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99B1 -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99B1
KR900002499B1 KR1019870003816A KR870003816A KR900002499B1 KR 900002499 B1 KR900002499 B1 KR 900002499B1 KR 1019870003816 A KR1019870003816 A KR 1019870003816A KR 870003816 A KR870003816 A KR 870003816A KR 900002499 B1 KR900002499 B1 KR 90000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ng
groove
detection
detection signal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399A (ko
Inventor
아끼라 고바야시
도미오 야마우라
미즈오 나까야마
히사오 이다야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엔도오 겐따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엔도오 겐따로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8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 G01N21/8983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for testing textile webs, i.e. woven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 및 장치
제 1a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환편기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 1b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 3a 도 내지 제 3c 도는 정규 스티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4a 도 내지 제 4e 도는 런(run)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5 도는 런을 검출했을 경우의 가감산부의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
제 6 도는 원형구멍(丸穴)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7 도는 원형구멍을 검출했을 경우의 가산기의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X : 편물지 4a, 4b, 4c : 검출기
H : 런(run) F : 원형구멍
본 발명은 편물지의 스티치(편환)가 정규의 스티치보다도 넓어짐에 의한 홈, 소위 런이라 불리우는 홈이나 원형구멍사의 홈등의 편성포 홈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기에 의하여 편성된 편물지에 생긴 홈의 검출장치로서, 최근 광트랜지스터나 텔레비젼카메라등에 의한 광센서를 이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검출장치는 센서에서 얻은 신호에 의하여, 정상인 섕지부분 배경과 홈부분의 투과광량 또는 반사광량의 광량레벨의 차를 검지하고, 배경과 홈부분의 광량레벨의 일정의 문턱값(threshold value)을 설치하고, 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것을 홈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장치는 외래광등의 영향에 의해서 배경이나 홈부분의 광량레벨이 변동하기 때문에, 올바르게 홈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이 때문에, 신호의 1차 지연요소에 의한 평균치를 구해서 이 평균치와 실측치와의 차를 취하고, 이 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였는가 어떤가에 의하여 편성포홈을 검출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편성포 홈에는 런이라 불리우는 정규의 스티치 보다도 50%정도 사간격의 넓어진 스티치부분을 가리키는 홈이 있으나, 이와 같은 런은 바늘이 구부러져 있다는등 기게적인 트러블에 의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했을 경우에는 즉시 기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런은 원형 구멍의 편성포 홈과 비교하면 광량레벨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일정의 문턱값에 의해 선별하는 방법으로는 외래광등에 의한 노이즈레벨로서 판정되어 홈신호로서 검출하지 않는다.
또 신호의 시작도 그다지 급준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의 평균치를 취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평균치가 실측치에 추종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그의 차가 일정치를 초과하지 않고 홈신호로서 검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검출방법으로는 런은 편성포 홈으로서 검출할 수 없고, 편기의 자동화를 추진하는데 결점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성포에서의 원형구멍사의 홈뿐만 아니라 런과 같은 홈도 검출할 수 있는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을 실시하는데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편물지의 정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홈부를 검출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 스티치를 형성하는 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3개의 검출기에 의해 편물지의 검출신호를 얻는 단계 ; 각 검출기가 얻은 검출신호에 소정의 중량을 부가하는 단계 ; 중량을 부가한 각 신호를 가산 AND/OR 감산하는 연산단계 ;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홈의 유무의 판정을 하는 단계.
또, 본 발명은 편물지의 정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홈부를 검출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로 이하를 포함한다 ; 스티치를 형성하는 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3개의 검출수단 ; 각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소정의 중량부가를 행하는 중량부가수단 ; 중량부가된 신호를 가산 AND/OR 감산처리하는 연산수단 ; 연산수단에서 얻는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편성포 홈의 유무의 판정을 행하는 판정수단.
