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183B1 -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을 통한 성형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을 통한 성형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183B1
KR900003183B1 KR1019830005087A KR830005087A KR900003183B1 KR 900003183 B1 KR900003183 B1 KR 900003183B1 KR 1019830005087 A KR1019830005087 A KR 1019830005087A KR 830005087 A KR830005087 A KR 830005087A KR 900003183 B1 KR900003183 B1 KR 90000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lat cable
interface
connector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878A (ko
Inventor
민뗄리나 깔로게로
Original Assignee
하니웰 불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까를로 팔세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니웰 불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까를로 팔세띠 filed Critical 하니웰 불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84000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을 통한 성형접속장치
제 1 도는 공지되어 있는 중앙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의 성형 및 버스접속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에 대한 공지되어 있는플래트 케이블을 통한 버스접속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3 도는 공지되어 있는 플래트 케이블, 접속기와 전자장치 사이에서의 전기접속에 관한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다른 플래트 케이블을 통한 성형 접속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절연체 바디(body), 72 : 접속요소
24, 74 :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 76, 77 : 스크루(screw)
78 : 절연물질 80 : 핀
81 : 숫(male)접속기 82 : 전자장치
본 발명은 모듈형 전자시스템용 플래트 캐이블을 통한 성형접속(star connect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타 처리시스템에서,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몇개의 장치들이 전자 신호들을 전달하고 교환하기 위하여 설치된 한 세트의 선(lead)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듈형의 장치들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같은 크기의 터미날(terminal)을 가진 프린트 배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치들 사이의 전기접속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버스 접속을 사용한다. 버스접속을 한세트의 N선의 M장치(M 〉2)의 대응하는 터미날의 수 N을 접속시켜 모든 연결된 M장치 사이에 전기신호를 교환할 수있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여러장치 사이에 단지 버스접속만을 사용하는 것이 블가능하며 다수(M)의 두 장치 사이에 전기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선택 접속이 필요하다. 특히 시스템의 한 장치와 각 M-1장치 사이에서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선택 접속이 필요하다.
일한 선택 접속이 소위 성형접속시스템을 규정한다. 전자시스템의 장치 사이에서 선택접속을 수행하는 몇 가지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장치들이 프린트 배선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은 뒷 판넬(panel)이 있는 샤시(chassis)에서 서로 평행으로 정돈되어 있다.
각 장치에는 터미날이 여러개 있는 접속기나 샤시의 뒷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대응하는 암(female) 접속기속에 맞물려지는 접속단자(finger)가 있는 에지(edge)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샤시의 뒷 판넬에 서로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는 암접속기의 수는 샤시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의 수와 동등하다. 암 접속기에는 공지된 "선 감는법(wire wrapping)"에 따른 필요조건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핀이 있다. 뒷 판넬을 프린트 회로로 일체화하여 끝단에 핀을 용접하여 암 접속기의 핀 사이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의 접속방법을 1982년 3월 11일에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제 80104872.9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한 모듈장치의 접속방법은 값이 상당히 비싸다. 그래서 가능하면 이것대신 인접하여 평행으로 된 다수의 선으로 구성된 소위 플래트 케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장치들의 각 접속기는 플래트 케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대응하는 암접속기에 맞물리게 된다. 이런형은 지금까지 단지 두 장치사이의 접속이나 버스접속장치에만 한정되어 왔다.
