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49Y1 -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49Y1
KR900002449Y1 KR2019870005094U KR870005094U KR900002449Y1 KR 900002449 Y1 KR900002449 Y1 KR 900002449Y1 KR 2019870005094 U KR2019870005094 U KR 2019870005094U KR 870005094 U KR870005094 U KR 870005094U KR 900002449 Y1 KR900002449 Y1 KR 900002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fan
bushing
main body
win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940U (ko
Inventor
김용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5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449Y1/ko
Publication of KR880019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부싱 사시도.
제 3 도는 (a)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의 평단면도, (b)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의 평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봉 사시도.
제 5 도는 종래의 높이 조절봉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14 : 부싱
16 : 할개구 18 : 탄성돌출 날개편
20 : 높이조절봉
본 고안은 선풍기의 풍향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의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조정하고자 할때 선풍기 본체 전체의 방향을 바꾸지 아니하고, 선풍기의 본체는 정지시킨체 선풍기의 머리 부분만을 간단한 조작으로 회전시켜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한 선풍기의 풍향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풍향조정 장채의 구성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지지대(1)의 하부에 안내구멍(2)을 형성하여 그 일측벽면 상, 하부에 나사공(3)(4)을 각각 형성하고, 이 안내구멍(2)으로 높이 조절봉(5)을 삽착시키되 제 6 도에서와 같이 사각요홈(6)과 다수의 강구요홈(7)을 형성하여서 사각요홈(6)과 안내구멍(2)의 상부나사공(3)을 일치되게 한 후, 나사(9)로 체결하여 높이 조절봉(5)이 지지대(1)에 고정되에 하며, 안내구멍(2)의 하부 나사공(4)에는 강구(10)와 스프링(11)을 삽설하여 나사(12)로 체결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체 지지대(1)의 하부 안내구몽(2)에 삽착된 높이 조절봉(5)은 지지대(1)에 나사(9)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빠지지는 않게 되나. 사각요홈(6)에 의해 그 요홈의 길이만큼 좌, 우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높이 조절봉(5)에 형성된 다수의 강구요홈(7)은 지지대(1)의 하부 나사구멍(4)에 삽설된 강구(10)와 이를 탄지시키는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요홈(7)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선풍기의 머리부분은 요홈(7)에 고정된 강구(10)의 방향으로 향해 있게 된다.
따라서 방향을 변역 시키고져할 경우에는 선풍기의 머리부분을 회전시키면 요홈(7)에 고정되어 있던 강구(10)가 현재의 요홈(7)에서 이탈되어 회전력에 의해 같은 높이로 형성된 옆의 요홈으로 위치되고, 강구(10)는 계속 스프링(11)의 탄지력에 의해 회전된 위치에서 정지하여 회전한 각도만큼 선풍기의 머리부분이 회전되어 풍향이 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높이 조절봉(5)에 다수의 요홈(7)을 형성하고 강구 및 스프링(11)과 나사(9)(12)등의 부품수 증가로 조립이 번거로우며 이로 인해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 돌출 날개편을 가진 부싱을 본채 지지대와 높이 조절봉 사이에 삽착시켜 간편한 조립과 아울러 부품수를 크게 줄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고져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 1 도에서와 같이 본체 지지대(1)의 하단 안내구멍(2) 내주연부에 수직돌기(13)를 다수 형성하고, 그 일측에 나사공(3)을 형성하여 안내구멍(2) 내부로 부싱(14)을 끼우게 된다.
부싱(14)은 상단 플랜지(15) 양측을 수직 절개시켜 할개구(16)를 형성하여 신축편(17)을 가진 돌출날 개편(18)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구멍(2)에 삽입시키게 되면 돌출날개편(18)이 안내구멍(2)의 직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바로 삽입이 안되고 걸리게 된다, 때문에 돌출날개편(18)을 눌러 압입시키게 되면 신축편(17)에 의해 자체의 탄성작용으로 오므라들면서 안내구멍(2)에 삽착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 복귀되어 삽착이 완료된다.