여기서, 검출수단은 편물지를 통해서 광원과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부가수단은 중앙의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그의 양 사이드의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의 2배로 중량부가 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연산수단은 런과 같은 작은 홈을 검출하는 구성부분과 원형구멍과 같은 큰 홈을 검출하는 구성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런과 같은 작은 홈을 검출하는 부분은
(B-A)+(B-C)
의 연산을 행하고, 원형구멍과 같은 큰 홈을 검출하는 구성부분은
A+B+C
의 연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B는 중앙의 검출수단의 검출신호 레벨, A, C는 상기 검출수단의 우 또는 좌측에 있는 검출수단의 검출신호 레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를 형성하는 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3개의 검출기에 의해 편물지의 검출신호를 얻음과 동시에, 이들의 검출신호에 소정의 중량부가를 행하여 가산 혹은 가감산하고, 그의 연산결과에 의해 편성포 홈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런과 같은 홈의 존재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바늘이 구부러져 있는 것 등의 치명적인 결함에 의한 문제점이 생기기 전에 환편기등의 운전을 정지할 수가 있고, 생산 공정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원형구멍등의 구멍사이의 홈도 검출할수가 있기 때문에, 편기의 자동화를 도모하는데 있어 본 발명은 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본 발명의 특정구체예를 예시하는 수반도면과 연관한 다음 설명들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제 1a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환편기를 도시한다. 환편기는 링상으로 한 권취베이스(101), 링상을 한 실린더 베이스(102), 원반상을 한 다이얼 요우크(103), 상기 권취 베이스(101)를 소정높이로 또한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부각(104…), 권취베이스(101)와 실린저 베이스(102)를 연결하는 중간각(105…), 및 실린더 베이스(102)와 다이얼 요우크(103)를 연결하는 상부각(106…)에 의해 프레임(100)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다이얼 요우크(103)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다이얼 기어(107)가 수용되어 있다. 이 다이얼 기어(107)는 캠베이스(108)내에 삽통된 샤프트(109)에 의해 다이얼(110)과 연결되어 있다.
다이얼(110)은 다이얼 호울더(1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 베이스(102)내에 실린더(115)를 지지하는 실린더 기어(116)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15)는 실린더캠링(117)에 설치된 실린더캠호울더(118)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15)와 다이얼(11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급사수에서 급사되는 사를 편성해서 통상의 편물지(X)를 형성한다. 편성된 편물지(X)는 회전하면서 하방향으로 늘어져 간다. 권취베이스(101)내에는 도면외의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권치기어(120)가 회전자유롭게 내장되어 있다. 이 기어(120)에 사이트프레임(121,121)이 고정되어, 사이드프레임(121,121)에는 편성된 통상의 편물지(X)를 권취하는 권취축(1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09)는 중공의 파이프상을 하고 있고, 그 속에 다이얼 요우크(103)의 상부에 브래킷(131)을 통해서 고정된 중심파이프(132)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 중심 파이프(132)의 하단에는 통상 편물지(X)의 폭내기(spreading)를 위한 부재(133)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부재(133)보다 약간 상방향의 중심파이프(132)에는 브래킷(134)을 통해서 로드(135)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135)에는 원통상의 램프하우스(13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속에 램프(2)가 설치되어 있다. 램프하우스(136)의 원통면은 산란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램프(2)가 발하는 빛을 산란시켜, 강약 치우치기가 없는 균일한 빛으로 변경해서 편물지(X)에 조시한다.
한편, 편물지(X)를 통해서 램프(2)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센서박스(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박스(1)는 중간각(105)에 브래킷(142)에 의해 고정된 로드(143)에 박스호울더(144)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 1b 도에 램프(2)와 센서박스(1)와의 대향관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박스(2)는 케이블(145)을 통해서 검출박스(3)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램프(2)와 센서박스(1)와의 위치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램프(2)를 중심파이프(132)에 위치 결정하는 브래킷(134)이 중심파이프(132)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센서박스(1)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태양전지등의 광전 변환요소로 이루어지는 3개의 종장의 검출기(4a, 4b, 4c)를 내장하고 있다.
