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906B1 - 칼라 수상관 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수상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906B1
KR900002906B1 KR1019860006848A KR860006848A KR900002906B1 KR 900002906 B1 KR900002906 B1 KR 900002906B1 KR 1019860006848 A KR1019860006848 A KR 1019860006848A KR 860006848 A KR860006848 A KR 860006848A KR 900002906 B1 KR900002906 B1 KR 90000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screen
electron
deflection magnetic
vertica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630A (ko
Inventor
다께도시 시모마
구미오 후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수상관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제 2 도는 수평편향자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 1 도를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3 도는 수직 편향자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a)는 제 1 도의 B-B선의 단면도, (b)는 제 1 도의 C-C선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수평편향 자계의 관축위의 자속밀도 분포를 설명하는 도면.
제 5 도는 종래 장치에 있어서 전자비임 스포트형상을 설명하는 도면.
제 6a, b 도, 제 8a, b 도 및 제 9a, b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편향자계와 비임 스포트 형상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곡선도.
제 10a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평향상태의 비임집중 오차분포를 나타내는 모형도.
제 10b 도는 △c 보정을 한 뒤의 잔류하는 비임집중 오차분포를 나타내는 모형도.
제 10c 도는 상하 방향 집중오차를 나타내는 모형도.
제 10d 도는 자계분포의 성분을 설명하는 모형도.
제 11 도는 집중오차 보정을 위한 자계 발생장치의 한예를 나타내는 모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곽용기 11 : 면판
12 : 퍼넬 14 : 넥
15 : 형광체스크린 16 : 새도우마스크
17 : 전자총 19 : 편향장치
20 : 전자비임 22 : 수평편향코일
23 : 수직편향코일
본 발명은 인라인(in-line) 전자비임 배열인 칼라수상관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칼라수상관의 외곽용기는 수평방향으로 인라인으로 늘어선 3전자 비임을 발생하는 전자총을 내장하는 넥(neck)과 형광면이 있는 면판(面板)과 넥과 면판 사이에 개재(介在)된 퍼넬(funnel)로 된다.
인라인형 전자총은 수평방향으로 인라인 형상으로 3전자 비임을 발생하도록 장착되고, 사출된 전자비임을 형광체층이 피착(被着) 형성된 형광스크린에 투사시킴으로써 형광체층을 발광시킨다.
색재 현상이 좋은 형광체층의 발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자비임을 선택적으로 소정된 형광체층에 투사시킬 필요가 있어서 그 때문에 여러개의 개공이 있는 새도우마스크가 면판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인라인 전자총은 내장하는 개별의 음극에 따라 세개의 전자비임을 수평인 공통 평면에 발생시켜 이들 3전자 비임을 면판 주변에 집중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3전자 비임을 집중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957016호 명세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음극으로부터 사출되는 전자비임 중 양쪽 비임을 처음부터 경사시켜서 집중하는 기술이 있고, 또 미국특허 제3772554호 명세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총 전극에 설치된 3전자비임 통과공 개공중 일부 전극의 양쪽의 개공을 전자총의 중심축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편위시킴으로써, 편위부분에 발생하는 전계(電界)를 비뚤어지게하여 비임을 구부려서 전자비임의 집중을 하고 있는 기술이 있는데 어느 것이나 널리 채택되고 있다.
칼라 수상관의 화면(형광체 스크린)에 TV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자총에서 사출된 전자비임을 형광체 스크린 전면에 주사하기 위한 편향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이것은 퍼넬의 바깥쪽에 부착된다.
편향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 자계를 발생하기 위한 수평편향 코일 및 전자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 자계를 발생하기 위한 수직편향 코일이 있다.
실제의 칼라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는 균일한 형상의 자계로 전자비임을 편향했을 때에 코일의 바깥쪽으로 새어나온 누출부분의 영향으로 3전자 비임스포트의 면판으로의 집중이 흐트러져 오므로 이 집중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 전면에서 항상 집중하기 위한 연구가 되어져 있다.