사실 성형접속용으로이러한플래트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의 분리 그리고/또는 시스템장치의 인터페이스(interface)의 변화등과 같은 정교하고 값이 비싼 플래트 케이블의 사용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어떠한 경제적인 잇점을 얻을 수가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값이 싸고, 플래트 케이블에 의해 똑같은 전기적인 인터페이스와 시장에서 구입 가능한 관련이 있는 종래의 접속기를 가지고 있는 장치들 사이를 쉽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접속장치를 개량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전자중앙장치(MU)와 N개의 주변장치(U1, U2, … UN)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전달하며, 상기의 장치 각각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최소한 N개의 접속터널(31, 32, … 3N) 복수개를 가지고 있고, 상기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된 성형접속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N개의 전기선(211, 212, 21N)으로 된 플래프 케이블과, 장치(MU, U1, U2, …UN)이 인터페이스를 맞물고 있고, 복수개의 동일한 형태로 된 전기접속요소(72)중 하나를 수용하는 최소한 N개의 하우징(71), 그리고 하우징속에 끼워졌을 때 상기의 전기선중 하나와 접속기에 물려진 중앙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의 터미널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관계를 맺어주는 전기접속요소로 되어 있는 상기의 플래트 케이블 위에 설치된 N+1개의 접속기(220, 221, … 22N)와, 상기의 접속기 다수중 하나에는 N개의 하우징 모두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중앙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물고 있는 N개의 접속요소와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물고 있는 접속기를 각각에는 N개의 하우징중 단지 하나에만 끼워져 있어서, 상기의 전기선중 서로 다른 하나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의 터미널과의 접속관계를 맺어주도록 되어있는 하나의 접속요소와 상기 N개의 접속터미널 모두를 하나로 접속하고 있으며, 터미널 중 선택된 하나에 상기 중앙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가 상기 전기선 중 선택된 하나를 경유하여 주변장치중 오직 하나의 다른 장치로 전달되도록 되어있는 전기적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성들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 1 도는 공지되어 있는 모듈형 전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시스템은 중앙장치(MU)와 N모듈의 장치(U1, U2, UN)로 구성되어 있는 예로서 이런 구조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메모리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중앙장치(MU)는 메모리 제어장치를 나타내고 장치(U1,…UN)는 적어도 인터페이스 즉 중앙장치(MU)에다 전기 / 논리 접속을 하는 것에 관한한 서로 동일한 메모리 모듈을 나타낸다. 장치(U1, U2)은 서로 연결되며 한 세트 선이나 공통채널 또는 제 1도에 두선(10)(11)로 나타낸 버스를 통해 중앙장치(MU)와 연결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10)을 장치(MU)의 터미날(12)과 장치(U1, U2, UN)의 대응하는 터미날(121)(122)(12N)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유사하게 선(11)은 장치(MU)의 터미날(13)과 장치(U1)(U2)(UN)의 대응하는 터미날(131)(132)(13N)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모든 다른 장치들도 장치의 어떤것에 의해 선(12)(13)에 적용된 전기적인 신호를 받는다. 이러한 접속이 버스접속이며 제 2도에 도시된 것과같이 쉽게 플래트 케이블로 구체화 할 수 있다.
제 2 도에 선(L10)(L11)은 플래트 케이블을 나타낸다. 접속기(14)는 케이블의 한 끝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고정되어 있다. 이런 접속기에 의해 장치(MU)의 터미날(12)(13)에 케이블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다. N접속기(141)(142)(14N)는 케이블을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 고정되어 있다. 이런 접속기에 의해 장치(U1)(UN)의 터미날(121)(131)…(12N)(13N)에 케이블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로서, 플래트 케이블 접속기는 미국 특허 제 3,434,093 호에 기술된 형이다.
제 3도는 플래트 케이블 접속기의 분해도로서 한쪽에서는 플래트 케이블과 다른쪽에서는 전기장치와 접속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접속기에는 '72'와 같은 전기접속요소가 맞물려 있는 ‘71’과 같은 하우징이 있는 절연체 바디(body)(70)가 있다. 이런 요소에는 절연체 바디로부터 나온 포크형의 끝(73)이 있다. 플래트 케이블(74)은 스크루(screw)(76)(77)등과 같은 것에 의해 절연체바디(70)와 뒷 요소(75) 사이에 죄여져 있다. 이런식으로 케이블의 절연물질(78)을 꿰뚫는 포크형의 터미날의 케이블의 대응하는 선 즉 '79;와 같은 것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다. ‘72’와 같은 전기접속요소가 맞물려 있는 '71'과 같은 절연체 바디의 각 하우징은 전자장치(82)의 프린트회로의 접속가장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숫(male) 접속기의 대응하는 터미날이나 핀(80)을 받는다. 숫 접속기(81)의 핀은 플래트 케이블 접속기의 대응하는 접속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플래트 케이블 접속기를 분해할 때 접속요소(72)를 쉽게 하우징으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다.