이들 검출기(4a,4b,4c)는 편물지(X)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종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 검출기(4a, 4b, 4c)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종사가 정규의 간격이면 각각이 인접하는 다른 종사를 동일상태로 검지범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검출기(4a,4b,4c)에 의해 얻어진 검출신호는 중량 부가부(5)에 송출되어 있고, 이 중량부가부(5)에 내장한 증폭기(51)에 있어서 검출기(4b)에 의해 얻어진 검출신호는 그배로 증폭된다.
즉, 중량부가부(5)에 있어서는 검출기(4a, 4b, 4c)에 의해 얻어진 검출신호에는「1」이, 또 검출기(4b)에 의해 얻어진 검출신호에는「2」가 각각 중량부가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중량부가된 각각의 검출신호는 가감산부(6a)에 송출되어, 이 가감산부(6a)에 있어서 얻어진 가산치가 검출박스(3)에 출력되는 것이다.
이 가감산부(6a)에 있어서는 우선 가산기(61a)에 의해 검출기 (4a)와 검출기(4c)의 얻은 검출신호를 가산하고, 다음에 감산기(62a)에서 증폭기(51)에 의해 2배로 증폭된 검출기(4b)가 얻은 검출신호에서 상기 가산기(61a)의 출력치를 감산하고 있다.
즉, 검출기(4a)가 얻은 검출신호의 레벨을 A, 검출기(4b)가 얻은 검출신호의 레벨을 B, 또는 검출기(4c)가 얻은 검출신호의 레벨을 C로 하면, 가감산부(6a)가 출력하는 홈신호 레벨(Z1)은
Z1=2×B-(A+C)=(B-A)+(B-C) ………………………………………… (1)
로서 얻어진다. 한편, 검출기(4a,4b,4c)가 얻은 검출신호는 상기 가감산부(6a)와는 별도로 구성한 가산부(6b)에도 직접송출되어 있고, 이 가산부(6b)에 있어서 각 검출신호의 총계가 산출되고, 이 총계도 검출박스(3)에 송출되고 있다. 즉 가산부(6b)의 출력하는 홈신호 레벨(Z2)은
Z2=A+B+C ……………………………………………………………… (2)
로서 얻어진다. 상기 검출박스(3)에는 입력된 홈신호가 소정의 검출레벨 이상인가 어떤가를 판별하는 판별회로(7a,7b) 및 이 판별회로(7a,7b)의 출력에 의거해서 각각에 대응한 동작을 행하는 경보회로(8a) 및 계수회로(8b)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티치를 형성하는 종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검출기(4a,4b,4c)에 의해 편물지의 검출신호를 채취하면, 상기 종사의 간격이 정규의 스티치를 구성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늘어서 있으면,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편물지(X)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각 검출기 (4a,4b.4C)는 각각이 동일상태의 검출신호를 얻는다(도면중 1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부분이 각 검출기(4a,4b,4c)의 검지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 3a 도에 도시한 상태로는 각 검출기(4a,4b,4c)의 검지범위 좌측의 동일위치에 종사(W1,W2,W3)를 검지한 상태의 검출신호를 얻고 있고, 편물지(X)가 회전해서 이동하는데 따라서, 제 3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범위 중앙부의 동일위치에 종사(W1,W2,W3)를 검지하고, 이어서 제 3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범위 우측의 동일위치에 종사(W1,W2,W3)를 검지한 검출 신호를 얻는다. 따라서, 편물지의 종사가 정규의 간격인 경우에는 각 검출기(4a,4b,4c)는 항상 동일상태의 검출신호를 얻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1)식의 값은 항상「0」으로 된다.
다음에, 검출기(4a,4b 4,c)가 종사의 간격이 정규인 경우보다도 떨어져 있는 런을 검지범위에 넣은 경우를 제 4a 도 내지 제 4e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종사(W11,W12,W13) 사이 및 종사(W14,W15,W16) 사이는 정규의 스티치 간격이지만, 종사(W13,W14)의 사이에는 런(H)이 있고 정규의 부부보다도 50%정도 종사간격이 넓어져 있다.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4a,4b,4c)가 종사(W14,W15,W16)를 검지범위에 넣어서 검출신호를 얻고 있는 동안은 각 검출기(4a,4b,4c)는 동일상태의 검출신호를 얻고 있고 상기 (1)식의 값은「0」이다.
