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27Y1 -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27Y1
KR930000227Y1 KR2019880019333U KR880019333U KR930000227Y1 KR 930000227 Y1 KR930000227 Y1 KR 930000227Y1 KR 2019880019333 U KR2019880019333 U KR 2019880019333U KR 880019333 U KR880019333 U KR 880019333U KR 930000227 Y1 KR930000227 Y1 KR 930000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terminal
circuit
output
inver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9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27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종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전류 감지회로 2, 3, 7, 10 : 비교기
4 : 기준전원 5 : 적분기
6 : 오어게이트 8 : 서치회로
9 : 부저회로 11 : 구동회로
12 : 톱지파 발생회로 13 : 트리거회로
14 : 서미스터 C1-C3: 콘덴서
R1-R5: 저항 UR1: 가변저항
L1: 코일 D1-D3: 다이오우드
Q1: 트랜지스터 CT : 변류기
SW1-SW2: 스위치
본 고안은 전자조리기의 출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조절과 온도조절기능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고 온도 조절기능에서 낮은 온도에서는 출력 레벨 자체를 낮추어 온도 편차를 최소화시키는 출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도의 종래의 기술구성은 출력조절부(15)와 서미스터(14)가 접속된 온도조절부(16)가 스위치(SW1)를 통해 비교기(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교류전원(AC) 및 변류기(CT)가 설치된 입력전류 감지회로(1)의 출력단은 비교기(2, 3)의 반전단자(-)에 연결하며 비교기(2)의 출력단은 적분기(5) 및 다이오우드(D1)를 통해 비교기(10)의 비반전 단자(+)에, 비교기(3)의 출력단은 적분기(5), 서치회로(8) 및 부저회로(9)와 다이오우드(D1, D2)를 통해 비교기(10)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한다.
그리고 코일(L1)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트리거회로(13) 및 톱니파 발생회로(12)를 통해 비교기(10)의 반전단자(-)에 연결되며, 비교기(10)의 출력단은 구동회로(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구성한다. 따라서 위의 종래의 구성과 같이 종래의 기술은 출력조절부(15)와 온도조절부(16)를 별도로 구성하여 스위치(SW1)에 의해 그 기능을 조절하므로 원가가 높고 또한 온도조절 기능에서 출력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 조절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의 한 단자에 변류기(CT)를 접속하고 입력전류 감지회로(1)에 의해 입력전류의 레벨을 얻고 입력전류감지회로(1)의 출력은 비교기(2, 3)의 반전단자(-)에 접속하며 비교기(-)의 출력은 적분기(5) 및 다이오우드(D1)을 거쳐 비교기(10)의 비반전단자(+)에 접속한다.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원(4)이 접속되는 비교기(3)의 출력은 오어게이트(6)의 한단자와 서치회로(8), 부저회로(9)에 각각 접속한다. 노이즈제거용 콘덴서(C1)을 접속한 가변저항(VR1)의 중간단자와 연결된 기능선택용 스위치가 출력조절기능일측단자(A)에 접속한 경우 가변저항(VR1)의 출력은 비교기(2)의 비반전단자(+)에만 접속하여 비교기(2)의 반전단자(-)전압과 동일레벨이 되도록 비교기(2)의 출력이 발생되고, 기능선택용 스위치(SW1)가 온도조절기능 일측단자(B)에 접속한 경우 가변저항(VR1)의 출력은 다이오우드(D3)를 거쳐 비교기(7)의 반전단자(-)에 저항(R1, R2)의 분배전압과 함께 입력된다.
비반전단자(+)에 저항(R3, R5) 및 서미스터(14)가 연결되는 비교기(7)의 출력단은 오어게이트(6)의 다른단자와 서치회로(8) 부저회로(9) 및 저항(R3)에 접속되고 서치회로(8)의 출력은 다이오우드(D2)를 거쳐 비교기(10)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며 비교기(10)의 반전단자(-)는 톱니파 발생회로(12) 및 트리거 회로(13)를 통해 코일(L1)의 양단에 접속되고 비교기(10)의 출력은 구동회로(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 되며 코일(L1)에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콘덴서(C2, C3)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상태에서 입력전류 검출회로(1)의 입력전류는 "0"이므로 비교기(2, 3)의 반전단자(-)는 "0(V)"가 되고 비교기(8)의 비반전단자(+)는 기준전압이 인가되므로, 비교기(3)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되고 이때 오어게이트(6)의 출력 또한 "하이"상태가 되어 적분기(5)를 디스에이블시키고 그릇의 유무를 찾아내기위한 소신호 발생회로인 서치회로(8)와 부저회로(9)를 동작시킨다.
이때 서치신호가 다이오우드(D2)를 통해 비교기(10)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어 톱니파 신호와 비교기(10)에 의해 비교하여 비교기(10)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의 출력을 발생시키며 이 신호는 구동회로(11)를 거쳐 파워 트랜지스터(Q1)을 턴-온 시킨다.
