한 신호대역은 차단되고,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이 출력되어 검파비교기(13)로 인가되는데, 검파비교기(13)에서는 잡음의 혼입을 경감시켜 검파한다음 검파된 신호를 적분기(14)로 출력하게 되며, 적분기(14)는 입력된 신호를 적분해서 히스테리시스비교기(15)로 출력시키게 된다. 그에따라 히스테리시스비교기(15)에시는 상기 적분기(14)에서 적분된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히스테리시스비교기(15)에서 출력된 신호(제 4 도(g))는 송신부(A)에 있는 좌우판별회로(3)의 출력신호(제 4도(c))와 동일하고, 이 신호(제 4 도(g))가 액정셔터구동부(c)로 인가된다(여기서 수신부(B)는 실드케이스로 차폐되어 있다). 즉, 1프레임주기를 갖는 구형파신호(제 4 도(g))가 액정셔터구동부(c)의 D형 플립플롭(DF1)에 클록신호로 인가됨과 더불어 인버터(IV)를 통해 반전되어 D형 플립플롭(DF2)에 클럭신호로 인가되며, 그에따라 D형 플립플롭(DF1)의 출력신호(Q)(
Figure kpo00001
)는 각각 제 4 도(h)신호 및 제 4 도(i)신호로 되고, D형 플립플롭(DF2)의 출력신호(Q)(
Figure kpo00002
)는 각각 제 4 도(k)신호 및 제 4 도(j)신호로 되어 버퍼(BF1-BF3)를 통해 좌, 우액정셔터(X)(Y)로 인가된다. 즉, 제 2 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액정셔터(Y)로 인가되는 신호는 D형 플립플롭(DFl)의 출력신호(Q)인 제 4 도(h)신호와 D형 플립플롭(DF2)의, 출력신호(Q)인 제 4 도(j)신호이므로 이 두신호가 모두 하이레벨이면 V2레벨, 어느 하나만이 하이레벨이면, V1, V3레벨 모두 로우레벨이면 V2레벨로 되어 이것을 도시한 것이 제 4 도(1)신호인데, 이 신호(제4도(1)가 우액정셔터구동신호로 된다. 또한 좌액정셔터(X)로 인가되는 신호는 D형 플릅플롭(DF1)의 출력신호(
Figure kpo00003
)인 제 4 도(i)신호와 D형 플립플롭(DF2)의 출력신호(Q)인 제4도(j)신호이므로 이두신호에 의한 좌액정셔터구동신호는 제 4 도(m) 신호로 되고, 이러한 좌우액정셔터구동신호(제 4 도(1)(m))는 V1, V3레벨일때 해당 액정셔터를 온시키고, V2레벨일때 오프시키게 되므로 즉, 왼쪽영상신호가 주사되는 제1필드기간에는 우액정셔터(Y)가 구동되어 액정안경의 왼쪽안경만이 투명하게 되고, 오른쪽영상신호가 주시되는 제2필드기간에는 좌액정셔터(X)가 구동되어 액정안정의 오른쪽안경만이 투명하게 되므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유선대신 적외선에 의한 신호전송으로 액정안경의 왼쪽 및 오른쪽 액정안경을 번갈아 구동시키므로써 여러사람이 각각의 액정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함께 입체영상을 시청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합성영상신호를 발생하는 합성영상신호 발생부(1)와 합성영상신호에서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직동기신호분리부(2), 제1필드와 제2필드에서의 수직동기의 등화펄스수를 이용하여 좌우를 판별하므로서 1프레임의 주기를 갖는 구형파를 출력하는 좌우판별회로(3), 수광소자의 주파수에 일치하는 주파수를 발진하는 주파수발진부(4), 상기 주파수발진부(4)에서 발진되는 신호에 상기 좌우판별회로(3)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신호를 싣는 변조부(5), 상기 변조부(5)에서 변조된 신호를 받아 발광부(7)를 구동하는 발광부구동회로(6) 및 상기 발광부구동회로(6)의 구동에 의해 적외선신호를 송출하는 발광부(7)로 구성된 송신부(A)와, 상기 송신부(A)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8)와 수광부(8)에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9), 상기 증폭기(9)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바이어스레벨 제어회로(10), 상기 증폭기(9)에서 증폭된 신호중 저역의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증폭하는 리미터증폭회로(11), 필요한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여파기(12), 상기 대역통과여파기(12)의 출력성분 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잡음의 혼입을 경감시켜 검파하는 검파비교기(13), 상기 검파비교기(13)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14) 및 상기 적분기(14)에서 적분된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는 히스테리시스비교기(l5)로 구성된 수신부(B) 및, 인버터(IV)와 D형 플립플롭(DF1)(DF2) 및 버퍼(BF1-BF3)로 구성되어 상기 수신부(B)의 출력에 따라 좌우액정셔터(X)(Y)로 번갈아 구동하는 액정셔터구동부(C)를 구비하여서된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KR1019860010356A 1986-12-04 1986-12-04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KR90000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0356A KR900003779B1 (ko) 1986-12-04 1986-12-04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0356A KR900003779B1 (ko) 1986-12-04 1986-12-04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678A KR880008678A (ko) 1988-08-31
KR900003779B1 true KR900003779B1 (ko) 1990-05-31

Family

ID=1925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356A KR900003779B1 (ko) 1986-12-04 1986-12-04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7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678A (ko) 198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033A (en) Stereoscopic video system and method with field synchronization and intensity control
JP4939024B2 (ja) 光通信装置、及び光通信方法
JP3421889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受信装置、立体映像装置、立体映像装置用送信機及び立体映像装置用受信機
US20100309535A1 (en) Shutter-glass eyewear control
EP0710022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digital information in a television signal
KR900003779B1 (ko) 무선액정안경의 셔터구동회로
CN1149859C (zh) 一种新的光同步时分立体电视系统
US20110187838A1 (en) Fram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hree-dimensional eyewear
JPH0879799A (ja) 立体視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同期信号送信装置と同期信号受信装置
JPS62276989A (ja) 立体映像再生装置
JPS6417590A (en) Wireless stereoscopic glasses system
JPH0292187A (ja) 立体画像用メガネ装置
RU20104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левизионной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JPS63117596A (ja) 三次元映像再生装置
KR100406217B1 (ko) 떨림현상이 없는 입체 영상수신장치
KR200194079Y1 (ko) 텔레비젼이나 프로젝터를 위한 입체화상 구현장치
RU2246799C1 (ru) Система стереотелевидения
SU14501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тереоцветног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игнала
JPS6291095A (ja) 立体映像装置
SU788445A1 (ru) Цветной стерео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3091074B2 (ja) 無線ゴーグルビジョン装置
SU921119A2 (ru) Стереотелевизионное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H08336167A (ja) 立体映像装置
KR900009597Y1 (ko) 영상녹화재생기의 입체영상(3-d) 동기신호 무선 송수신회로
SU756667A1 (ru) Телевизионный цветосинтезатор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