이것은 집중 자유시스템으로 지칭되며, 수평편향자계를 핀쿳션형, 수직 편향자계를 통(barrel) 형상으로 하므로써 형광면 전역에 있어서 3전자 비임이 집중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균일한 수직 자계에서는 스크린 중심으로부터 상하단으로 감에 따라서 과집중이 되지만, 통형상의 자계에 의해 스크린 위에 비임을 집중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이 시스템에서는 집중 보정용의 포물선 전류발생 회로 및 집중 보정 자계를 발생시키는 집중요크(yoke)가 필요없어져서 단가저하, 생산성 향상 등 많은 효과가 생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칼라 수상관은 많은 개발기술의 채택으로 품위는 향상되어 있지만 관의 대형화가 보급됨에 따라서 새로운 문제가 부상되고 있다.
즉, 전자총에서 사출되어 면판 위에 집중된 비임스포트(S5a)는 편향작용을 받지 않은 화면 중심에서는 제 5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상의 코어(Sc) 즉, 전자 밀도가 높은 부분뿐이지만, 편향작용을 받은 화면 둘레 가장자리의 스포트(S5b)에서는 균일하지 않은 편향자계 때문에 제 5b 도와 같이 편평화(偏平化)된 코어(Sc)와 상하로 퍼진 플레어(flare)(Sf) 즉, 전자밀도가 낮은 부분이 발생한다.
그 결과, 화면둘레 가장자리에서는 전자비임의 사이즈가 확대되어 집중성능 및 해상도의 약화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20인치 90도 편향관의 경우 코어의 수평방향 치수를 (CH', 수직방향 치수를 'Cv'로 하면, 화면중심에는 CH=CV=1.0mm이지만, 수평편향단부에서는 CH=2.0mm, Cv=0.3mm로 매우 편평형이 된다.
또 플레어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의 치수 'Fv'는 1.5mm가 된다.
이 치수는 전자비임을 수평편향한 것만의 값이지만, 수직편향을 더한 화면 구석부분에 있어서는 더욱 비뚤어진 치수가 된다.
본 발명은 이상 기술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되어진 것으로, 화면둘레 가장자리에서 전자비임스포트의 비뚤어짐을 적게한 화면 전역에 걸쳐서 밝은 고해상도가 얻어지는 칼라수상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면판과 이 면판에 봉해진 퍼넬과 퍼넬에 연결된 넥으로 된 외곽용기와 면판내면에 형성되어 적, 녹, 청 3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 스크린과 넥안에 배치되어 형광체 스크린의 수평방향으로 인라인 형상으로 세개의 전자비임을 늘어놓아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발사하는 인라인형 전자총과, 형광체 스크린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전술한 전자비임을 선택적으로 전술한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여러개의 개공이 있는 새도우마스크와, 전술한 퍼넬 바깥쪽에 장착되어 전술한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 자계 발생장치 및 전술한 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직 편향자계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칼라 수상관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전자총으로부터 사출되는 전자비임은 대략 평행이다.
또 전술한 수평편향 자계는 대략 균일한 자계분포를 형성하고 있고 수직 편향자계는 전자총쪽이 통형상의 자계분포를 형광면쪽이 핀쿳션형 자계분포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전술한 수평편향 자계의 관축위에 자속밀도 분포의 반값폭 'a'는 전술한 밀도 분포의 중심으로부터 형광면 까지의 거리 'A'의 0.1-0.4배의 범위에 포함된다.
'a'는 'A'의 0.2-0.3배에 있어서 보다 좋은 효과를 거둔다.
'a'가 'A'의 약 0.25배로서 가장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3전자총으로의 적, 녹, 청의 각색의 영상신호가 서로 제어된 시간의 어긋남을 가지므로써 3전자 비임의 고리는 영상정보가 전술한 면판위 또는 면판위 근방에서 집중하도록 되어 있다.
편향자계의 대부분은 편향코일이 에워싸는 공간에 형성된다.
이 공간에서 수직편향 자계를 전자총쪽에서 통형상의 분포, 스크린 쪽에서 핀쿳션 분포를 하는 것으로 영상신호의 지연제어와의 조립에 의해 스포트의 비뚤어짐이 적은 비임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칼라 수상관 장치에 관하여 발명자가 행한 실험결과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자들은 전자 비임 스포트의 화면 주변에 있어서의 비뚤어짐의 원인의 하나는 수평편향 자계가 핀쿳션형에 있는 것에 착안하여 수평편향 자계를 균일한 자계로 하는 것을 시험하였다.
