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17Y1 -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17Y1
KR900002817Y1 KR2019870019694U KR870019694U KR900002817Y1 KR 900002817 Y1 KR900002817 Y1 KR 900002817Y1 KR 2019870019694 U KR2019870019694 U KR 2019870019694U KR 870019694 U KR870019694 U KR 870019694U KR 900002817 Y1 KR900002817 Y1 KR 900002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ection
output side
sensing circuit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187U (ko
Inventor
선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9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817Y1/ko
Publication of KR890012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1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프로세서 2 : 입력 감지회로부
3 : 부하 감지회로부 4 : 서치 전압 발생회로부
5 : 제어전압부 6 : 수신부
7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8 : 출력제어 전압발생부
9 : 리세트회로부 10 : 단속회로부
13 : 부하검출전달부
본 고안은 전자조리기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부하에 대한 출력파워 제어 및 그 상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가하여 표시할 수 있게한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조리기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무부하시나 부적정부하시에 그에 따른 제어를 확실히 수행할 수 없고, 또 그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그를 인지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부하시나 부적정 부하시에 그에 따른 출력파워를 제어함과 아울러 서치전압이 레벨을 제어하고, 무부하시 또는 부적정 부하 검출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가하여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이 브리지 정류기(BD1) 및 콘덴서(C1), 워크코일(WC)을 통해 파워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전류 트랜스(CT) 저항(R1-R5) 콘덴서(C3-C6) 및 다이오드(D2, D3)로 구성된 입력감지회로부(2)의 출력측을 저항(R6-R8), 콘덴서(C7) 및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된 부하감지회로부(3)와, 다이오드(D3- D5), 저항(R11-R16), 콘덴서(C8) 및 연산증폭기(OP3)로 구성된 서치전압발생회로부(4)를 통해 제어전압부(5)의 입력측에 접속하고, 옵토카플러(OPT1), 저항(R17-R19), 다이오드(D7)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의 출력측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7)를 통한 후 상기 입력 감지회로부(2)의 출력측과 함께 연산증폭기(OP1), 저항(R20, R21) 및 콘덴서(C9)로 구성된 출력제어 전압발생부(8)와 다이오드(D6)를 통해 상기 제어전압부(5)와 입력측에 접속하며, 상익 무부하감지회로부(3)의 출력측을 다이오드(D10), 저항(R9, R10)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리세트회로부(9)를 통해 상기 출력제어전압발생부(8)의 출력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부하 감지회로(3)의 출력측과 상기 수신부(6)의 출력측을 저항(R22-R27), 다이오드(D7, D11), 제너다이오드(ZD1) 및 트랜지스터(Q4, Q5)로 구성된 단속회로부(10)를 통해 상기 제어전압부(5)의 입력측에 접속하고, 이 제어전압부(5)의 출력측을 반전입력단자가 삼각파 발생회로부(11)에 접속된 비교기(OP4)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파워트랜지스터 구동부(12)를 통해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한편 상기 부하감지회로(3)의 출력측을 저항(R28, R29), 콘덴서(C10), 트랜지스터(Q6) 및 옵토카플러(OPT2)로 구성된 부하검출 전달부(13)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14는 표시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이 입력되면, 그 교류전원(AC)은 브리지 정류기(DB1)에서 정류되고 콘덴서(C1)에서 평활된 후 워크코일(WC)을 통해 파워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되므로 후술할 파워 트랜지스터 구동부(12)의 출력신호에 의해 그 파워 트랜지스터(Q1)가 온, 오프 동작을 반복하여 워크코일(WC)에서 자계가 발생된다.
이때, 적정부하인 자성체 그릇이 조리기에 올려져 있으면 그에 맞는 전류가 입력감지 회로부(2)의 전류트랜스(CT)에서유기된 후 다이오드(D2)를 통해 콘덴서(C5)에 충전되고, 이 콘덴서(C5)의 충전 전압은 저항(R3-R5)에서 분할되어 출력제어 전압발생부(8)의 비교기(OP1)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고전위인 파워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수신부(6)의 옵토 카플러(OPT1)는 온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어 그 수신부(6)의 출력측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변호나부(7)를 통해 출력제어 전압발생부(8)의 연산증폭기(OP1)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출력 제어전압 발생부(8)의 출력측에 출력제어 전압이 출력되고, 이 출력제어전압은 다이오드(D6) 및 제전압부(5)를 통해 비교기(OP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출력제어전압이 삼각파 발생회로(11)의 출력전압 보다 높은 경우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파워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키고, 낮은 경우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파워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정 부하인 경우에 입력감지회로부(2)의 저항(R3) (R4) 접속점에 출력되는 전압은 저항(R7), (R8)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1)보다 높게 되어 부하 감지회로부(3)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때 리세트회로부(9)의 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단속 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5)도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출력제어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전자조리기에 부하가 놓이지 않거나 부적정 부하가 놓인 경우에는 입력감지회로부(2)의 전류 트랜스(CT)에서 유기되는 전륜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감지회로부(2)의 저항(R3), (R4) 접속점 출력회로부(3)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도며, 이 고전위 신호는 리세트 회로부(9)의 다이오드(D10) 및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키므로 출력제어 전압발생부(8)의 출력측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또 상기 부하 감지회로부(3)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서치전압발생회로부(4)의 다이오드(D4) 및 저항(R11)을 통해 콘덴서(C8)에 충전되므로 그 콘덴서(C8)의 충전전압이 저항(R13), (R14)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2)보다 높게 될 때 연산증폭기(OP3)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저항(R15) 및 다이오드(D5)를 통해 제어전압부(5)에 서치전압으로 인가된다.
