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097Y1 -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097Y1
KR900003097Y1 KR2019860016479U KR860016479U KR900003097Y1 KR 900003097 Y1 KR900003097 Y1 KR 900003097Y1 KR 2019860016479 U KR2019860016479 U KR 2019860016479U KR 860016479 U KR860016479 U KR 860016479U KR 900003097 Y1 KR900003097 Y1 KR 900003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detection
pole
rotating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511U (ko
Inventor
미네 겐지 마에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5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12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detecting coils using the machine windings as detecting coi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자극을 구성하고 있는 자석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자극의 자속 분포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자극검지 부재에 대하여 자극이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자극 검지부재로 부터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선도.
제6도는 제5도의 출력선도를 파형정형한 신호를 나타낸 선도.
제7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회전체에 대향하는 자극검지 부재의 정면도.
제9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자극과 자극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자극검지 부재에 대하여 자극이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자극검지 부재들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선도.
제13도는 종래의 출력신호를 파형정형한 신호를 나타낸 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1a : 축
3, 13 : 자극검지부재 3a, 3b, 13a, 13b : 검지도전체
11 : 자극
본 고안은 콤팩트 디스크플레이어 또는 플로피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회전 구동원 등에 사용되는 모터에 있어서, 회전체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검지출력 레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0도 내지 제13도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콤팩트 디스크플레이어 및 프로피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회전 구동원 등에 사용되는 모터에서는, 구동력을 발휘하는 로우터 등과 같이 축(1a)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회전체(1)의 외주에 자극(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극(2)은 회전체(1)의 외주에 1개소 또는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자극(2)에서는 단일의 극성(예를들면N극)이 외부면에 나타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고정축에는 상기 자극(2)을 검지하는 자극검지 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극 검지부재(3)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극(2)의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된 검지도전체(3a,3b) 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검지 도전체(3a,3b)는 축(1a)에 따른 방향으로 뻗어있고, 접속 도전체(3c)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검지도체(3a,3b) 및 접속 도전체(3c)는 예를들면 기판상에 인쇄된 도체패턴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도체 패턴에 의한 경우에는 자극검지부재(3)를 박형화 할수 있고, 또 자극검지부재(3)를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는등의 이점이 있다.
이 종류의 회전위치 검지장치에서는 회전체(1)가 회전하여, 자극(2)이 검지 도전체(3a,3b)를 가로지를 때의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자극 검지부재(3)로부터 제12도에 나타낸 파형의 전압이 출력된다.
자극(2)이 단일 극성(N극)일 경우 자극(2)이 한쪽의 검지 도전체(3a)를 가로지를때에 정의 전압이 출력되고 또 검지 도전체(3b)를 가로지를때에 부의 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제12도에 나타낸 파형중 정의부분의 일정레벨(ℓ) 이상의 출력을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정형하고, 파형정형된 신호의 상승등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위치의 검지신호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회전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검지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서는 자극검지부재(3)로 부터의 출력 전압을 높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도전체(3a,3b)가 기판상의 도체패턴등에 의하여 각각 1개씩밖에 설치되어 있지않은 경우에 있어서, 출력전압을 높히는 방법으로서는, 자극검지부재(3)와 통과하는 자극(2)과의 간격을 좁히든가 혹은 자극(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량을 많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자극(2)은 회전체(1)와 함께 이동하므로, 자극검지부재(3)와 자극(2)과의 간격을 좁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 자극(2)으로부터의 자속량을 많게하기 위하여서는, 자극(2)을 구성하고 있는 자석의 두께를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고 회전체(1)상에 설치하기에는 불리하게 된다.