제 6 도는 20인치 90도 편향관으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균일한 형상의 수평편향 자계 'H'의 경우의 스크린 화면 중심부 및 화면 둘레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전자 비임 스포트 형상(S5a) 및 (S5b)를 나타내는 것으로, CH=1.5mm, Cv=0.6mm로 되어 있고, 고전자 밀도분포, 즉 코어(Sc)의 형상이 대폭적으로 개량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이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으로도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발명자들은 재차 실험에 의하여 편향자계의 자속밀도 분포와 칼라 수상관의 크기와의 사이에 소정의 관계가 성립하면 코어(Sc)의 주위에 발생하는 플레어(Sf)의 형상은 더욱 양호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 4 도는 균일한 형상의 수평편향 자계의 관축 Z위의 자속 밀도 분포와, 이 분포의 중심으로부터 형광면까지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자속밀도 분포의 최대값 'BP'를 나타내는 위치를 밀도 분포의 중심, 최대값 'BP'의 반값폭으로 정해지는 길이를 자로(磁路)의 길이 "a"로 정의하고, 밀도분포의 중심으로부터 면판까지의 거리를 "A"로 한다.
또, 제 6a 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중심의 스포트(S6a)가 코어(Sc)로 되고, 화면 가장자리를 둘레에서 동일한 도면(b)와 같이 플레어(Sf)가 있는 스포트(S6b)가 생길 때 플레어의 수평방향의 치수를 "FH", 수직방향의 치수를 "FV"로 한다.
이 경우 a/A와 FV/FH와의 사이에 제 7 도와 같은 관계가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FV/FH의 값은 실용면에서 평가하면 0.5 이상 2.0이하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것을 제 7 도에 적용시키면 a/A는 0.1이상 0.4이하가 실용적 범위가 된다.
보다 바람직한 a/A의 범위는 0.2-0.3이다.
가장 이상적인 상태는 a/A=0.25의 경우에 얻어지며, 플레어(Sf)는 원형으로 최소가 된다.
제 8 도에 a/A=0.25의 경우의 각각 화면중심 및 화면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전자 비임 스포트 형상(S8a) 및 (S8b)를 나타낸다.
제 8 도에 있어서 동일한 도면(b)의 화면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전자 비임 스포트 형상(S8b)을 더욱 개량하려면, 전자총의 전자렌즈의 집점 거리를 화면 지역 가장자리부에서 조정하므로써 개량을 가능하여 예를 들면 제 9 도에 나타낸 스포트(S9b)와 같이 개량된다.
화면 중심의 스포트는(S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변화하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은 개선된다.
한편, 3전자 비임의 집중에 관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전자총으로부터 사출되는 3전자 비임을 대략 평행하게 할 뿐만 아니라, 3전자총에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제어된 시간의 어긋남을 갖도록 하므로써 면판 전면에 있어서 전자 비임이 집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전자총에 동시에 각색 영상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면판위의 전자비임 스포트는 서로 일정량 △c만큼 이간(離間)하는 것이 된다.
제 10a 도에 이 비임(20R)(20G)(20B)의 이간상태를 나타낸다.
패턴(Ra)(Ga)(Ba)는 그때의 각 적, 녹, 청용의 패턴을 나타낸다.
제 1 도의 전자총으로서의 신호 입력시간에 대하여 제2의 전자총으로의 신호 입력시간을 "Tc" 만큼 지연시키고, 또한 제2의 전자총으로의 신호 입력시간에 대하여 제3의 전자총으로의 신호 입력시간을 Tc만큼 지연시킨다.
여기에서 화면의 가로폭을 "H" 수평편향 주파수를 "fH", 오버스캔(over scan)으로 전하는 정수를 "C"로 하면 지연시간 "τc"를
Figure kpo00001
로 하므로써 화면 전역에 걸쳐서 전자비임 스포트의 집중오차를 △c만큼 보정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c는 화면중앙에서의 집중오차를 나타낸다. 전술한 보정을 실시하더라도 여전히 집중오차가 남는 일이 있다.