제 1 도에서 선(15)은 장치(U1)의 터미날(161)에다 장치(MU)의 터미날(16)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접속으로 장치(MU)와 장치(U1) 사이에서 단지 전기적인 신호만을 교환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선(17)(19)은 장치(U1)(UN)의 터미날(182)(20N)에다 장치(MU)의 터미날(18)(2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접속의 세트는 장치(U1, …UN)와 장치(MU) 사이에서 성형접속을 구성한다. 이러한 성형접속으로 장치(MU)가 장치들(U1, …UN)가운데서 한 장치(Ui)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장치는 버스(제 1도의 선 10, 11)를 통해 어떤 신호를 장치(MU)로부터 받고 장치(MU)에 보낼 수 있다. 이런식으로 선(10)(11)에 있으며 장치(Ui)로 향하는 신호가 선택된 장치(Ui)와 다른 장치에 의해 수락되든지 선택된 장치(Ui)와 다른 장치가 동시에 선(10)(11)에다 어떤 신호를 작용시키는 현상이 방지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트 케이블을 통한 성형접속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시스템은 플래트 케이블(21), N+1플래트 케이블 접속기(220)(221)(222)(22N)와 N+1(MU)(U1)(UN)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장치에는 접속단자가 있는 접속가장자리(각각 E0, E1, E2, EN)가 있다. 플래프 케이블은 N(221, 212, 21N) 이상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은 절연체 물질(도시되지 않음)의 두 탭(tap) 사이에서 서로 평행으로 정돈되어 있다.
접속기의 절연체바디는 플래트 케이블에 횡으로 전돈된 직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실시예에서는 그것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접속기 바디내에 있는 원은 플래트 케이블 선에 인접한 전기 접속요소용 하우징이다. 하우징내에 검은 표시가 된것은 접속요소가 하우징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검은 표시가 없는 것은 접속요소가 하우징내에 없다는 뜻이다. 접속기 생산과정 동안에 접속시스템의 조립과정동안 접속요소의 선택삽입을 통해 대응하는 접속기 하우징 속에다 접속요소를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요소가 있는 접속기의 하우징으로부터 접속요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장치(MU)(U1)(UN)의 접속가장자리에는 적어도 N접속단자(31)(32)(3N)(41)(42)(4N)(51)(52)(5N)(61)(62)(6N)가 있다. 그들의 인터페이스에 관해서는 장치(U1)(U2)(UN) 동일하다. 장치(MU)와 각 장치(U1)(U2)(UN) 사이의 성형접속은 하기와 같은 것으로 얻을 수 있다. 접속기(220)는 장치(MU)의 접촉단자(31)(32)(3N)를 받도록 된 하우징에서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다. 접속기(221)는 장치(U1)의 접촉단자(41)를 받도록 된 하우징에서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장치(U1)의 접촉단자(42)(4N)를 받도록 된 하우징에서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 접속기(222)는 장치(U2)의 접촉단자(52)를 받도록 된 하우징에서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장치(U2)의 접촉단자(51)(5N)를 받도록 된 하우징에서는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 접속기(22N)는 장치(UN)의 접촉단자(6N)를 받도록된 하우징에서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장치(UN)의 접촉단자(61)(62)를 받도록 된 하우징에서는 접속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 장치(U1)의 터미날(41)(42)(4N)은 선(C1)에 의해 함께 접속되어 있으며 기능적으로는 장치(U1)의 터미날(T1)을 구성한다. 장치(U2)의 터미날(51)(52)(5N)은 선(C2)에 의해 함께 접속되어 있으며 기능적으로는 장치(U2)의 터미날(T2)을 구성한다.