또 자극 검지부재(3)를 코일에 의하여 구성되고, 검지도전체(3a,3b)를 복수개씩 설치하면, 유도기전력을 크게할 수 있고 출력전압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검지도전체(3a,3b)를 복수개 가지는 코일체로서는 자극 검지부재(3)의 형상이 크게되고, 배치 스페이스 등의 점에서 도체패턴에 의한 자극검지부재(3)보다도 불리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검지도전체에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자극통과시의 출력전압을 크게할 수가 있고, 정밀도가 높은 회전위치검지를 할 수 있도록 한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회전체에 자극이 설치되고, 또한 고정측의 상기 자극이 통과하는 위치에는 회전체의 축에 따른방향으로 뻗은 검지도전체가 설치되어 있는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상이한 극성이 회전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검지 도전체는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 서로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회전체에 설치되는 자극으로서 S극과 N극을 회전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였으므로 회전체가 회전하여, 양 검지도전체의 각각에 상이한극성이 통과할때에, 종래의 2배의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여 2배의 전압레벨의 검지파형을 출력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의 각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호 1은 회전체이고, 부호1a는 그 축이다.
이 회전체(1)는 무부러시 모터 또는 코어레스모터 혹은 다른종류의 모터의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로우터이다.
혹은 회전체(1)가 모터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또한 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것이라도 좋다.
회전체(1)의 외주에는 자극(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극(11)은 영구자석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외면에서는 S극과 N극이 회전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부호 3은 자극검지 부재이고, 회전체(1)의 외주에 틈새를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이 자극검지부재(3)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1)의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형으로 배치된 한쌍의 검지 도전체(3a,3b)를 가지고 있다.
양 검지도전체(3a,3b)는, 축(1a)에 따른 방향으로 뻗어있고, 또한 접속도전체(3c)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검지 도전체(3a,3b) 및 접속 도전체(3c)는 예를들면, 수지필름 등에 의하여 형성된 기관의 표면에 인쇄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수지 필름의 기판의 경우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1)의 외주에 고정시켜 설치된 틀채(4)의 내면등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검지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자극(11)이 나란히 배치된 S극과 N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자극(11)에 의한 자속분포는 제3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자극 검지부재(3)에서는 통과하는 자극(11)에 의하여 S극으로부터 N극으로 변할 때의 자속의 변화를 받게 된다.
즉, 회전체(1)의 회전에 의하여 자극(11)이 자극 검지부재(3)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 자극검지부재(3)로부터 제5도에 나타낸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먼저 제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의 S극이 검지도전체(3a)부분을 통과할 때 제5도(a)로 나타낸 부의 전압이 출력된다.
또, 제4b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S극이 검지도전체(36)의 부분을 통과하고, 또한 N극이 검지도전체(3a)의 부분을 통과할 때, 제5도에서 (b)로 나타낸 정의전압이 출력된다. 그리고, 제4c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N극이 검지도전체(3b)를 통과할 때, 제5도에서(c)로 나타낸 부의 전압이 출력된다.
여기서, 제4b도의 상태에서는 검지도전체(3a,3b)가, S극과 N극의 반대되는 자속의 변화를 받기 때문에 이 때의 출력전압(제5도의(b))은, 제12도에 나타낸 종래의 단일자극에 의한 출력전압의 레벨(H)에 비하여 2배의 레벨(2H)이 된다.
이(2H)인 레벨의 출력전압이 일정한 레벨(ℓ)이상이 되는 부분을 파형정형하여, 제6도에 나타낸 출력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에 의하여 회전체(1)의 회전위치를 검지하여 콤팩트 디스크플레이어 또는 플로피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회로 위치의 제어의 기준으로하게 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 자체가 모터의 구동원이 되는 로우터 마그넷트이고 그 외주에 회전위치 검지용의 자극(11)이 착자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부호(12)는 회전수 검지용의 자극이다.
이 회전수 검지용의 자극(12)은 회전체(1)의 측면의 전체둘레레 걸쳐,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 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7도에 나타낸 회전체(1)의 경우에는 회전위치 검지용의 자극(11)과 회전수 검지용의 자극(12)을 동시에 착자 시킬수가 있다.