그런데, 이때 부하감지회로부(3)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부하검출전달부(13)의 저항(R28) 및 다이오드(D9)를 통해 트랜지스터(Q6)를 온시켜 옵토카플러(OPT2)를 온시키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부적정 부하임을 감지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파워 제어 신호를 단속적으로 출력하여 단속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5)를 온, 오프시키게 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파워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수신부(6)의 옵토카플러(OPT1)가 온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단속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4)를 온시키므로 그의 콜렉터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5)를 오프시키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파워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신부(6)를 오프시키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파워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신부(6)의 옵토카플러(OPT1)가 온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 신호는 단속 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4)를 오프시키므로 그의 콜렉터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제너다이오드(ZD1)에 인가되고, 또 이때 부하감지회로(3)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제너다이오드(ZD1)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 제너다이오드(ZD1)가 온되어트랜지스터(Q5)가 온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파워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단속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므로 상기 서치전압발생회로부(4)에서 출력된 서치전압이 제어전압부(5)에 인가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워 트랜지스터(Q1)를 온, 오프시키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파워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단속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5)가 온되어 제어전압부(5)에 저전위 신호가 인가되므로 파워 트랜지스터(Q1)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속회로부(10)의 트랜지스터(Q5)의 온, 오프에 의해 서치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적정 부하검출시에 그 검출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가하여 출력파워를 제어하고, 서치레벨을 제어하며, 부적정 부하 검출 상태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전자조리기를 안정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고,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입력감지회로(2)의 출력측을 부하감지회로부(3) 및 서치전압 발생회로부(4)를 제어전압부(5)의 입력측에 접속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파워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의 출력측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7)를 통한 후 상기 입력감지회로부(2)의 출력측과 함께 출력제어전압 발생부(8) 및 다이오드(D6)를 통해 상기 제어전압부(5)의 입력측에 접속하며, 상기 부하감지회로부(3)의 출력측을 리세트회로부(9)를 통해 상기 출력제어 전압발생부(8)의 출력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부하 감지회로부(3)의 출력측과 상기 수신부(6)의 출력측을 단속회로부(10)를 통해 상기 제어전압부(5)에 접속하여된 전자조리기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회로(3)의 출력측을 저항(R28) 및 다이오드(D9)를 통해 콘덴서(C10) 및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에 옵토 카플러(OPT2)의 발광측을 접속하고, 이 옵토카플러(OPT2)의 수광측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접속하여, 부적정부하 검출시 그를 표시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리기 서치제어회로.
KR2019870019694U 1987-11-13 1987-11-13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Expired KR900002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694U KR900002817Y1 (ko) 1987-11-13 1987-11-13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694U KR900002817Y1 (ko) 1987-11-13 1987-11-13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87U KR890012187U (ko) 1989-07-15
KR900002817Y1 true KR900002817Y1 (ko) 1990-04-04

Family

ID=1926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694U Expired KR900002817Y1 (ko) 1987-11-13 1987-11-13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8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87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19225A (en) Lamp power supply using a dc regulator and a commutator
US20180191170A1 (en) Charging system
SE7510467L (sv) Kopplingsanordning
KR900002817Y1 (ko) 전자조리기 서치 제어회로
KR870002699A (ko) 저레벨전압/펄스변환기
KR890002731B1 (ko) 방전등 점등장치
JPS55109196A (en) Step motor driving circuit
KR930011247B1 (ko) 트라이액을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KR100367930B1 (en) Current inducing switch
KR900005332Y1 (ko) 전자조리기의 부하감지 및 출력제어회로
KR940000972Y1 (ko) 전자조리기의 구동제어회로
KR900002157Y1 (ko) 전자조리기의 과출력 방지회로
KR900001902Y1 (ko)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KR910003763Y1 (ko) 텔레비젼의 동작 대기 전원 표시회로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SU1013930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00002156Y1 (ko) 전자조리기의 구동 제어회로
SU9362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тиристором
KR930000227Y1 (ko)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KR940008013Y1 (ko) 고주파 유도 가열조리기의 전원차단 안전장치
JPH0119567Y2 (ko)
SU1629857A1 (ru)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тока в высокопотенциальных цеп х
JPS56168238A (en) Fault detecting circuit of solid state ac output circuit
KR890003957B1 (ko) 방전등 점등장치
JPH02251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11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1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9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9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