서치회로(8)와 부저회로(9)의 동작의 결과 정상용기가 올려져 있는 경우는 비교기(3)의 출력이 "로우"상태로 되어 서치회로(8) 및 부저회로(9)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적분기(5)의 동작이 재게되는데 출력조절 기능인 경우 기능선택 스위치(SW1)는 일측단자(A)에 연결되고 이때 다이오우드(D3)의 전압은 인가되지 않으므로 비교기(7)의 반전단자(-)는 저항(R1, R2)에 의한 전원전압(Vcc)의 분배전압에 의해서 결정되고, 비교기(7)의 비반전단자(+)는 저항(R4)와 서미스터(14)가 병렬접속되어서 이루어진 전압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그릇의 온도 상승시 비교기(7)의 비반전단자(+)의 전압은 증가하며 따라서 비교기(7)의 출력은 "하이" 상태로 되어 적분기(5) 및 서치회로(8)와 부저회로(9)를 각각 디스에이블시켜 작동을 중지시키므로 온도과열시에는 서치동작 및 부저가 울리지 않게된다.
한편 온도조절기능인경우 기능선택스위치(SW1)는 일측단자(B)로 접속되어 높은 온도를 조절한 경우에는 다이오우드(D3)에 높은 절압을 인가하면 비교기(7)의 반전단자(-)전압이 증가하여 차단온도를 높게하고 낮은온도를 조절한 경우에는 다이오우드(D3)를 낮게하여 반전단자(-)의 전압이 차단온도를 낮게하며 다른 회로의 동작은 출력조절기능과 동일하고 가변저항(VR1)의 중간단자가 비교기(2)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될때는 출력조절기능이나 온도조절등에 관계없이 연결되므로 온도조절 기능시 높은 온도에서는 출력을 높게 할수 있고 낮은온도에서는 출력을 낮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출력조절회로와 온도조절회로를 겸해서 사용할 수 있고 회로가 간단할 뿐 아니라 온도조절레벨과 비례하여 출력을 얻으므로 정확한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규정이상의 온도가 되었을 경우에는 서치회로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출력조절과 온도조절을 동시에 갖는 전자조리기에 있어서, 가변저항(VR1)의 중간단자를 부궤환용 비교기(2)의 비반전단자(+)에 접속시키고, 기능선택용 스위치(SW1)와 상기 스위치 일측단자(B)에 접속된 다이오우드(D3)에 의해 비교기(7)의 반전단자(-)로 접속되고 상기 비교기(7)의 반전단자(-)에 저항(R1, R2)를 접속하 고, 비교기(7)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4, R5)과 그릇의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14)를 상기 비교기(7)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차단온도를 조절하도록한 비교기(7)의 출력단은 오어게이트(6)의 한단자와 연결되어 그릇의 유무를 판별하는 서치회로(8)와 상기 서치회로(8)에 의해 부저를 울려주도록한 부저회로(9)와 함께 오어게이트(6)의 두단자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조절회로.
KR2019880019333U 1988-11-29 1988-11-29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KR930000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333U KR930000227Y1 (ko) 1988-11-29 1988-11-29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333U KR930000227Y1 (ko) 1988-11-29 1988-11-29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27Y1 true KR930000227Y1 (ko) 1993-01-18

Family

ID=1928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333U KR930000227Y1 (ko) 1988-11-29 1988-11-29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2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239A (en) Non-continuous sensing apparatus for a temperature control
JPS6443081A (en) Motor starting control circuit
US5736884A (en) Devic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dependent on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nd apparatus comprising such device
US4114010A (en) Test circuit and method for matching an induction load to a solid state power supply
JPS56145775A (en) Switching control type power source circuit
JPH0744061B2 (ja) 電磁調理器
KR930000227Y1 (ko) 고주파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조절 회로
KR870002029B1 (ko) 100v/220v 겸용 전자 유도가열 조리기
KR940000972Y1 (ko) 전자조리기의 구동제어회로
KR900005332Y1 (ko) 전자조리기의 부하감지 및 출력제어회로
US3457495A (en) Error circuit with means for reducing excitation currents for rotating transformer input
KR900002154Y1 (ko) 입력전류 검출회로
KR940000973Y1 (ko) 전자조리기의 전압보상회로
KR940000427Y1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온/오프시 보호회로
KR900002156Y1 (ko) 전자조리기의 구동 제어회로
KR900002816Y1 (ko) 전자조리기 안전 보호회로
KR920003585Y1 (ko) 전자조리기 안전보호회로
KR960005694B1 (ko) 인버터회로를 이용한 고주파 가열장치
KR900005322Y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소물검지 회로
KR0112647Y1 (ko) 인버터 회로를 이용한 전자렌지
KR940003514Y1 (ko) 전자조리기 서치신호 발생회로
KR890003614Y1 (ko) 전자조리기의 안전장치
SU5708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 сдвига фаз между током и напр жением
SU133216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температуры
KR900005039Y1 (ko) 턴테이블을 채용한 전자렌지의 온도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