더구나 회전위치 검지용 자극(11)은 N극과 S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N극과 S극을 회전수 검지용 자극(12)의 한쌍의 N극 및 S극과 동일한 핏치로 하고, 회전수 검지용의 자극(12)의 자극을 횡방향으로 연장시켜, 회전위치 검지용의 자극(11)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구조의 회전체(1)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극(11)을 검지하는 자극검지 부재(3)외에, 자극(12)을 검지하기 위한 회전수 출력용의 검지부재(5)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양 검지부재(3,5)는 동일한 기판상의 도체패턴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제9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극(11)에 대향하는 고정측의 자극검지부재(13)가 코일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체인 경우에는 자극(11)이 가로지르는 검지도체(13a,13b)가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있다.
코일체의 자극 검지부재(13)의 경우에는 제4도에 나타낸 자극 검지부재(3)에 비하여 대형화가 되기는 하나, 복수개의 검지도전체(13a,13b)에 의하여 복수배의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제5도에 나타낸 출력보다도 더욱 큰 검지출력을 얻을수 있게 된다.
또, 제9도에서는 검지도전체(13a,13b)가 직선형상 이지만, 이 검지도전체(13a,13b)가 약간 만곡되어 코일체가 거의 원통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경우에는 검지출력을 얻는 것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체에 설치된 자극을 상이한 극성이 줄지어 지게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자극검지 부재에 설치된 한쌍의 검지도전체로 부터는 종래의 복수배의 레벨의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게 되어 검지정밀도를 높일수가 있게된다.
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극접지부재가 ㄷ자형으로 형성된 1개의 도체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일지라도, 충분히 큰 출력을 얻을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필름현상기판에 도체패턴을 인쇄한 박형의 자극검지부재인 경우에도 큰 출력을 얻을수 있게되어 모터 주변의 실제장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전체에 자극이 설치되고, 또한 고정측의 상기 자극이 통과하는 위치에는 회전체의 축에 따른 방향으로 연장된 검지 도전체가 설치 되어있는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상이한 극성이 회전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검지도전체는,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KR2019860016479U 1986-03-28 1986-10-28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KR9000030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46987 1986-03-28
JP1986046987U JPS62159171U (ko) 1986-03-28 198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11U KR870015511U (ko) 1987-10-26
KR900003097Y1 true KR900003097Y1 (ko) 1990-04-14

Family

ID=1276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479U KR900003097Y1 (ko) 1986-03-28 1986-10-28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59171U (ko)
KR (1) KR9000030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11U (ko) 1987-10-26
JPS62159171U (ko) 198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8624B1 (en) Optical rotation detecting apparatus
JP2734759B2 (ja) 回転検出装置
US4737675A (en) Brushless motor with center leads for preventing signal distortion
US4701650A (en) Brushless motor with phase cancelling leads for rotational speed detector pattern
US4713613A (en) Device for magnetically detecting displacement of non-magnetic movable member
KR900003097Y1 (ko) 모터의 회전위치 검지장치
US4701649A (en) Brushless motor with symmetrical leads for preventing signal distortion
JPS6363050B2 (ko)
SU6100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
JPS5842916A (ja) クランク角検出機構
USH939H (en) Commutator pulse tachometer
KR950007108Y1 (ko) 회전체의 속도제어용 신호발생 장치
KR200143097Y1 (ko) 공극형 모터의 영구자석 배치구조
KR0171842B1 (ko) 인덱스신호 출력을 가지는 직류모터장치
KR930007341Y1 (ko) 직류 무정류자 모터
KR900007228Y1 (ko) 모터의 검지장치
KR900000662Y1 (ko) 브러시레스 모터의 검지기구
JPS5844375Y2 (ja) モ−タの回転速度検出装置
JPH0632781Y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検知装置
SU739443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датчик
JPH0469348B2 (ko)
JPH0754595B2 (ja) Vtr用ドラムモ−タにおけるスイツチングパルス発生装置
JPS5839257A (ja) 回転速度検出装置
RU2136003C1 (ru) Датчик частоты вращения
JPH0619298Y2 (ja) 直流モ−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