그러나, 편물지가 이동함으로써, 제 4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사(W14)가 검출기(4a)의 검지범위를 지나가면, 다른 검출기(4b, 4c)는 각각 종사(W14,W15)를 검지범위에 넣음에도 불구하고, 검출기(4a)의 검지 범위에는 런(H)이 있고 종사(W13)가 들어오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기(4a)의 검출범위에 있어서의 광원(2)에 의한 투과광량이 많아지고, 이 검출기(4a)의 검출하는 검출신호의 레벨은 다른 검출기(4b, 4c)가 검출하는 검출신호의 레벨보다 높아진다.
이와 같이, 검출기(4a)의 검출하는 검출신호의 레벨이 다른 검출기(4b, 4c)가 검출하는 검출신호의 레벨보다 높아지면, 상기 (1)식 B-C는「0」이기 때문에 B-A에 상당하는 분만큼 마이너스의 요소를 갖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검출기(4a)만이 어느 것의 종사도 검지범위에 넣지 않았을때의 상기(1)식의 값 B-A를 가령「-M」로 하여 둔다(단 M>O).
편물지가 더욱 이동하고, 제 4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런(H)이 검출기(4b)의 검지범위에 들어가면, 검출기(4a, 4c)는 각각 종사(W13,W14)를 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검출기(4b)의 검출하는 검출신호의 레벨이 다른 검출기(4a,4c)의 검출하는 검출신호의 레벨보다 높아진다.
검출기(4b)의 출력에는 중량부가부(5)에 있어서「2」가 중량부가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1)식은 B의 값이 커짐으로써 플러스의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검출기(4a)만이 어느 것의 종사도 검지범위에 넣지 않았을때의 (1)식의 값을 「-M」로 하면, 검출기(4b)만이 어느 것의 종사도 넣지 않았을때의 B-A 및 B-C는 각각 「+M」로 되기 때문에, 이때의 (1)식의 값은 「+2M」로 된다.
편물지가 더욱 이동하여, 제 4d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4c)가 런(H)을 검지범위에 넣었을때, 검출기(4a,4b)는 각각 종사(W12,W13)를 검지범위에 넣기 때문에, 상기(1)식은 C의 값이 커짐으로써, 상술한 검출기(4a)가 런(H)을 검지범위에 넣고 있을때와 같이 마이너스의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되고, 예컨대 「-M」라는 값으로 된다.
그리고, 제 4e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4a,4b,4c)가 각각 종사(W11,W12,W13)를 검지범위에 넣도록 되면 상기(1)식의 값은 다시 「0」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추이하는 가감산부(6a)의 출력을 그래프로 하여 표시하면 제 5 도와 같이 된다. t1내지 t5는 각각 상기 제 4a 도 내지 제 4e 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시각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판별회로(7a)는 제 5 도에 있어서 가감산부(6a)의 출력이 예컨대 검출레벨(Z10)을 초과했을때 홈검출신호를 경보회로(8a)에 발하고, 이 경보회로(8a)는 이 홈 검출신호를 받으면 출력단자(ALM)에서 환편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버저(buzzer)(9a)등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편물지(X)에 원형구멍이 존재하였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검출한다.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4a,4b,4c)의 어느 것이 정규의 스티치부분을 검지범위에 넣었을때는 상기 (2)식의 값은 대략 일정한 범위내에 있다.
그런데, 상술한 런(H)과 비교해 매우 큰 제 6 도에 도시한바와 같은 원형구멍(F)이 존재하면, 투과광량에 의해 상기 (2)식의 값은 커진다.
