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26Y1 -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26Y1
KR900002026Y1 KR2019860008687U KR860008687U KR900002026Y1 KR 900002026 Y1 KR900002026 Y1 KR 900002026Y1 KR 2019860008687 U KR2019860008687 U KR 2019860008687U KR 860008687 U KR860008687 U KR 860008687U KR 900002026 Y1 KR900002026 Y1 KR 900002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e
plate
angle
workpie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509U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2019860008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026Y1/ko
Publication of KR880000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6Bench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삼각함수의 산출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사용상태 예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상면에 피가공물을 재치하여 선을 긋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
제 7 도는 조절판의 평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판 2 : 조절판
3 : 회전축 4 : 구멍
5 : 보울트 6 : 회전니트
9,9' : 돌봉 8 : 안내스토퍼
본 고안은 각종 공작기계로서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 피가공물을 고정시키는 바이스를 피가공물의 가공조건 및 가공방향등에 따라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작업과 피가공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게한 공작기계용 바이스 각도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이스는 피가공물을 건조하게 협지하는 기능만을 가진것이므로 피가공물의 가공조건 및 가공방향에 따라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없어 일일이 바이스를 풀어 피가공물의 취치를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 아니라 정확하게 가공위치를 조정하기가 어려워 정밀한 가공을 할수 없는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성이 불량한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피가공물을 바이스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바이스를 소망하는 가공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하판(1)의 상면에 바이스(12) 취부용 나사공(13)을 두개 뚫은 조절판(2)을 상접하되 일측단을 회전축(3)으로 축착하여 하판(1)의 구멍(4)으로 관통시킨 보울트(5)로서 조절판(2)의 경사중심공(16)에 회전가능하게 유삽한 회전너트(6)와 나사결합하고 조절판(2)의 자유단 내저면에는 회전축(3)과 일정간격을 두고 동일평면상에 환봉(7)을 착설하는 회전축(3) 후방 중간에는 안내스토프(8)를 조절판(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하판(1)의 양측면에 각각 2개의 회전각도 조절용 환봉(9)(9')을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부착하여서 되는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제 5 도와 같이 조절판(2)의 상면에 피가공물 직접 재치하여 가공시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조절판(2)의 상면에 승강자재되게 나사불임한 안내스토퍼이고 11,11'는 바이스(12)를 조절판(2)의 나사공(13)(13')에 고정하는 고정보울트이며 14는 조절판(2)상에 바이스(12)를 접면시 안내스토프(8)를 끼울 수 있도록 바이스(12)의 측면에 형성시킨 안내표이고 15는 블록 게이지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바이스(12)의 일측면에 형성한 안내홈(14)에 조절판(2)의 안내스토퍼(8)가 감삽되도록 통상의 바이스(12)의 일측에 형성한 안내홈(14)에 조절판(2)의 안내스토퍼(8)가 감삽되도록 통상의 바이스(12)를 조절판(2)의 상면에 상접시켜(이때 바이스(12)의 위치는 어느 방향이나 가능함) 고정보울트(11)(11')로서 나사공(13)(13')을 통해 나사불임하면 바이스(12)는 조절판(2)의 상면에 일체로 취부되어진다.
이와 같이 바이스(12)가 부착된 각도 조절구를 공작기계의 마그네트 베드상에 재치시켜 부착시킨후 바이스(12)에 통상과 같이 피가공물을 협지시켜 가공하면 되는것인바 예를들어 피가공물의 가공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때는 종래와 같이 바이스(12)에 협지시킨 피가공물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바이스(12)가 고정된 조절(2)을 회전축(3)을 중심축으로 회동시켜 소망하는 가공각도와 동일한 크기의 블록게이지(15)를 제 3 도와 같이 조절판(2)과 하판(1)의 사이에 끼워 넣은후 보울트(5)로서 조절판(2)의 경사중심공(16)에 회전되게 유삽한 회전너트(6)에 나사불임하면 조절판(2)이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고정되어짐에 따라 이에 일체로 취부한 바이스(12)가 일정한 기울기로 방향이 조절되므로 피가공물을 소망하는 각도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울트(5)가 나사결합되는 조절판(2)의 회전너트(6)는 제 7 도와 같이 경사중심공(16)에 유삽되어 회전자재되게 되어 있으므로 조절판(2)을 하판(1)에 접면시켜 보울트(5)를 조이지 않고 곡선을 그리면서 회동하게 됨에 따라 회전너트(6)는 수직으로 상승되는 보울트(5)에 의해 조절판(2)의 회전각도만큼 회전되어지므로 조절판(2)의 회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며 또한 회전너트(6)가 유삽된 경사중심공(16)도 제 2 도 및 제 3 도와 같이 경사지게 뚫여 조절판(2)이 회동하는데 지장을 주지않는 것이다.
