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140Y1 -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140Y1
KR900002140Y1 KR2019860017947U KR860017947U KR900002140Y1 KR 900002140 Y1 KR900002140 Y1 KR 900002140Y1 KR 2019860017947 U KR2019860017947 U KR 2019860017947U KR 860017947 U KR860017947 U KR 860017947U KR 900002140 Y1 KR900002140 Y1 KR 900002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finder
hole
guide
plat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991U (ko
Inventor
강인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7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140Y1/ko
Publication of KR880010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뷰파인더 설치 상태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파인더 회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3a 도는 본 고안의 뷰파인더에 대한 조립 상태 단면도, (b)는 본 고안중 뷰파인더의 레버를 누른 상태도.
제 4a, b, c 도는 제 3 도의 레버 동작에 따른 뷰파인더의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본체 2 : 통공
4 : 분할홈 5 : 분할판
7 : 안내판 9 : 습동판
11 : 스토퍼 13 : 비틀림 스프링
17 : 괘지핀 20 : 구동축
21 : 돌부 22 : 상측
30 : 뷰파인더 35 : 지지체
35a : 가이드공 37 : 가이드구
37b : 나사산 41,41' : 너트
47 : 레버
본 고안은 비데오 카메라에 설치하는 뷰파인더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의 취급 상태에 따라 뷰파인더를 한손으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갖추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뷰파인더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뷰파인더에는 제 1 도와 같이 삽입턱(72)을 저면으로 튀어나오게 하고 카메라 본체(61)에는 멈춤돌기(62)와 가이드(63)를 형성하고 가이드(63)의 내면으로 스프링(64)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63)의 내면으로 한쪽방향에서 뷰파인더(71)의 삽입턱(72)을 끼우면, 삽입턱(72)은 판스프링(64)의 탄력저항을 받아 가이드(63)의 내면에 압지되어 뷰파인더(71)을 비데오 카메라에 설치할수 있었다.
그러나 설치된 뷰파인더는 카메라 본체의 옆으로 튀어나와 취급하기에 분편함을 주었던 것으로, 특기 손잡이를 잡고 카메라의 운반 또는 이동할때에는 튀어나온 뷰파인더는 타물체와 부딪히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주위를 기울어야 했고 제품의 외관적인 모양에 있어서도 좋지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카메라 본체에 뚫은 통공의 저면에 90°간격으로 분할홈을 형성한 불한판을 고정하고 상기의 통공으로 뷰파인더의 저면에 설치한 지지체를 삽입한 다음 지지체의 가이드공으로 안내판을 부착한 가이드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가이드구의 나사선에 끼우는 너트의 체결로 뷰파인더와 카메라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의 가이드구에 돌부가 형성된 구동축을 연결하고, 상기 습동판 선단의 괘지면을 안내판에서 지점회동하는 스토퍼의 선단에 연결시켜서 레버에 의한 구동축의 유동으로 부파인더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회전으로 카메라 본체의 측면에 뷰파인더가 튀어나오지 않아 취급, 운반, 이동하기에 편리하도록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뷰파인더 회전장치를 분해한 것으로 뷰파인더(30)에는 설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며 카메라 본체(1)에는 상기의 조절에 따른 분할 즉 회전동작하는 구성을 갖추도록 레버(47)를 뷰파인더(30)에 설치하고, 레버(47)의 누름으로 잠금과 풀림 동작이 연동되는 스토퍼(11)를 카메라 본체(1)에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47)를 뷰파인더(30)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뷰파인더(30)저면에 통공(33)을 뚫고 그 주면에 나사공(33a)이 뚫린 삽입홈(31)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1)의 상면에 뚫린 통공(33)과 대응한 구멍이 뚫리고형으로 절곡되어 탄성편(38)을 형성하는 판스프링(39)을 형성하며, 판스프링(39)저면에는 통공(33)의 크기로 가이드공(35a)이 뚫리고 뷰파인더(30)와 카메라 본체(1)를 연결하기에 적당한 높이로된 지지체(35)를 형성한다.