잔류 집중오차의 제1은 제 10b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상하단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 오차이다.
이 집중오차 △D는,
△D=k ·Y2
로 나타내어진다.
Y는 수직방향 편향량이다. 따라서 또 필요 지연시간 τD
Figure kpo00002
나타내어지고, 수직방향 편향량의 2승으로 증대하는 총 지연시간은
τ=τC+ τD(Y2)
이고, 수직편향에 동기하여 변조하므로써 집중오차 △(=△C +△D)는 완전히 보정할 수가 있다.
잔류 집중오차의 제2는 화면 4코너부의 상하방향 집중오차이다(제10도(c)).
전자총으로부터 사출되는 3전자비임이 서로 대략 평행으로 수평편향 자계가 대략 균일한 경우에는 전술한 화면 오른쪽의 코너부의 상하방향 집중오차 "△V"는 아래식에서 나타내어진다.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칼라수상관의 관축 방향은 Z축으로 하면 "Zo"는 편향의 시점, "Zs"는 스크린 위치를 나타낸다. 또, "X"는 화면 코너로 편향되는 괘도의 수평 괘도성분이다.
"H10"는 수직편향 자계의 Z축 위의 강도분포를 "H'10"는 그 "Z"에 관한 1차 미분계수이다.
또 "HIZ"는 수직편향 자계의 비균일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로서 HIZ〉O은 핀쿳션 HIZ〈O는 통형상의 자계형상을 나타낸다.
위의 식에 있어서 △V=O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Figure kpo00004
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화면 오른쪽 위에 편향하려면 "HIO"는 음(-)인 것이다(제10도(d)).
따라서 그 "Z"에 관한 미분계수와 동일한 부호를 가진 "HIZ"는 스크린쪽에서 양(+), 전자총쪽에서 음(-)일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직편향 자계의 비균일성은 전자총쪽에서 통형상, 스크린쪽에서 핀쿳션 형이다.
이상의 설명은 오른쪽 위의 코너부의 상하방향 집중오차를 예를 들어 그 경감을 위해 필요한 자계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어느 코너라도 필요한 수직자계의 비균일성은 동일하게 전자총쪽이 통형상, 스크린쪽은 핀쿳션 형이다.
이 자계 분포에 따라 제2의 잔류 집중오차는 실용가능한 허용범위로 할 수가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20인치 90도 편향인 칼라 수상관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유리제의 외곽용기(10)는 면판(11)과, 이 면판(11)에 일체로 부착된 퍼넬(12)과, 퍼넬에 연결된 넥(14)으로 된다.
면판(11) 내면에는 적, 녹, 청 각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 도트(dot) 또는 형광체 스트라이트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영상 표시용의 형광체 스크린(15)을 형성한다.
스크린(15)에 근접 대향하여 새도우마스크(16)가 배열된다.
새도우마스크(16)는 통상 면판(11) 내면형상과 서로 닮은 돔(dome) 형상을 한 얇은 철판으로 되고, 스크린(15)과 대향한 부분에는 3전자비임(20)이 확실히 대응하는 각색 형광체에 투사하도록 뚫려진 여러개의 개공(161)이 있다.
넥(14) 내부는 적, 녹, 청 3색용 전자비임을 발생하는 전자총(17)이 봉해져 있다.
전자총(17)은 수평방향으로 인라인형상으로 배열된 전자비임(20)을 발생한다.
각 전자비임은 서로 약 6.6mm의 간격으로써 평행이 되도록 발사한다.
전자총은 3전자총을 일체화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전자비임 발생원(源)인 캐소드, 제어전극, 차폐전극, 접속전극 및 고압전극으로 구성되어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고압전극 전압은 통상 25KV의 초고전압으로 전압(21)에 의해 칼라관 내부가 25KV의 등 전압으로 유지된다.
퍼넬(12)의 넥(14) 접속부근방은 콘(cone)부로 불리며 통상 이 부분에 편향장치(19)가 장착된다. 각 전자비임에 대응한은 캐소드 제어전극 사이에는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주사에 있어서 청색 비임이 스크린 위를 선행(先行)하는 경우에는 청색 영상신호를 전술한 전극 사이에 입력한다.
