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63Y1 - 유아용 한글 교습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한글 교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63Y1
KR900002863Y1 KR2019870015868U KR870015868U KR900002863Y1 KR 900002863 Y1 KR900002863 Y1 KR 900002863Y1 KR 2019870015868 U KR2019870015868 U KR 2019870015868U KR 870015868 U KR870015868 U KR 870015868U KR 900002863 Y1 KR900002863 Y1 KR 900002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witch
melody
childre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475U (ko
Inventor
김흥엽
Original Assignee
김흥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엽 filed Critical 김흥엽
Priority to KR2019870015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863Y1/ko
Publication of KR890007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아용 한글 교습구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블록 고정핀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한글 교습구 2, 3 : 블록판
4 : 스위치 6 : 협지구
7 : 모음 9 : 블록
10 : 자음 11 : 삽입구
16 : 스위치 고정공 17 : 도체고정핀
18, 19 : 저면부 21 : 스프링
22 : 표면 24 : 홈
25 : 음조절기
본 고안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블록과 블록판에 새긴 후 블록판에 새겨진 해당 글자의 블록을 블록판에 삽입시키면 스위치가 "온"상태로 절환되면서 멜로디 박스에서 멜로디가 나오도록 한 유아용 한글 교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글 교습구로는 판지에 그림이나 자음과 모음을 인쇄하여 유아에게 한글을 가르쳐 왔으나 이는 시각적인 교습 효과만 주어 쉽게 흥미를 떨어뜨리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유아용 한글 교습구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불록과 블록판에 같은 모양의 자음과 모음을 새기고 블록에 수개의 부도체 고정핀과 한 개의 도체 고정핀을 형성하여 블록을 고정공과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치 고정공이 형성된 블록판에 글자를 맞추어 삽입시키면 도체 고정핀에 의하여 스위치가 "온"상태로 절환되면서 멜로디 박스에서 멜로디가 흘러나오도록 한 것으로 블록의 글자와 블록판의 글자가 일치 되었을때만 멜로디가 발생되어 유아들에게 청각적으로 호기심과 성취감을 갖도록 하므로서 한글 교습 효과를 올릴 수 있게 하고 블록판과 글자와 모양이 다른 블록을 블록판에 삽입시키면 부도체 고정핀이 스위치 고정공에 삽입되어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멜로디가 나오지 않아 유아 스스로 재차 올바른 글자를 맞추게 하여 한글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함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선(20)과 스프링(21)이 형성된 스위치 고정공(16)과 다수개의 고정공(12)을 삽입구(11)의 저면부(19)에 형성시키며 멜로디 박스(13)를 내설하고 외측에 협지구(6) 및 고리(5)와 손잡이(26)가 형성되며 음조절기(25)와 홈(24)이 형성된 블록판(2)(3)을 경첩(14)으로 축착시킨 후 전선(20)으로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와 스위치(4) 및 멜로디 박스(13)와 스프링(21)에 연결하며 다수개의 부도체 고정핀(8)과 도체 고정핀(17)이 저면부(18)에 형성된 다수개의 블록(9)을 각각의 삽입구(11)에 삽입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손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협지구(6)와 고리(5)로 결합된 한글 교습구(1)를 사용하기 위하여 고리(5)로부터 협지구(6)를 풀어 블록판(2)(3)을 펼친 다음 블록판(2)(3)에 내설된 멜로디 박스(13)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를 전원에 연결시킨 후 스위치(4)의 접점을 "온"위치로 절환 시키고 블록(9)의 표면(22)과 삽입구(11)의 저면부(19)에 자음(10)과 모음(7)을 각각 새겨 같은 모양끼리 맞추어 블록(9)을 블록판(2)(3)의 삽입구(11)에 삽입시키면 멜로디 박스(13)로부터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것으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9)의 저면부(18)에 부도체 고정핀(8)과 도체 고정핀(17)을 형성시키며 표면(22)에 자음(10)을 새긴후 같은 모양의 한글자음(10)이 새겨진 블록판(2)의 삽입구(11)를 찾아 부도체 고정핀(8)과 도체 고정핀(17)을 삽입구(11)의 전선(20) 및 스프링(21)이 형성된 스위치 고정공(16)과 고정공(12)에 삽입시키면 스위치 역할을 하는 멜로디 박스(13)와 전선(20)으로 연결된 스프링(21)을 내측에 형성시킨 스위치 고정공(16)에 도체 고정핀(17)이 삽입된다.