판스프링(39)의 상부에는 조임핀(41a)이 나사식으로 조여지는 구멍이 뚫린 너트(41)(41')를 형성하고 너트(41)(41')사이에 너트용 설치공(44)이 각각 뚫리고 셋트 스프링(51)용 나사공(43a)이 뚫린 캡(45)과 고정판(43)을 형성하여 캡(45)의 측면으로 절개홈(45a)을 뚫고 절개홈(45a) 상부에 지지핀(50)용 삽입공(50a)을 뚫어 형성한다.
그리고 뷰파인더(30)측면의 적당한 높이에 제3도와 같이 또 다른 절개홈(34)을 형성하고 여기에 삽입하는 레버(47)에는 보튼(47a)과 축공(49) 및 장방형의 안내공(48)을 뚫어 형성한다.
또한 스토퍼(11)를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 본체(1)에는 상부에 지지체(35)의 직경에 대응한 통공(3)과 통공(3)의 주변에 수개의 나사공(3a)을 각각 절개 형성한다.
그리고 분할판(5)의 내경 크기로 머리부(37a)를 형성하고 그 중앙이 튀어나오게 하여 선단에 나사산(36b)을 형성한 가이드구(37)에 축공(38)을 뚫고 지지체(35)의 가이드공(35a) 주변에 뚫린 구멍과 같은 위치의 머리부에 또 다른 구멍을 뚫어 형성한다.
축공(38)을 외경으로 하는 돌부(21) 상하단을 경사지게 연설한 구동축(20)의상하측(22)(23)에 단턱지게 형성하고, 가이드구(37)의 축공(38)과 일치한 곳에 또 다른 축공(8)을 뚫어 가이드구의 머리부(37a)에 고정시키는 안내판(7)은 사각판으로 형성하여 상면에는 분할판(4)제어용 스토퍼(11)를 유착하고 저면에는 스토퍼(11)연동용 습동판(9)를 형성한다.
상기의 스토퍼(11)는형으로 형성하여 선단에 걸림편(12)을 형성하여 핀공(11a)와 유동공(12a)을 뚫고, 습동판(9)의 측부에는 안내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15)을 지점으로 탄력을 습동판(9)에 전달하는 비틀림스프링(13)을 형성한다.
제 3 도 (a)는 뷰파인더에 대한 조립 상태도로서 카메라 본체(1)에는 분할판(5)을 통공(3)저면에 나사로 고정한다. 상기의 통공(3)으로 끼우는 가이드구(37)의 머리부(37a)에 습동판(9)과 스토퍼(11)를 연결 조립한 안내판(7)을 나사로 고정한다.
안내판(7)이 고정된 가이드구(37)의 축공(38)에 구동축(20)을 끼우면 중앙의 돌부(21)가 축공(38)내경에 접촉한다.
그리고, 뷰파인더(30)의 삽입홈(31)에 지지체(35)를 끼워 고정하여 본체(1)의 통공(3)에 지지체(35)을 삽입시켜 나사로 가이드구(37)와 결합시킨다.
상기의 결합으로 가이드구(37)선단의 나사부(37b)는 뷰파인더(30)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판스프링(39)을 끼울 수 있다.
그리고 선단의 나사부(37b)에 너트(41)를 체결시켜서 판스프링(29)을 고정하며 조임편(43a)을 너트(41)에 조여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너트(41)의 상부에 캡(45)과 나사로 연결되는 고정판(43)을 끼워 또 하나의 너트(41')를 캡(45)의 설치공(44)에 위치한 가이드구(37)의 나사산(37b)에 체결하여 조임핀(47a)을 전술한 것와 같이 조립한다.