제 7 도는 이와같이 해서 원형구멍을 검출했을 경우의 상기 (2)식의 값, 즉 가산기(6b)의 출력을 그래프로 한 것이고, N0가 정규의 스티치부분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 N가 원형구멍부분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Z20은 검출레벨을 도시하고 있고, 판별회로(7b)는 가산기(6b)의 출력이 이 검출레벨(Z20)을 초과하였을 때, 계수회로(8b)에 대해서 홈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이 계수회로(8b)는 그의 신호수를 계수해서, 검출박스(3)에 측면으로 설치한 표시부에 검출한 원형구멍의 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계수회로(8b)에 의한 계수는 환편기가 소요길이의 생지를 편립함으로써 발생하는 리세트 신호를 단자(RST)에서 입력함으로써 리세트 된다.
상기에 표시한바와 같이, 스티치를 형성하는 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3개의 검출기(4a,4b,4c)에 의해 편물지(X)의 검출신호를 얻고, 각 검출기(4a,4c)가 얻은 검출신호에 「1」을, 또 검출기(4b)가 얻은 검출신호에 「2」를 중량부가하고, 이 중량부가를 한 각 검출신호를 가산 혹은 가감산함으로서, 편물지의 정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런 및 원형구멍을 검출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기가 얻은 신호에 대하여 행하는 중량부가의 무게는 그후의 신호처리과정에 대응해서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또, 검출신호의 가산 혹은 가감산의 방법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중량부가와의 관련에 의해 편물지의 정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편성포 홈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그위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감산부(6a)는 가산기(61a)와 감산기(62a)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감산기(62a)로 바꾸어서 차동증폭기를 사용하여, 그의 출력에 의해 직접 경보회로를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카메라와 검출박스로 분할하여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것을 일체로 해서 실시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발명이 수반도면과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9)

  1. 편물지의 정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홈부를 검출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스티치를 형성하는 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3개의 검출기에 의해 편물지의 검출신호를 얻는 단계 ; 각 검출기가 얻은 검출신호에 소정의 중량부가를 하는 단계 ; 중량부가를 한 각 신호를 가산 AND/OR 감산하는 연산단계 ;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홈의 유무의 판정을 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홈의 검출방법.
  2. 편물지의 정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홈부를 검출하는 편성포 홈을 검출장치에 있어서, 스티치를 형성하는 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3개의 검출수단 ; 각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소정의 중량부가를 행하는 중량부가수단 ; 중량부가된 신호를 가산 AND/OR 감산 처리하는 연산수단 ; 연산수단에서 얻은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편성표 홈의 유무의 판정을 행하는 판정수단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홈의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편물지를 통해서 광원과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광전변환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각 검출수단은 편물지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종사의 간격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광원이 편물지의 내측에 광전변환소자가 편물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중량부가수단은 중앙의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그의 양 사이드의 검출수단의 검출신호 2배로 중량부가하는 회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중량부가수단은 검출신호를 2배로 증폭하는 애널로그 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연산수단은 런과 같은 작은 홈을 검출하는 구성부분과 원형구멍과 같은 큰 홈을 검출하는 구성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런과 같은 작은 홈을 검출하는 부분은(B-A)+(B-C)의 연산을 행하고, 원형구멍과 같은 큰 홈을 검출하는 구성부분은 A+B+C의 연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홈의 검출장치(단, B는 중앙의 검출수단의 검출신호 레벨, A, C는 상기 검출수단의 우 또는 좌측에 있는 검출수단의 검출신호 레벨임.)
KR1019870003816A 1986-04-25 1987-04-21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 및 장치 KR90000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97324A JPH0621880B2 (ja) 1986-04-25 1986-04-25 編疵の検出装置
JP97324 1987-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399A KR870010399A (ko) 1987-11-30
KR900002499B1 true KR900002499B1 (ko) 1990-04-16

Family

ID=1418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816A KR900002499B1 (ko) 1986-04-25 1987-04-21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48334A (ko)
JP (1) JPH0621880B2 (ko)
KR (1) KR900002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768A (ja) * 1987-04-03 1988-10-17 グンゼ株式会社 検反方法及びその装置
DE3733791A1 (de) * 1987-10-06 1989-04-27 Herbst Protechn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ptischen ueberwachung einer maschenware
JPH02246726A (ja) * 1989-03-17 1990-10-02 Toshiba Corp ディジタルリレーの監視不良検出方式
JPH02265867A (ja) * 1989-04-04 1990-10-30 Murata Mach Ltd パッケージの異常部検出方法
FR2652161B1 (fr) * 1989-09-15 1991-12-27 Inst Textile De France Dispositif endoscopique pour la detection de defauts sur metier a tricoter circulaire.