장치(UN)의 터미날은 선(CN)에 의해 함께 접속되어 있으며 기능적으로는 장치(UN)의 터미날(TN)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적어도 인터페이스에 관한 한 장치(U1)(U2)(UN)은 동일하다. 그리고 장치(U1)(U2)(UN)에는 같은식으로 배치된 N접속단자의 전기접속을 통해 실제적으로 얻을 수 있는 터미날(T)이 있다.
제 4 도에 도시된 시스템에서서 선(211)을 통해 장치(U1)의 터미날(T1)과 장치(MU)의 터미날(31), 선(212)을 통해 장치(U2)의 터미날(T2)와 장치(MU)의 터미날(32) 그리고 선(21N)을 통해 장치(UN)의 터미날(TN)과 장치(MU)의 (3N)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즉 플래트 케이블을 특별하게 취급하지 않으며 인터페이스에 관한 한 장치(U1)(U2)(UN)를 구별짓지 않고 장치(U1)(U2)(UN)와 장치(MU) 사이를 성형접속시킬 수 있다.
성형접속장치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의 장치는 혼합된 접속, 즉 버스와 성형접속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으로 데이타 처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듈메모리 시스템과 여러개의 프로세서(processor)가 버스접속을 통해 메모리와 연결되고 성형접속이 미국특허 제 4,302,808 호 등에 기술되어 있는 것처럼 각 프로세서와 악세스(access) 메모리 제어장치 사이에서 이루어져 있는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시스템의 요구조건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있다.그러므로 '공통 또는 중앙장치'와 '주변장치'의 표현은 본 발명의 분야에 대해 한계점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하나의 성형 접속에 관한 예를 기술하였지만 중앙장치와 여러개의 주변장치 또는 여러개의 중앙장치와 여러개의 주변장치 사이에 있는 여러개의 선을 성형접속하는 것, 즉 다중 성형접속도 가능하다. 그리고 또 전기적 부하(즉 선으로 흘러 들어가는 전류)의 문제점이 해결되면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을 통해 여러개의 선과 여러개의 접속요소 사이에서 전기적부하의 분할로 성형접속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전자중앙장치(MU)와 N개의 주변장치(U1, U2, … UN)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전달하며, 상기의 장치 각각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최소한 N개의 접속터널(31, 32, … 3N) 복수개를 가지고 있고, 상기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된 성형접속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N개의 전기선(211, 212, 21N)으로 된 플래프 케이블과, 장치(MU, U1, U2, …UN)이 인터페이스를 맞물고 있고, 복수개의 동일한 형태로 된 전기접속요소(72)중 하나를 수용하는 최소한 N개의 하우징(71), 그리고 하우징속에 끼워졌을 때 상기의 전기선중 하나와 접속기에 물려진 중앙 및 주변장치 및 인터페이스의 터미널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관계를 맺어주는 전기접속 요소로 되어있는 상기의 플래트 케이블 위에 설치된 N+1개의 접속기(220, 221, … 22N)와, 상기의 접속기 다수중 하나에는 N개의 하우징 모두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중앙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물고 있는 N개의 접속요소와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물고 있는 접속기를 각각에는 N개의 하우징중 단지 하나에만 끼워져 있어서, 상기의 전기선중 서로 다른 하나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의 터미널과의 접속관계를 맺어주도록 되어 있는 하나의 접속요소와 상기 N개의 접속터미널 모두를 하나로 접속하고 있으며, 터미널 중 선택된 하나에 상기 중앙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가 상기 전기선 중 선택된 하나를 경유하여 주변장치중 오직 하나의 다른 장치로 전달되도록 되어있는 전기적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접속장치.