그뒤 레버(47)을 절개홈(34)으로 끼워 가이드구(37)의 축공(38)에 있는 구동축(20)의 상측(22)이 레버의 축공(49)에 끼워지게 하고 지지핀(50)을 캡(45)의 절개홈(45a)으로 끼워 이탈하지 않게 한다.
이때 구동축(20)에 하측(23)은 안내판(7)을 통해 습동판(9)의 축공(8)에 끼워진 상태이고, 습동판(9)의 괘지핀(17)은 안내판(7)을 통해 스토퍼(11)는 동작된 상태에서 선단의 걸림편(12)이 분할판(5)의 분할홈(4)과 분리된 상태가 되고 동작전의 상태에서는 상기의 걸림편(12)의 분할홈(4)에 끼워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뷰파인더(30)의 저면 삽입홈(31)으로 지지체(35)를 끼운상태에서 삽입홈의 나사공(33a)을 통해, 삽입되는 세트스크류(51)로 상기 지지체(35)를 고정하고, 가이드구(37)의 나사부(37b)를 지지체의 가이드공(35a)아래에서 상측방향으로 끼워, 가이드공(35a)상부로 튀어나온 나사부(37b)에 판스프링(37)과 너트(41), 고정판(43) 너트(41')등은 순차적으로 끼워 체결한뒤 너트(41)(41')에, 조임핀(41a)을 나사식으로 끼워 고정한 다음, 고정판(43)에 캡(45)을 올려놓고, 캡(45)과 고정판(43)을 셀트스크류(51)로 고정하되 캡(45)의 측면에 뚫린 절개홈(45a)과, 뷰파인더(30)의 측면 절개홈(34)을 일치하는 상태로 고정한뒤 가이드구(37)의 축공(38)아래에서 상측방향으로 구동축(20)를 끼워 그 상측(22)이 뷰파인더(30)의 절개홈(34)으로 끼워지는 레버(47)의 선단 축공(49)에 끼워지게 한 다음, 분할판(5)이 고정된 카메라 본체(1)의 통공(3)을 뷰파인더에 고정된 지지체(35)에 끼워진 구동축(20)의 하측(23)이 안내판(7)의 축공(8)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며, 관통된 구동축의 하측이 습동판(9)의 축공(9a)에 끼워지도록 조립하면 뷰파인더(30)와 카메라 본체(1)가 연결된다.
이러한 뷰파인더(30)와, 카메라 본체(1)의 결합 구성에서 제 3 도와 같이 레버(47)를 눌러 주면 구동축(20)은 돌부(21)를 지점으로 하여 가이드구(37)의 축공(38)에서 시이소적인 지점 유동을 한다.
그러므로 이에 연결된 안내판(7)과 습동판(9) 제 3 도 (b)와 같이 레버(47)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유동할때 습동판(9)의 괘지핀(17)으로 연결된 스토퍼(11)의 선단 걸림편(12)이 분할판(5)의 분할홈(4)에서 빠지는 작용을 제 4 도 (a)에서와 (b)와 같이 이루게 된다.
이 작용으로 뷰파인더(30)의 록킹상태가 해체되어 언로킹 상태되는 것으로 뷰파인더(30)와, 뷰파인더(30)에 고정된 지지체(35)가 본체(1)의 통공(3)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이로인해 회전되는 지지체(35)에 고정된 가이드구(37)와 안내판(7)이 회전하게 되며 안내판(7)의 스토퍼(11)가 제 4 도의 (b)에서 (c)위치로 회동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뷰파인더(30)가 제 4 도 (c) 위치에 도달하면 누르던 레버(47)에서 힘을 제거한다.
