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11Y1 -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11Y1
KR900002411Y1 KR2019860009172U KR860009172U KR900002411Y1 KR 900002411 Y1 KR900002411 Y1 KR 900002411Y1 KR 2019860009172 U KR2019860009172 U KR 2019860009172U KR 860009172 U KR860009172 U KR 860009172U KR 900002411 Y1 KR900002411 Y1 KR 900002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dhesive tape
cutting tool
manufacturing apparatu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799U (ko
Inventor
진종 초우
Original Assignee
진종 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 초우 filed Critical 진종 초우
Priority to KR2019860009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411Y1/ko
Publication of KR880000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26D3/085On sheet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부를 절개한 요부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 3 도 (a), (b)는 각각 다른 모양의 절결구를 형성시킨 점착테이프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20 : 재단공구 6 : 발열유니트
7 : 부로울러 31 : 원주회전도
21 : 니이들형 재단칼 22 : 홀더
9 : 점착시이트 10 : 점착테이프
본 고안은 점착테이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어떤 공구를 쓰지않고 찢어낼수 있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이트 또는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일정폭으로 만들어지는 점착테이프는 광범위한 용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사용량은 막대하다.
그 종류에 있어서도 종이를 바탕지로 하는 것 외에, 수지 점착테이프만으로도 PVC, PE, 나일론, OPP등 셀수 없을 정도의 바탕지가 쓰여지고 있다. 시판품은 이들을 대별하여 바탕지가 미끄러운 일반수지 필름을 쓰는 것과, 직포무늬를 부여한 수지필름을 쓰는 점착테이프로 나누어 있으며, 후자로 서는 PVC 점착테이프를 예로 들면 간단히 찢어지므로 커터등의 공구가 불필요하지만, 직포무늬를 부여하려면 두께를 제조비가 비싸지는 한편, 잘게 찢어지기 쉬우므로 인장강도가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전자로 서는 일방향 또는 이방향 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이하 OPP 필름이라 함)으로된 점착테이프가 있으며, 이는분자구조가 강화되어, 광택과 투명성이 향상되고, 강도도 현전하게 증가되지만 열에 약하여 직물무늬를 부여할 수 없다. 게다가 예각의 절결구가 절취선 또는 바늘 자국등의 홈이라도 있으면 그것에 의해 해지기 쉽고 따라서 찢어낼 수 있는 점착테이프용으로 사용치않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물론 다른 미끄러운 통상의 수지필름 바탕지로된 점착테이프는 커터등의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직물무늬를 부여하지 않고, 별도의 절단공구를 필요로 하지않는 OPP 필름이나, 종래의 일반적인 미끄러운 바탕지로된 점착테이프를 제 3 도(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변을 직선상으로 하지않고, 인공적으로 규칙적인 간격을 이루는 절결구(2)에 의하여 요철상을 이루며, 절결구(2)의 날카로운 톱니모양이나 보프러기를 없애기 위하여 화염이나 전열기로써 살짝 가열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통상의 사용에서는 종래의 인장강도가 손상되지 않고, 절결구(2)의 오목한 부분을 따라서 평행으로 용이하게 찢어 낼수 있는 점착테이프가 개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 종류 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로서는 도면의 부호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를 로울러 상으로 맡아놓은 것을, 양측에서 커터나이프나 원형톱, 그 라인더등으로 측변에 일정간격의 절결구를 형성한 다음에, 상기한 전열기등에 의한 가열처리를 시행하는 것으로서, 공정에 시간이 걸리고 제조능률이 낮으면, 또한 로울러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절결구는 외주와 내주에 형성되는 간격이 상이해지므로, 품질이나 규격이 불균일해진다.
