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971Y1 -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971Y1
KR900002971Y1 KR2019880002862U KR880002862U KR900002971Y1 KR 900002971 Y1 KR900002971 Y1 KR 900002971Y1 KR 2019880002862 U KR2019880002862 U KR 2019880002862U KR 880002862 U KR880002862 U KR 880002862U KR 900002971 Y1 KR900002971 Y1 KR 900002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connecting piece
cultivator
pl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500U (ko
Inventor
권춘섭
Original Assignee
권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춘섭 filed Critical 권춘섭
Priority to KR2019880002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971Y1/ko
Publication of KR890018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71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형바퀴 2 : 푸레임
3 : 안장 5 : 발판
6 : 고리체 7 : 연결핀
8 : 연결편 9 : 보조편
11a : 보울트 11b : 암나사부
본 고안은 경운기용 쟁기와, 대형바퀴를 주요구성품으로 하는 일련의 안장장치와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연결조작이 매우 수월하고 그 제작도 용이하여 농가에 널리 보급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경운기에 부착하여 각종의 농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보조기(쟁기, 로터리등)의 상단에 안장을 설치시켜 경운기 본체에 연결시킨후 작업을 행하도록 하는 안장장치 및 이들의 연결장치가 제안되었었다.
그 일예로서 로터리 조정축에 연한 푸레임과 이 푸레임의 양측에 소형바퀴를 축설시키고 푸레임 뒷부분에 받침봉을 고착한후 그 끝단에 안장을 설치시킨 구조의 로터리 뒷바퀴를 제안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즉 소형의 바퀴를 두개씩 사용하므로서 이에따른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였으며 경운기로 로터리 작업을 끝낸후 바퀴자국이 선명히 드러나 효과적인 로터리 작업을 수행할 수가 없었으며 로터리 조정축에 푸레임을 연결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체중을 포함한 뒷바퀴 및 푸레임의 하중이나 견인력이 로터리조정축에 집중되어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등 실용적인 안장장치라고는 볼 수 없었다.
특히 이러한 구조의 안장장치의 쟁기 작업이나 그밖의 경운기 작업(써레작업, 논갈이 작업등)에는 사용될 수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 나아가서는 더욱 간단한 방식으로 경운기에 사용되는 각종의 부속기기들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이하에서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1도에서는 본 고안의 개괄적인 구조를 도시하였다.
대형바퀴(1)를 지지하면서 전체부품을 연결시키는 푸레임(2)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상단으로 안장(3)이 장착되어 있다.
푸레임(2) 후방에는 토사판(4)이 부착되어 있고 토사판(4)의 높이 조절용 레버(4')가 그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안장(3)의 전방으로 발판(5)이 가로설치되어 있으며 그 최전방에 ""형의 고리체(6)가 푸레임(2)에 고착되어 있다.
이 고리체(6)의 상하면 중앙에는 연결핀(7)이 삽입될 구멍(6')이 뚫려져 있다.
그리고 연결편(8)은 삽입흠(8a)과 안내체(8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안내체(8b)는 첨부도면 제2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고리체(6)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리체(6)의 구멍(6')과 안내체(8b)의 안내구멍(8b')을 일치시켜 상기한 연결핀(7)으로 고정하므로서 안장장치와 경운기 본체, 본 실시예에서는 쟁기(s)와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핀(8)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의 쟁기각도 조절대(W)의 와만한 굴곡형상에 맞추어 전체형상이 약간 굴곡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양측과 배면양측에 암나사부(11b)가 각각 형성되어 공지의 체결용 보울트(11a)와의 조합으로 연결편(8)을 쟁기(S0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연결편(8)과 조절대(W)상면을 덮는 보조편(9)을 나사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여 더욱 강력하고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나사봉, 22는 토사판(4)에 무리한 장애물이 걸릴때 토사판(4)을 일단 후퇴시켰다가 다시 원위치시키는 스프링을 각각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연결순서를 설명하면, 통상의 쟁기(S)뒷부분에는 쟁기잘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대(W)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대(W)의 단면이 ""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본 고안의 연결편(8)을 고정하게 되는데 조절대(W)의 저면부를 연결편(8)의 삽입홈(8a)에 삽입시키고 상기 체결보울트(11a)로 양측에서 조여서 체결시키면 일차적으로 연결편(8)이 쟁기(S)의 조절대(W)에 고정부착이 된다.