제거되는 힘과 습동판(9)의 비틀림스프링(13)의 복원력으로 스토퍼(11)의 걸림편(12)은 분할홈(4)에 끼워져 안내판(7)에 결합된 가이드구(37)의 자유로움은 제한되어 카메라 본체(1)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정지한 상태도 되어 뷰파인더(30)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후 사용자가 뷰파인더(30)를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레버(47)의 보턴(47a)를 누르면 상술한 레버(47)와 구동축(20)과 습동판(9) 및 스토퍼(11)의 연계동작으로 뷰파인더를 정지한 위치에서 90° 회전시킬수 있다. 90°회전된 상태에서 보턴(47a)에서 손을 놓으면 내부의 스프링(13)에 의해 스토퍼(11)가 분할판(5)의 분할홈(4)에 괘지되어 뷰파인더(30)가 카메라 몸체(1)옆으로 튀어나온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촬영할수 있는 구도로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보턴(21a)의 누름동작에서 뷰파인더(30)를 90°회전시키면 최초의 상태 즉 보관하는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레버를 뷰파인더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시이소 유동하는 구동출을 통해 카메라 본체 하측의 스토퍼를 연결하여 누름동작에 따른 뷰파인더의 위치를 손쉽게 선택할수 있어 취급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기구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며 또한 안전도를 높혀 기능에 대한 신뢰는 물론 취급에 편리함을 주는 것이다.

Claims (1)

  1. VCR용 카메라 본체(1)상부에 설치하는 뷰파인더(30)의 회전 록크장치에 있어서, 90°방향마다 분할홈(4)이 형성된 분할판(5)을 카메라 본체(1)의 통공(2)저면에 고정하며, 뷰파인더(30)의 삽입홈(31)에 지지체(35)를 삽입시켜 고정하고, 상기 지지체(35)를 본체(1)의 통공(3)으로 삽입하면서 가이드구(33)를 지지체(35)의 가이드공(35a)으로 삽입하여 가이드구(37)의 축공(38)으로 시이소 유동하는 구동축(20)을 삽입한 다음, 구동축(20)의 상측(22)은 뷰파인더(30)에 삽입하는 레버(47)와 연결하고 하측(23)은 스토퍼(11)가 지점 회동하게 설치한 안내판(7)과 연결하여 레버(47)에 스토퍼(11)가 각각의 분할홈(4)을 언록킹할때 뷰파인더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KR2019860017947U 1986-11-18 1986-11-18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KR900002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947U KR900002140Y1 (ko) 1986-11-18 1986-11-18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947U KR900002140Y1 (ko) 1986-11-18 1986-11-18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91U KR880010991U (ko) 1988-07-29
KR900002140Y1 true KR900002140Y1 (ko) 1990-03-15

Family

ID=1925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947U KR900002140Y1 (ko) 1986-11-18 1986-11-18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1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91U (ko) 198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80311U (ja) 紐類の抜止具
JPS59124579A (ja) 連続ビス締付機
US4711596A (en) Apparatus for securing a connection
KR900002140Y1 (ko)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KR930001623B1 (ko) 판형상체의 조립구
US4746304A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JP3249045B2 (ja) カメラのレリーズボタン機構
EP0174335A1 (en) LOCKING DEVICE.
JPS6230021Y2 (ko)
KR890003151Y1 (ko) 안테나 단자의 접속장치
KR890000695Y1 (ko) 회전식 뷰파인더의 록크 장치
JPS6313838U (ko)
CN210960015U (zh) 可调节角度的连接装置及鱼竿支架
KR930005820Y1 (ko) 카메라 기기용 삼각대의 헤드장치
KR910009047Y1 (ko) 비디오 카메라용 뷰파인더의 회전 및 로크장치
JPH044368Y2 (ko)
KR890004419Y1 (ko)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JPH0629384Y2 (ja) ハンドル
KR900009240Y1 (ko) 모니터의 회전 각도 이중 조정장치
JPS63303298A (ja) カメラ支持装置
JPS633277Y2 (ko)
KR200272106Y1 (ko) 팽이
KR930005837Y1 (ko) 회전 및 경사 각도 조절장치
JPH0521910Y2 (ko)
KR880000813Y1 (ko) 비디오 카메라의 뷰 파인더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