청색 비임에 대하여 일정한 어긋남을 가지고 이어지는 녹색 및 적색 비임의 각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지연소자(18)를 통하여 전술한 τ및 2τ만큼 지연시켜서 전자총에 입력한다.
편향장치(19)는 전자비임(20)을 수평방향으로 변경하는 자계로써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균일한 자계 "H"를 발생하는 새들(saddle)형상의 수평편향 코일(22)과 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자계로써 코일공간의 전자총쪽이 제3도(a)에 나타낸 바와같은 통형상의 자계 "VB"를 발생하여 코일공간의 스크린쪽이 핀쿳션 형상의 자계를 발생하는 VP 토로이달(toroidal) 형상의 수직편향 코일(23)로 된다.
편향코일은 수평 편향자계 및 수직편향 자계의 관축위의 자속 밀도분포의 반값폭 'a'가 밀도분포의 중심으로부터 형광면까지의 거리 'A'의 0.25배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편향장치(19)는 편향회로(191)에 의해 구동된다. 20인치 90도 편향관은 화면(형광면)의 가로폭은 약 400mm이며, 수평편향 주파수 15.7KHZ, 화면위의 전자비임 스포트의 어긋나는 량 △는 6.6mm 정수 C를 0.75로 하면 전자총에 입력되는 각색의 영상신호의 상호지연 시간은 약 0.8μsec이다.
다른 한쪽 화면 상하단에서는 본 발명자들의 실허에서는 τD=-0.4μsec가 필요하였다.
이 값은 편향자계의 설계, 칼라 수상관의 치수등에 따라 각각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칼라 수상관 장치는 화면중심은 물론, 화면주변에 있어서도 코어 및 플레어의 비뚤어짐은 매우 적으며, 화면 전역에 걸쳐서 밝고 해상도(解傷度)가 좋아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각 전자총으로의 입력시간의 제어는 τD(일정)로 한다. 이때 화면 위에서는 제10도(b)에 나타낸 집중오차 △가 발생해 있다.
즉, 비임(20B)에 의한 청색용 패턴(Bb), 비임(20R)에 의한 적색용 패턴(RB)는 중심 비임(20G)의 녹색용 패턴(Gb)에 대하여 어긋남이 발생한다.
제 11 도는 전술한 집중오차를 보정하는 수직편향에 동기하여 구동되는 자계발생 장치를 나타낸다. 즉, 넥(14)안의 전자총 출구에 각 사이드 비임(20R)(20B)을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한쌍의 자성편(30), (31)이 배치된다.
또한, 중앙비임(20G)을 좌우로부터 끼우는 한쌍의 자성편(32)(33)이 넥(14)이 바깥쪽에 수평방향에 대칭으로 코일을 감은 "U"자형상의 자계발생기(34)(35)가 설치된다.
제 10b 도의 집중오차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수직측단에 있어서는 적색용 비임(20R)은 왼쪽으로, 청색용 비임(20B)는 오른쪽으로 비뚤어져 있다.
따라서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비임(20R)(20B)에는 서로 떨어지도록 힘 'F'를 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11 도는 화면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양쪽 비임이 서로 떨어지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서는 수직 편향으로 동기하여 수직 편향량의 2승으로 변조된 포물성 파형의 전류를 자계 발생기(34)(35)의 코일에 인가시켜 주면 좋다. 인가전류의 방향은 도시한 N 극과 S극의 분포가 얻어지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또한 전류의 크기는 화면 위의 집중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26인치 110도 편향관을 사용하여 다른 조건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a/A가 0.4인 경우에 대하여 칼라 수상관 장치의 평가를 하였던 바, 종래 방식의 수평자계가 핀쿳 선형의 것보다 좋은 특성을 나타냈다.
a/A가 0.2-0.3인 경우 특성은 더욱 향상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의 20인치형 90도 편향관을 수평, 수직 편향자계 중심을 형광체 스크린으로부터 약 290mm인 위치에 설정하였지만, 수평편향 자계중심 "HC" 위치를 형광체 스크린으로부터 약 285 내지 280mm로 하고, 수직편향 자계중심 "VC"위치를 약 295 내지 300mm로 하였다.
