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582Y1 - 집광 렌즈 - Google Patents

집광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582Y1
KR900002582Y1 KR2019900000713U KR900000713U KR900002582Y1 KR 900002582 Y1 KR900002582 Y1 KR 900002582Y1 KR 2019900000713 U KR2019900000713 U KR 2019900000713U KR 900000713 U KR900000713 U KR 900000713U KR 900002582 Y1 KR900002582 Y1 KR 900002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condensing lens
component
focus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게이
Original Assignee
모리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83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1101A/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게이 filed Critical 모리게이
Priority to KR2019900000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광 렌즈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광렌즈의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광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넬 렌즈 11: 차광체
10a: 중앙부
본 고안은, 태양광 또는 태양광에 가까운 광성분을 가지는 인공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또는 인공광원으로부터 원하는 파장의 광성분만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집광할 수 있는 집광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앞서, 렌즈등에 의하여 태양광 또는 인공광을 집속하여 광도체내에 도이하여서, 이 광도체를 통하여 임의의 원하는 장소로 전달하여 조명기타의 사용에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하여 광도체내를 통하여 전송되어온 광에너지를 클로렐라의 배양, 혹은 식물의 촉진 성장재배등에서의 광합성 광원, 양어용 광원, 건강촉진용 광원, 기타 여러가지의 광원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광에너지중에 포함되어 있는 광성분중으로부터 그 용도에 따른 원하는 광성분만을 선택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적외선, 자외선등을 차단하는 기술을 여러가지 제안되고 있으나, 백색광중으로부터 특정파장 성분의 빛을 빼내는 기술은 거의 제안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가시광을 포함하지 않는, 또는 가시광성분이 적은 적외선, 자외선등을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특히 태양광 또는 인공광으로부터 원하는 파장성분의 빛을 효과적으로 빼낼 수 있는 집광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서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면중(10)은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이고, (11)은 이 프레넬 렌즈(10)의 중앙부에 설치된 차광체이며, 이 프레넬 렌즈(10)의 점(a), (b), (c), (d)에 입사된 태양광 또는 인공광은, 각각 도시한 바와같이 집속된다.
또한, 도면중에서, 녹색광은 실선으로, 적색광은 파선으로, 또한 청색광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면의 평면(I)의 A부에는 비교적 순수한 녹색광이 집속되고, 평면(II)의 B부에는 비교적 순수한 적색광이 집속되며, 평면(III)의 E부에는 비교적 순수한 청색광이 집속되기 때문에, 이들 부분에 광도체의 수광끝단을 배설하면, 이 광도체에는 원하는 광성분만을 가진 빛을 도입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평면(II)에 있어서, C부분은 청색의 광성분영역, D분은 녹색의 광성분 영역으로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광도체의 수광끝단을 렌즈의 광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파장성분의 광을 빼내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광도체의 직결을 변경함으로 광도체에 도입되는 빛의 성분을 바꿀 수가 있으며, 예를 들면, 평면(I)에 있어서, 광도체의 직결을 F라고 하면, 이 광도체에는 적색성분으로부터 청색성분까지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도입되는 것이 된다.
제2도는 본 고안 집광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넬 렌즈(10)의 중앙부(10a)를 평면으로 형성하고, 이 중앙부(10a)에 차광체(11)를 배설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부(10a)를 렌즈형성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치수 및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가 있으며, 또한 차광체(11)이 형성면인 중앙부(10a)가 평면이기 때문에 차광체(11)의 형성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광체(11)로서 반사체를 사용하면, 렌즈에 열을 가지지 않게 하여서, 렌즈가 열에 의하여 변형할 염려가 없어 아주 적당하지만, 가열의 염려가 없는 경우는, 반사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흡수체이더라도 좋고, 혹은 광선(光電)변환기라도 좋은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원하는 파장성분의 빛을 얻을 수가 있으며, 더우기, 렌즈의 중앙부는 바깥둘레부에 대하여 면적이 작기 때문에, 광에너지를 그만큼 잃는 일없이 효과적으로 원하는 파장성분의 빛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중앙부에 차광체(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체(11)가 반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체(11)가 흡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체(11)가 광전(光電)변환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렌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10a)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주변부가 렌즈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 차광체(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렌즈.
KR2019900000713U 1984-08-31 1990-01-22 집광 렌즈 KR900002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713U KR900002582Y1 (ko) 1984-08-31 1990-01-22 집광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83292 1984-08-31
JP59183292A JPS6161101A (ja) 1984-08-31 1984-08-31 集光レンズ
KR1019850005910A KR860002020A (ko) 1984-08-31 1985-08-16 집광 렌즈
KR2019900000713U KR900002582Y1 (ko) 1984-08-31 1990-01-22 집광 렌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910A Division KR860002020A (ko) 1984-08-31 1985-08-16 집광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82Y1 true KR900002582Y1 (ko) 1990-03-30

Family

ID=2732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713U KR900002582Y1 (ko) 1984-08-31 1990-01-22 집광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5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221B1 (ko) 태양 에너지 수집장치
ATE19309T1 (de) Beleuchtungsvorrichtung mit einem buendellichtleiter.
SE9000210D0 (sv) Solstraalningsanordning foer illuminering
EP0122390B1 (en) Light source for culturing plants
JPS5737321A (en) Solar light collector
JPS5511216A (en) Connecting optical system of light guide
JPS59133507A (ja) 人工光源装置
US4844598A (en) Light focusing lens with centrally disposed light intercepting member
KR900002582Y1 (ko) 집광 렌즈
ES2011399A6 (es) Dispositivo colector de rayos solares.
JPS5669607A (en) Photocoupler
GB2009391A (en) Solar heaters
JPS6058443B2 (ja) 光ラジエ−タ
SE8703674L (sv) Infraroett, bifokalt, optiskt system
JPS56156810A (en) Optical connector
KR890017566A (ko) 광파장 변환장치
KR890005028B1 (ko) 집광렌즈
KR850001559B1 (ko) 태양광 수집장치
JPS6188659A (ja) 照明装置
JPS53116166A (en) Photo coupler
JPS55102858A (en) Solar spectrum follow-up heat collecting device
JPS58137802A (ja) 太陽光収集装置
JPS57208513A (en) Optical coupler and its manufacture
JPS5569104A (en) Spot size converting device of parallel luminous flux
JPS6441368A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