KR1019830005087A 1982-11-04 1983-10-27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을 통한 성형접속장치 KR900003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4061 1982-11-04
IT24061/82A IT1153612B (it) 1982-11-04 1982-11-04 Apparato di connessione e stella mediante cavo piat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878A KR840006878A (ko) 1984-12-03
KR900003183B1 true KR900003183B1 (ko) 1990-05-09

Family

ID=1121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087A KR900003183B1 (ko) 1982-11-04 1983-10-27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을 통한 성형접속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113401B1 (ko)
JP (1) JPS59161097A (ko)
KR (1) KR900003183B1 (ko)
BR (1) BR8306052A (ko)
DE (1) DE3369774D1 (ko)
IT (1) IT1153612B (ko)
YU (1) YU44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4464A1 (de) * 2003-09-25 2005-04-14 Nexans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Signalen von i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n Sensoren
DE202004015240U1 (de) * 2004-09-27 2004-12-09 Silvertex Gmbh Fadensystem zur Installation in Trinkwassersystemen
DE102005046802A1 (de) * 2005-09-30 2007-04-05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en eines Umfelds eines Systems,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3596A (en) * 1964-10-15 1967-03-30 Ericsson Telephones Ltd Electric cross connection devices
US3491266A (en) * 1966-06-13 1970-01-20 Us Navy Alterable matrix
US3434093A (en) * 1966-09-27 1969-03-18 Minnesota Mining & Mfg Solderless connector for multipleconductor flat cable
US4051383A (en) * 1976-03-30 1977-09-2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harnesses and connecting devices therefor
IT1122890B (it) * 1979-08-30 1986-04-30 Honeywell Inf Systems Italia Sistema a microprocessori con struttura modulare a bus e configurazione espandibile
US4314312A (en) * 1980-04-14 1982-02-02 Amp Incorporated Programm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13401A1 (en) 1984-07-18
IT8224061A0 (it) 1982-11-04
EP0113401B1 (en) 1987-02-04
KR840006878A (ko) 1984-12-03
JPS59161097A (ja) 1984-09-11
YU44863B (en) 1991-04-30
DE3369774D1 (en) 1987-03-12
BR8306052A (pt) 1984-06-12
IT1153612B (it) 1987-01-14
YU218883A (en) 198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172A (en) Modular hardware packaging apparatus
US4420793A (en) Electrical equipment
US5442170B1 (en) Programmable cable adaptor for connecting different automobile computers to diagnostic equipment
KR910004511B1 (ko) 집적 백플레인(integrated backplane)을 가진 전자시스템
US4490775A (en) Universal programmable interface
US6875060B2 (en) High density patching system
US5984734A (en) Modular input/output system with flexible interface with field wiring
US4634209A (en) Modular plug connector
US6105088A (en) Backplane assembly for electronic circuit modules providing electronic reconfigurable connectivity of digital signals and manual reconfigurable connectivity power, optical and RF signals
GB2206456A (en) Shielded flat cable connectors
US4737113A (en) Jack assembly having a unitary housing
EP0175426A2 (en) Transition adapter connector employ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4012096A (en) Telephone connector block apparatus
US5612680A (en) Universal termination module for assembling wire harnesses having multiple diverse connectors
US4272141A (en) Electronic card cage interfacing assembly
US4042832A (en) Logic board interlock indication apparatus
JPH05211676A (ja) 通信端末、相互接続システム及び回線カード
KR900003183B1 (ko) 플래트 케이블(flat cable)을 통한 성형접속장치
US4542372A (en) Data distribution apparatus
GB2035716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signal connectors
GB2087158A (en) Electrical equipment
GB1125497A (en) Multiple switch assembly
GB2111783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ing optical links
JPS58201277A (ja) デ−タステ−シヨンにおけるインタ−フエ−ス用内部接続機構
GB121034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plug and socket connector arran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