또한, 제 1 도와 동일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즉 수평방향 자계 중심 'Hc'를 수직편향 자계 중심 "HC"에 대하여 약 10 내지 20mm의 범위에서 스크린쪽으로 전진시켰다.
이에 따라 한층 실질적으로 3전자 비임의 허용 가능한 집중 정밀도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시쪽의 설명에서는 무편향 상태에서의 전자비임은 대략 평행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기하학적인 평행을 포함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서 일정한 지연시간을 신호에 부여하여 색의 어긋남 보정을 하는 칼라 수상관에 무편향시 3전자 비임이 부족한 집중상태가 되어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지 않은 비임상태에 대해서도 그 요지를 탈피하지 않는 한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편향코일의 전자총 쪽에 3전자비임의 정적(靜的)집중장치를 통상은 부착하고 있어서, 6극 성분 자계가 편향자계 중으로 새어나온다. 이 새어나오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편향코일에 이 6극 성분 보정을 부여하는 일이 있지만, 그 결과 발생하는 편향자계도 균일한 자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나위없다.

Claims (6)

  1. 면판(11)과 이 면판(11)에 부착된 퍼넬(12)과, 퍼넬(12)에 연결된 넥(14)으로 된 외곽용기(10)와, 면판(11)내면에 형성되어 적, 녹, 청 3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 스크린(15)과, 넥(14)안에 배치되어 형광체 스크린(15)의 수평방향으로 인라인 형상으로 세개의 전자비임(20)을 늘어 놓아서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발사하는 인라인형 전자총(17)과, 형광체 스크린(15)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전술한 전자비임을 선택적으로 전술한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여러개의 개공이 있는 새도우마스크(16)와, 전술한 퍼넬(12) 바깥쪽에 장착되어 전술한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비임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 자계 발생장치(22) 및 전술한 비임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직편향 자계 발생장치(23)를 구비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전자총(17)으로부터 3전자 비임(20)을 서로 대략 평행으로 발사하는 장치와, 전술한 수평편향 자계 발생장치(22)에 의한 전술한 수직편향 자계를 대략 균일한 자계분포 "H"로 형성하는 장치와, 전술한 수직편향 자계 발생장치(23)에 의한 전술한 수직편향 자계를 전술한 전자총 쪽에서 통 형상의 자계분포 "VB", 전술한 형광체 스크린 쪽에서 핀쿳션형의 자계분포 "VP" 로 형성하는 장치와, 전술한 수평편향 자계의 관축위의 자속밀도 분포의 반값폭 "a"를 전술한 밀도분포의 중심으로부터 형광 스크린(15)까지의 거리 "A"의 0.1 내지 0.4배의 범위로 선정하는 장치와, 전술한 전자총(17)으로 입력하는 적, 녹, 청의 각색 영상신호에 서로 제어된 시간의 엇갈림을 갖게하는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수평편향 자계의 관측위의 자속 밀도분포의 반값폭 "a"는 전술한 밀도분포의 중심으로부터 형광체 스크린까지의 거리 "A"의 0.2-0.3배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수직편향 자계 발생장치는 토로이달 코일로 형성되고, 주요한 전술한 수직편향 자계가 이 코일이 에워싸는 공간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전술한 수직편향 자계의 통 형상 및 핀쿳션형 자계 분포가 전술한 코일의 에어싸는 공간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3전자총에 입력되는 각색 영상신호가 갖는 서로 제어된 시간의 어긋남이 수직편향 동기하여 변조되어 전술한 형광면 상하단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3전자총으로 입력되는 각색 영상신호가 가진 서로 제어된 시간의 어긋남이 일정하며, 전술한 넥 바깥 둘레에 별도로 설치된 자계 발생장치에 의해 수직 편향으로 동기하여 집중오차 보정을 전술한 형광면 상하단만큼 크게 하는 자계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 장치.