그리고 조절판(2)의 자유단 내저면에는 회전축(3)과 일정간격을 두고 동일평면상에 환봉(7)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느 위치에서나 첨부도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a"의 거리가 일정하며 소망하는 가공각도만 주어진다면 "b"의 거리는 삼각함수에 의거 쉽게 산출되므로 그에 맞는 블록게이지(15)를 간단하게 끼워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조절판(2)에 피가공물을 제 5 도와 같이 직접 재차시켜 표지선 등을 마킹할 수도 있는 바 이때에는 측면의 스토퍼(10)를 상부로 돌출시켜 안내스토퍼(3)와의 사이에 피가공물을 끼운후 마킹하면되고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회전시켜 가공할 필요가 있을 때는 하판(1)의 측면부에 일정간격으로 부착시킨 한쌍의 들봉(9)(9')과 공작기계의 배드상에 고정된 축과의 소망각도에 맞는 블록게이지(15)를 끼워 방향을 일정하게 회전시킨 후 피가공물들을 가공할수 있는바 이때에도 들봉(9)(9')의 거리가 일정하여 가공각도만 주어지면 삼각의 위치를 다른 면에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피가공물이 협지된 상태에서 피가공물의 가공위치에 따라 바이스의 경사각도를 조절판(2)에 의해 간단히 조정하여 가공할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판(1)의 상면에 바이스(12) 취부용 나사공(13)을 수개 뚫은 조절판(2)을 상접하되 일측단을 회전축(3)으로 축착하여 하판(1)의 구멍(4)으로 관통시킨 보울트(5)가 조절판(2)의 경사중심공(16)에 회전가능하게 유삽한 회전너트(6)와 나사결합하고 조절판(2)의 자유단 내저면에는 회전축(3)과 일정간격을 두고 동일 평면상에 환봉(7)을 착설하는 한편 회전축(3) 후방 중간에는 안내 스토퍼(3)를 조절판(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하판(1)의 양측면에 각각 2개의 회전각도조절용 환봉(9)(9')을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부착하여서 되는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조절구.
KR2019860008687U 1986-06-19 1986-06-19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KR900002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687U KR900002026Y1 (ko) 1986-06-19 1986-06-19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687U KR900002026Y1 (ko) 1986-06-19 1986-06-19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509U KR880000509U (ko) 1988-02-19
KR900002026Y1 true KR900002026Y1 (ko) 1990-03-13

Family

ID=1925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687U KR900002026Y1 (ko) 1986-06-19 1986-06-19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0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8B1 (ko) * 2018-10-17 2019-04-25 김근석 공작기계 바이스용 각도조절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8B1 (ko) * 2018-10-17 2019-04-25 김근석 공작기계 바이스용 각도조절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509U (ko) 198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097Y2 (ja) テーブル付き丸鋸における角度調整装置
US4312391A (en) Router adapting fixture for radial arm saws
US4418901A (en) Vise system
US4518155A (en) Fixing device of workpieces for wire spark erosion machines
KR900002026Y1 (ko) 공작기계용 바이스의 각도 조절구
US3974571A (en) Sine bar
US2125919A (en) Work holder
JPS6031852Y2 (ja) ボ−リングホルダ−
JPS6343037Y2 (ko)
KR900000135B1 (ko) 조정식 구멍 가공기구(Tool)
KR200330854Y1 (ko) 외각 면취장치
JPH0622382Y2 (ja) パチンコ機の固定金具
JPS596982Y2 (ja) 丸鋸切断機における丸鋸上下位置調節装置
CN220073969U (zh) 具有调整角度功能的夹具
KR830002884Y1 (ko) 프레스의 슬라이드 램 간격조정 장치
KR200145612Y1 (ko) 공작기계용 클램프의 수평유지 조인트 장치
JPH0310001Y2 (ko)
KR19980049140A (ko) 경사 클램프
KR200146846Y1 (ko) 공작기계용테이블의회전테이블클램프구
JP2636063B2 (ja) 産業ロボットの位置検出手段の微調整機構
KR0117178Y1 (ko) 왕복기계의 가공물 절삭각도 조절장치
JPH0318109Y2 (ko)
KR0135711Y1 (ko) 절단기 각도 조절장치
JP2008080488A (ja) 携帯用丸のこ機
JPH02233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