더구나 전기한 가열처리장치중에서 그라인더등의 마찰에 의한 장치는 마찰열을 일으켜서 절결구의 형성과 동시에 가열처리가 행해지는 것이지마는 능률이나 품질, 규격의 면에서 결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의 수지필름을 바탕지로한 찢어내기 쉬운 점착테이프의 제조장치체 있어서, 점착테이프의 양측변에 능률좋게 1공정으로 절결구를 규칙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열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과 규격의 안정화를 유지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바탕지로 하는 수지필름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되는 점착시이트를 재단공구로 이송하여 소정폭의 테이프 상으로 재단하는 점착테이프 제조장치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테이프의 측변에 절결구를 형성하는 수단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어떠한 수지필름으로된 바탕지의 점착테이프라 하여도 그 시이트로부터 테이프상으로 잘라내서, 점착테이프로 제작하는 공정에 있어서 규칙적 절결구를 형성하는 수단이 보유하는 재단공구에 의해 손을 찢어낼 수 있도록 해주는 절결구가 측변에 규칙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재단공구가 가열수단에 의해 고온으로 유지되는 것에 이해, 테이프 재단선의 톱니모양이나 보프러기가 동시에 고온으로 용융되어져 절결구는 둥글게 되어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면의 부호 3은 본 고안의 요부가되는 재단공구를 나타낸다.
재단공구(3)은 축로울러(4)와, 이 축로울러(4)의 축심선에 서로 평행하는 부로울러(7)과 도시생략된 인장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전기한 축로울러(4)의 외주에는 칼날원주부가 규칙적으로 파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주 회전도(31)이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보전됨과 아울러, 축로울러(4)의 내부는 중공축통으로 되어서, 그 내부에 전기를 에너지로 하는 발열유니트(6)를 장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발열유니트(6)을 축로울러(4)의 내부에 장치하지 않고, 외주부에 장치하여도 좋으며, 중요한 점은 원주 회전도(31)이 발열유니트(6)에 의하여 수지필름을 국부적으로 용융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가열이 될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전기한 원주 회전도(31)도 그 외주가 반드시 연속적으로 파형을 이루게 할필요는 없으며, 간헐적으로 파형의 절결구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나, 상기한 부로울러(7)는 표면부(8)을 예컨대 테프론 합성재 또는 실리콘 고무등의 내열 또는 비점착성 층으로 피복시켜야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점착 시이트를 나타낸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장치에 의하여 점착시이트(9)를, 그 점착제 도포면이 부로울러(7)과 접촉되는 상태로하여 재단공구(3)과 부로울러(7) 사이로 통과시켜 도시생략된 인장로울러로서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감아들이면, 점착시이트(9)가 재단공구(3)과 부로울러(7) 사이를 통과할때, 축로울러(4)에서 고온보전된 회전칼날(31)의 파형외주부에 의하여 소정폭으로 재단됨과 동시에 재단선이 고온으로 용융처리되어 양측변(2)가 파형의 요철상으로 되는 절결구를 형성한 점착테이프(10)으로 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도면중 부호 20은 재단공구를 나타내며, 이 재단공구(20)은 부로울러(7)의 축심선과 평행으로 배치되는 홀더(22)에, 다수의 니이들형 재단칼(21)이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빗살모양을 보전시킴과 동시에, 이들 니이들형 재단칼(21)의 첨두선단이 부로울러(7)의 외주면을 향하게 배열되며, 또한 홀더(22)의 내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발열유니트(6)이 장치됨과 아울러, 이 홀더(22)는 통상적인 공지의 오실레이션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부로울러(7)의 축심선방향으로 일정주기와 진폭을 유지하면서 규칙적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점착시이트(9)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회전하고 있는 부로울러(7)과 규칙적인 왕복운동을 하고 있는 홀더(22)의 사이를 통과하여 도시생략된 인장로울러에 의하여 인장되는 동안에, 고온으로 유지된 니이들형 재단칼(11)에 의해 파형으로 재단됨과 아울러 재단선이 용융되어져서, 양측변이 파형으로 형성된 점착테이프(10)으로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시이트(9)를 반드시 그 점착제 도포면이 부로울러(7)측으로 향하게 해야되는 것은 아니며, 부로울러(7)에 배면이 접착되도록 할수도 있고, 이렇게 하면 부로울러(7)의 표면부(8)은 특히 비점착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지 내열성층의 피복만 하여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점착테이프 제조장치는 재단공구(3)(20)에 가열수단과, 테이프 측변의 절결구를 형성시키는 수단이 구비된 것으로서, 점착시이트를 테이프상으로 재단함과 동시에, 연속 또는 간헐적인 절결구를 형성하고 아울러, 재단선을 열용융하는 것에 의해 둥글게 할수가 있는 것으로서, 사용에 있어서는 종래의 강도를 보유하고, 절결구에 의해 손으로 용이하게 찢어지는 점착테이프를 테이프상으로 재단하는 공정과 함께 행하므로 현저하게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의 수지필름 바탕지에 의한 점착테이프가 매끄러워도 특별한 재단공구 없이도, 소요길이로 찢어낼 수 있는 것으로서, 바탕지 재료가 한정되는 일이 없고, 커터등의 공구를 사용치 않아도 되며, 작업능률의 향상과 함께 가공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조단가도 낮아진다.