이어서 보조편(9)을 조절대(W) 상면과 연결편(8) 상면에 재치하여 또한 공지의 보울트(11a)로 조여서, 결과적으로 4면에서 조절대(W)와 접촉한 상태가 되어 그 체결상태가 더욱 양호한 결과를 낳게되는 것이다.
이어서 연결편(8)과 고리체(6)의 연결순서를 설명한다.
연결편(8)의 후방부에 안내구멍(8b')이 형성된 안내체(8b)가 일체고착되어 있으므로 고리체(6)를 편함한 안장장치를 안내체(8b)와 조립시킨다.
즉, 안내체(8b)를 고리체(6)내부공간에 받아들여 안내체(8b)의 안내 구멍(8b')과 고리체(6)의 구멍(6')을 일치시킨후 상기한 연결핀(7)으로 상기구멍들에 대하여 꽂아 넣음으로서 일련의 안장장치와 쟁기부와의 연결작업이 끝나는 것이다.
이때 연결편(8)은 쟁기(S)의 조절대(W)에 항상 고정부착된 상태로 놓아둔 상태에서 연결핀(7)만을 해체하므로서 안장장치와 경운기부쪽과의 연결이 분리되고 또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비단 쟁기의 경우만을 일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로터리 기나 기타 써레기등에도 부착하여 사용이 될 수 있는 것이며 그 효과에 비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여 농가에 널리 보급시킬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안장(3)과 발판(5)이 푸레임(2)에 고착되고 대형바퀴(1)가 축설되며 그 후방에 토사판(4)이 경사설치된 경운기용 안장장치에 있어서, 구멍(6')이 뚫린 고리체(6)와, 삽입홈(8a)이 형성되고 안내구멍(8b')을 갖는 안내체(8b)와 일체형성된 연결편(8)과, 이 연결편(8)의 상단양측 및 배면부 양측에 각각 암나사부(11b)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체(8b)를 고리체(6)에 삽입시켜 연결핀(7)으로 연결시키고 보조편(9)을 연결편(8)상부에 나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KR2019880002862U 1988-03-03 1988-03-03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KR900002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862U KR900002971Y1 (ko) 1988-03-03 1988-03-03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862U KR900002971Y1 (ko) 1988-03-03 1988-03-03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500U KR890018500U (ko) 1989-10-05
KR900002971Y1 true KR900002971Y1 (ko) 1990-04-10

Family

ID=1927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862U KR900002971Y1 (ko) 1988-03-03 1988-03-03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500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971Y1 (ko) 경운기용 안장의 연결장치
JPS6437203A (en) Length variable lateral strat of agricultural tractor
JPS6225370Y2 (ko)
KR960005244Y1 (ko) 경운기용 농업기계기구 받침대
US3123154A (en) Tool bar and clamp unit for spring-tooth harrow shanks
KR880003928Y1 (ko) 관리기와 작업기의 연결구조
KR940000126Y1 (ko) 농기계의 보조바퀴
KR890008592Y1 (ko) 경운기 쟁기의 체결위치 조정장치
US2693747A (en) Tractor mounted implement support and implement
KR870001445Y1 (ko) 농용기계 부착용 쟁기의 연결장치
KR930006195Y1 (ko) 관리기의 농기구 연결구조
KR890004429Y1 (ko) 트랙터용 쟁기
RU2041578C1 (ru) Дисковая борона
KR900002957Y1 (ko) 관리기용 중경 제초기의 보습 조절장치
KR920006937Y1 (ko) 경운기에 있어서 이랑쌓기 삽 부착장치
US625078A (en) Weeder
KR900008989Y1 (ko) 경운기의 예취기 결합장치
KR870003084Y1 (ko) 경운기용 탑승 운전장치
KR880002817Y1 (ko) 경운기 부착 승용로타리 작업기
JPH052021Y2 (ko)
US1335928A (en) Spring-beam cultivator
JPS638163Y2 (ko)
KR200176955Y1 (ko) 트랙터용써레판구조
KR900002958Y1 (ko) 칼퀴를 부착한 농용 관리기용 중경 제초기
JPS61196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