이때, 돌출날개편(18)의 끝단부를 만곡형 요철부로 형성하여서 결착된 수직돌기(13)에서 다른 수직돌기로 이돌할 때 미끄럼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 3 도의 (가)에서 처럼 안내구멍(2)에 삽착된 부싱(14)의 하부에 사각수평홈(19)을 가진 높이조절봉(20)을 끼워 보싱(140의 싱단플랜지(15) 하부에 위치되게 한 후, 사각수평홈(19)과 안내구멍(2)의 측변나사공(3)을 일키시켜 나사로 체결하면 높이조절봉(20)은 그 상단에 부싱(14)을 고정시킨채 지지대(1)에 체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부싱(14)의 돌출날개편(18)에 안내구멍(2)의 수직돌기(13)가 결착된 상태에서 선풍기의 머리부분 방향이 정해진다. 때문에 풍향을 조정하고자 할때 선풍기의 본체는 회전시키지 않고 머리부분만 회전시키게 되면 부싱(14)의 탄성 돌출날개편(18) 끝단부 만곡형 요철부에 결차고딘 수직돌기(13)는 제 3 도의 (나)에서 처럼 이탈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돌출날개편(18)은 신축편(17)에 의해 자체 탄성작용으로 내측으로 오므라 들게되고 끝단부의 만곡형 요철부에 의해 쉽게 이탈이 이루어진다. 이탈이 완료됨과 동시에 오므라들었던 돌출날개편(18)은 탄성복귀 되어서 결국 탄성날개편(18)은 안내 굽멍(2)의 수직돌기(13)들 사이에서 위치하게 되며, 더 많은 회전을 원할때는 동일한 방법으로 머리부분만 회전시켜주면 수직돌기(13)가 회전되면서 다시 탄성날개편(18)의 끝단 요철부에 결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반복장용으로 선풍기의 머리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풍향조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단일체인 부싱(14)에 탄성 돌출날개편(18)을 형성함므로서, 종래의 문제점인 부품수 증가를 제거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어 원가절감에 큰 효과를 얻게 되는 편리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 지지대(1)의 하단 안내구멍(2)에 높이조절봉(5)을 삽착시켜 요홈(6)(7)과과 강구(10) 및 스프링(11)에 의해 풍향조정을 하는 것에 있어서, 본체 지지대(1)의 하단 안내구멍(2) 내주연부에는 수직돌기(13)을 다수 형성하고, 이 안내구멍(2)에 삽착되는 부싱(14)의 상단 플랜지(15) 양측에 수직할개구(16)를 형성하여 신축편(17)을 가진 돌출날개편(18)을 형성하며, 높이조절봉(20) 일축에는 사각수평홈(19) 을형성시켜서 된 선풍기의 풍향 조정장치.
KR2019870005094U 1987-04-10 1987-04-10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KR900002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94U KR900002449Y1 (ko) 1987-04-10 1987-04-10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94U KR900002449Y1 (ko) 1987-04-10 1987-04-10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940U KR880019940U (ko) 1988-11-29
KR900002449Y1 true KR900002449Y1 (ko) 1990-03-26

Family

ID=1926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094U KR900002449Y1 (ko) 1987-04-10 1987-04-10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4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940U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7976B2 (en) Damper device
JPH0396705A (ja) 調節可能な間隔設定装置
KR910014180A (ko) 나선형 코일 삽입체의 개량된 설치공구
KR900002449Y1 (ko) 선풍기의 풍향 조정 장치
US4244238A (en) Remote control wire apparatus
US4562985A (en) Pan head
JPS608330Y2 (ja) 照明器具
KR960011025B1 (ko) 텔레비전의 스피커장치
KR920008584Y1 (ko) 낚시대용 받침구
RU2027083C1 (ru) Подкладная шайба б.с.скалки
KR200200158Y1 (ko) 스탠드의 높이 조절장치
KR880002485Y1 (ko) 선풍기의 좌, 우 선회장치
CN221010619U (zh) 一种电子元件组装用导向环
KR900000501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장력밴드 고정체
KR950005749Y1 (ko) Vtr의 테이프 가이드 포스트 구조
JPH0221613Y2 (ko)
KR930002401Y1 (ko) 정추용 권취기
KR810000732Y1 (ko) 상하 좌우 회전식 선풍기
KR870002734Y1 (ko)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정장치
JPH0641072Y2 (ja) 換気扇シャッターの固定装置
JPH0348414Y2 (ko)
KR840002408B1 (ko) 회전그릴이 부착된 선풍기
JP4237895B2 (ja) 締結装置
KR880002910Y1 (ko) 선풍기 날개 조립구
KR900009619Y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헤드 위치 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