게다가, 상부표면이 미끄러워서, 투명율도 강도도 현저하게 높은 OPP필름 소지에 의한 점착테이프를 커터공구 없이도 쓸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바탕지가 되는 수지필름의 일면에 점착테이프를 도포하여도 점착시이트를 재단공구로 이송하여 소정폭의 테이프상으로 절단하는 점착테이프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재단공구에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규칙적으로 테이프의 측변에 절결구를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재단공구는 중공 축통으로 되는 축로울러와, 축심선이 로울러에 서로 평행하는 부로울러와, 인장로울러를 갖추고, 전기한 축로울러에 그 칼날 원주부가 규칙적인 요철절결구를 갖도록 형성된 원형회전도를 소정간격으로 보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을 축로울러의 내부에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재단공구는 부로울러와, 그 부로울러의 외주면을 따라 홀더에 의하여 그 선단이 소정간격의 빗살상으로 보전된 니이들형 재단칼과, 인장로울러를 갖추고, 홀더는 고온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소정간격의 왕복운동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KR2019860009172U 1986-06-28 1986-06-28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KR900002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72U KR900002411Y1 (ko) 1986-06-28 1986-06-28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72U KR900002411Y1 (ko) 1986-06-28 1986-06-28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799U KR880000799U (ko) 1988-02-20
KR900002411Y1 true KR900002411Y1 (ko) 1990-03-26

Family

ID=1925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172U KR900002411Y1 (ko) 1986-06-28 1986-06-28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4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799U (ko) 198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5600A (en) Method for slitting a film
US431154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ip-shaped composite body
US4747895A (en) Continuous ultrasonic perforating system and method
AU2009321308B2 (en) Perforation of laminated materials, laminate comprising a perforated layer of hydrophobic gel and an imperforate substrate, wound dressing
US7811403B2 (en) Transverse tab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201175B1 (en) Process for making a disposable wipe-out sheet
KR20000049265A (ko) 재료시트 절첩장치
EP01081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elastic bands to webs
JP2000026015A (ja) 伸縮性部材の製造方法
US44896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itting thermoplastic films
KR900002411Y1 (ko) 점착테이프 제조장치
BE905868A (fr) Coupe de nappes en matiere thermoplastique.
CA1052551A (en) Loop cutting apparatus
US4098159A (en) Shrink film perforating unit
GB2191969A (en) Making adhesive tape
GB107374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filament material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2000141279A (ja) スリッタ刃
US6499640B2 (en) Apparatus and procedure for the drawing of films in motion
US3988488A (en) Leatherlike fabrics
US3225634A (en) Apparatus for dividing a film of thermoplastic material into small strips
US3604302A (en) Brush anvil
US4498217A (en) Pile fabric cutting device
US37232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air curlers
US3977056A (en) Method of providing cut loop pile fabrics with uncut selvedge areas
JPS6052671A (ja) 化繊織物の切断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