DE4129126A1 (de) * 1991-09-02 1993-03-04 Memminger Iro Gmbh Verfahren zum feststellen von fehlern in einer textilen warenbahn
FR2726299A1 (fr) * 1994-11-02 1996-05-03 Scanera Sc Dispositif d'inspection de textiles
US5497235A (en) * 1995-01-12 1996-03-05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oration Inspecting and grading apparatus for hosiery and method of inspecting same
US6219136B1 (en) * 1998-03-03 2001-04-17 Union Underwear Company, Inc. Digital signal processor knitting scanner
US7437894B1 (en) * 2007-06-27 2008-10-21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fabric scanner, and break-away mount for fabric scanner
DE102008021502A1 (de) * 2008-04-29 2009-11-05 Herbert Kannegiess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ortieren, Vereinzeln und/oder Übergeben von Wäschestücken
CN104452089A (zh) * 2014-12-18 2015-03-25 鑫立达机器(常熟)有限公司 一种带红外线感应的圆形经编机
KR101968252B1 (ko) * 2016-12-12 2019-08-13 주식회사 세파테크놀로지 직조기 니들 오류 검출 장치
KR101968250B1 (ko) * 2016-12-12 2019-04-11 주식회사 세파테크놀로지 직조기 니들 오류 검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BR112021005562A2 (pt) * 2018-10-15 2021-06-29 Smartex Europe, Unipessoal Lda máquina e método para controlar qualidade têxti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836A (en) * 1966-01-26 1967-10-10 Appalachian Electronic Instr Scanning system for revolving creel 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s
DE3334357C2 (de) * 1983-09-22 1986-04-10 Erwin Sick Gmbh Optik-Elektronik, 7808 Waldkirch Optisches Fehlersuchgerät für Bah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399A (ko) 1987-11-30
JPH0621880B2 (ja) 1994-03-23
JPS62257449A (ja) 1987-11-10
US4748334A (en) 198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499B1 (ko) 편성포 홈의 검출방법 및 장치
EP36127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characteristic of a textile or metal thread fed to an operating machine
CN105158271B (zh) 监视纱线的至少一个质量参数和/或传感器参数的方法
CN108474751A (zh) 纱线成像装置
CN1154759C (zh) 环锭纺纱机上的纱线的检测装置
JPH01282409A (ja) 例えばカードスライバ等、紡績準備装置へ供給される繊維スライバの厚さに相当する測定量を検出する装置
JPH01280210A (ja) 糸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US3527954A (en) Spark monitor for direct current motors and generators
ES471387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de control para maquinas textiles
US6219136B1 (en) Digital signal processor knitting scanner
FR2401089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detecter des defauts de fonctionnement d'une machine a fabriquer des tapis veloutes
JPH0564293B2 (ko)
US5774227A (en) Anomally detection machine for fabricated parts formed on a carrier strip and method of use
JPH0160092B2 (ko)
KR870000477B1 (ko) 선조체 표면의 요철 검출장치
JP2620311B2 (ja) 火災警報装置の汚れ補正方法とその装置
GB127492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ends down condition of textile yarn forming machines
JPH0519940B2 (ko)
JPH023891A (ja) 火災警報装置における汚れ補正方法とその装置
GB2068113A (en) Detection of faults in fabrics
SU6078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наружени кромки ткани
Musa Line laser-based break sensor that detects light spots on yarns
JPH0516080B2 (ko)
JPH03167330A (ja) コアヤーン異常糸検出方法
JPS61392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