이때 "오프"되어 있는 스프링(21)을 "온"으로 절환시켜 멜로디 박스(13)에 전원을 인가시켜 주어 멜로디가 나와 유아에게 호기심 및 흥미감과 성취감을 주면서 쉽게 한글의 자음(10)과 모음(7)을 익히도록 함은 몰론 블록판(2)(3)과 글자가 다른 블록(9)의 부도체 고정핀(8)과 도체 고정핀(17)을 블록판(2)(3)에 형성된 삽입구(11)의 고정공(12)과 스위치 고정공(16)에 삽입시키면 스위치 고정공(16)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21)사이에 부도체 고정판(8)이 삽입되어 멜로디 박스(13)에 전선(20)으로 연결된 스프링(21)이 전원은 "온"시키지 못해 멜로디 박스(13)로부터 멜로디가 나오지 않아 유아에게 잘못 블록(9)을 블록판(2)(3)에 맞추었다는 것을 알려주어 다시 블록(9)을 블록판(2)(3)에 글자를 맞추어 끼우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스위치 역할을 하는 블록판(2)(3)의 스위치 고정공(16)과 블록(9)의 도체 고정핀(17)을 글자의 모양에 따라 위치를 변경시켜서 설치하여 글자의 모양이 다른 블록(9)을 블록판(2)(3)에 끼우면 멜로디가 나오지 않도록 하여 재차 올바른 글자를 찾아 맞추도록 하는 의욕을 심어주는 것이다.
그리고 자음(10)의 ㄱ자와 ㄴ자 밑에 식별점(15)이 찍혀 있는 것은 유아에게 ㄱ자와 ㄴ자를 명확하게 구분하도록 한 것이며 음조절기(25)는 멜로디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정하고 블록(9)을 블록판(2)(3)으로부터 쉽게 뺄수 있도록 한 것이며 부호(27)는 유아에게 수학적 개념을 익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블록과 블록판에 새긴후 글자의 모양을 맞추어 블록을 블록판에 삽입시키면 도체의 고정핀과 스위치 고정공의 스위치가 "온"상태로 절환되어 멜로디 박스로부터 멜로디가 나오는 것으로 종래의 한글 교습구가 시각적인 효과만 주어 유아들이 쉽게 흥미를 잃어 버리는 결점을 없애고 청각적인 효과를 주어 흥미감과 호기심 및 성취감을 갖도록 한 것인데 글자의 모양이 다른 블록을 블록판에 틀리게 맞추면 부도체 고정핀이 스위치 고정공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온"시키지 못해 멜로디가 나오지 않아 유아에게 블록판과 동일한 글자의 블록을 다시 끼우도록 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유아들에게 손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한 학습 효과가 매우 지대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선(20)이 연결된 스프링(21)을 블록판(2)(3)의 스위치 고정공(16)에 설치하고 다수개의 고정공(12)을 자음(10)과 모음(7)이 각각 새겨진 블록판(2)(3)의 삽입구(11)에 형성시키며 블록(9)의 저면부(18)에 다수개의 부도체 고정핀(8)과 도체 고정핀(17)을 형성시켜 표면(22)에 자음(10)과 모음(7)을 각각 새긴 블록(9)이 블록판(2)(3)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유아용 한글 교습구.
KR2019870015868U 1987-09-16 1987-09-16 유아용 한글 교습구 KR900002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868U KR900002863Y1 (ko) 1987-09-16 1987-09-16 유아용 한글 교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868U KR900002863Y1 (ko) 1987-09-16 1987-09-16 유아용 한글 교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475U KR890007475U (ko) 1989-05-16
KR900002863Y1 true KR900002863Y1 (ko) 1990-04-06

Family

ID=1926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868U KR900002863Y1 (ko) 1987-09-16 1987-09-16 유아용 한글 교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8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434A1 (ko) * 2012-03-29 2013-10-03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434A1 (ko) * 2012-03-29 2013-10-03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US9266031B2 (en) 2012-03-29 2016-02-23 Human League Co., Ltd. Block toy for music edu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475U (ko) 198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6548A (en) Educational building toy modules with interior lights and mechanical connections acting as circuit closers
US4936780A (en) Touch sensor alpha-numeric blocks
US3690020A (en) Instructional device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2853799A (en) Educational question and answer device
US5993217A (en) Learning apparatus
US4880384A (en) Braille teaching apparatus
KR900002863Y1 (ko) 유아용 한글 교습구
KR100602591B1 (ko) 블록완구
US4824376A (en) Educational device
US3958344A (en) Teaching aid for teaching numbers
WO2001091867A1 (en) A jigsaw puzzle system
CN106781725A (zh) 旋转组合式拼音学习玩具
CN215136873U (zh) 基于六点盲文的积木玩具
KR200331839Y1 (ko)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US6994556B2 (en) Electronic educational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etection of objects
KR20030066839A (ko) 디지털 교육용 완구
KR200274498Y1 (ko) 디지털 교육용 완구
KR200379520Y1 (ko) 블록완구
KR102087880B1 (ko) 블럭식 학습교구
KR200159224Y1 (ko) 퍼즐 학습기
KR200258456Y1 (ko) 지능개발용 학습저
KR930005481Y1 (ko) 지능개발 학습기구
CN2282711Y (zh) 幼儿学习机
USD310686S (en) Architectural learning device
CN2935302Y (zh) 触感发声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