KR1019860006848A 1985-08-19 1986-08-18 칼라 수상관 장치 KR900002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80512 1985-08-19
JP180512 1985-08-19
JP60180512A JPH0628140B2 (ja) 1985-08-19 1985-08-19 カラ−受像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630A KR870002630A (ko) 1987-04-06
KR900002906B1 true KR900002906B1 (ko) 1990-05-03

Family

ID=1608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848A KR900002906B1 (ko) 1985-08-19 1986-08-18 칼라 수상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89525A (ko)
EP (1) EP0212934B1 (ko)
JP (1) JPH0628140B2 (ko)
KR (1) KR900002906B1 (ko)
CN (1) CN1035140C (ko)
DE (1) DE368496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872B1 (ko) * 1985-05-21 1989-11-30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칼라 수상관 장치
US5901029A (en) * 1988-03-28 1999-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degaussing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379186A (ja) * 1989-08-23 1991-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デイスプレイ装置
JP3288695B2 (ja) * 1990-07-17 2002-06-04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を用いた表示装置
US5248920A (en) * 1992-10-13 1993-09-2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ynamic electron-optic eyebrow effect distortion correction
KR960028150A (ko) * 1994-12-23 1996-07-22 구자홍 티브이(tv)의 코마에러 보정장치
US6534935B1 (en) * 1999-10-21 2003-03-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CRT apparatus
US6498443B2 (en) * 2000-06-15 2002-1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TV tube apparatus and color display tube apparatus
US6831400B2 (en) 2000-12-27 2004-12-14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having auxiliary magnetic field generator
ES2327545T3 (es) * 2004-03-16 2009-10-30 University Of Delaware Fibras, materiales textiles y membranas fotocromicos activos y adaptativos.
US7737131B2 (en) * 2005-03-31 2010-06-15 University Of Delaware Multifunctional and biologically active matrices from multicomponent polymeric solutions
US7732427B2 (en) * 2005-03-31 2010-06-08 University Of Delaware Multifunctional and biologically active matrices from multicomponent polymeric solutions
US8367639B2 (en) * 2005-03-31 2013-02-05 University Of Delaware Hydrogels with covalent and noncovalent crosslinks
US8415325B2 (en) * 2005-03-31 2013-04-09 University Of Delaware Cell-mediated delivery and targeted erosion of noncovalently crosslinked hydrogels
JP2009517554A (ja) * 2005-11-28 2009-04-30 ユニヴァーシティ・オヴ・デラウェア 電界紡糸によるポリオレフィンマイクロ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と製造された繊維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462A (ko) * 1972-05-31 1974-01-31
US3984723A (en) * 1974-10-04 1976-10-05 Rca Corporation Display system utilizing beam shape correction
US4142131A (en) * 1975-11-12 1979-02-27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JPS5820455B2 (ja) * 1977-09-21 1983-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偏向ヨ−ク
NL8006628A (nl) * 1980-12-05 1982-07-01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 afbuigeenheid combinatie met hoog oplossend vermo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2934A2 (en) 1987-03-04
EP0212934B1 (en) 1992-04-22
CN1035140C (zh) 1997-06-11
KR870002630A (ko) 1987-04-06
JPS6243040A (ja) 1987-02-25
JPH0628140B2 (ja) 1994-04-13
CN86105172A (zh) 1987-02-18
US4689525A (en) 1987-08-25
EP0212934A3 (en) 1988-08-24
DE3684969D1 (de)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9163A (en) Electron gun with deflection-synchronized astigmatic screen grid means
KR900002906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FI60086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US5610475A (en) Dynamic off-axis defocusing correction for deflection lens CRT
GB2140968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improved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20010013760A1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electrostatic quadrupole lens exhibiting different intensities for electron beams
KR20010041374A (ko) 칼라음극선관장치
KR900002905B1 (ko) 칼라수상관장치
JPH07226170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CA1206512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reconvergence slots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3639796A (en) Color convergence system having elongated magnets perpendicular to plane of plural beams
EP0178857A2 (en) Electron gun
KR890004872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US5177399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449069A (en) Color picture tube with focusing electrode having electrostatic field distortion aperture therein
US647995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EP0348912A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2565863B2 (ja) カラ−受像管装置
EP042723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930007366B1 (ko) 음극선관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H0367298B2 (ko)
KR840001000B1 (ko) 셀프 콘버징 칼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FI70097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anordning
EP0244826A2 (en) Multiple beam electron discharge tube having beam convergence and beam-to-beam compression compensation
FI58232B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