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80Y1 -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 Google Patents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80Y1
KR900001980Y1 KR2019870010755U KR870010755U KR900001980Y1 KR 900001980 Y1 KR900001980 Y1 KR 900001980Y1 KR 2019870010755 U KR2019870010755 U KR 2019870010755U KR 870010755 U KR870010755 U KR 870010755U KR 900001980 Y1 KR900001980 Y1 KR 900001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lamp
door lock
terminal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866U (ko
Inventor
윤정호
Original Assignee
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호 filed Critical 윤정호
Priority to KR2019870010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980Y1/ko
Publication of KR890002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8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6Lighting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동축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정단면 예시도로서 (a)도는 단자가 접점된 상태도이고, (b)도는 단자가 접점되지 아니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야광보우턴 3' : 램프
4 : 건전지 6 : 회동축
7 : "" 자형 회동링 7' : 단자
7" : 돌편 8 : "" 자형 구동링
8' : 단자 8" : 요구
9 : "□ "각홈구 10: 회동판
10' : 접동간
본 고안은 도어 자물쇠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자물쇠의 외측 손잡이에 야광보우턴과 램프 및 부저를 설치하여 열쇠 구멍의 식별이 곤란한 야간에도 해정작업의 원활을 기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이물체로 해정작업을 실기하고져 할 경우 부저가 울리도록하여 도난방지도 겸하는 도어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열쇠로 괘, 해정되는 도어 자물쇠에 내에 회동축을 형성하고 이 회동축 선단부에 건전지와 전원선으로 부저와 연결된 ""자형의 회동링과 이에 감합된 ""자형 구동링에 일체로 형성한 부저 단자에 연결하고 야광 보우턴과 램프는 또 다른 전원선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회동축 후부에는 이물체의 선단에 걸려 회전하는 회동판에 일측으로 접동간은 일체화하여 부저 단자와 접할 수 있는 하나의 전원극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지정된 열쇠가 회동축의 열쇠 구멍으로 들어가면 ""자형의 회동링이 팽창하여 그 주위로 감합된 ""자형의 구동링과 같이 돌편이 요구에 삽입하여 동시에 회동하므로 부저 단자는 접점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해정작업이 용이하지만 만일의 경우 지정된 열쇠가 아닌 다른 이물체, 즉 송곳이나 철편 등을 삽입하여 행정작업을 시도할 때는 회동링과 회동판만이 회동하여 부저단자를 접동시켜주므로 부저가 울리게 된다. 이 부저음의 발생은 접동간의 접점에 의해서도 부저가 울리기 때문에 도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야광 보우턴을 눌러서 잠간동안 점등되는 램프의 불빛에 의해 열쇠구멍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종래에도 도어 자물쇠에 램프를 설치한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보우턴을 눌러서 자물쇠를 잠그면 보우턴 주위와 반대편 손잡이 전면이 표시등에 점등이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도난방지에 대한 완벽을 기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을뿐만 아니라 또 괘정된 상태하에서는 계속 표시등이 점등되어 있으므로 오히려 집안에서 사람이 없음을 알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도난방지의 역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자물쇠는 자물쇠가 잠겨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없어서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없었던 불편과 경보벨이 계속해서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램프를 야광보우턴과 같이 작동되게 하고 또 열쇠 구멍으로 지정된 열쇠가 아닌 다른 이물체가 삽입될 때 부저음이 발생되게 하는 안전성과 실용성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목적하는 바는 야광보우턴의 가압 작동에 의해 점등되는 불빛으로 물체의 식별이 곤란한 야간에도 열쇠구멍을 쉽게 찾아 해정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하고저 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정된 열쇠가 아닌 이물체가 열쇠구멍으로 삽입될 경우 부저음을 발생되게 하는 장치를 결합구성하여 도난을 미연에 방지하고저 하는데 있다.
특히 이들 보우턴과 램프 및 부저를 작동시키는 전원은 전원선으로 건전지와 연결한 다음 도어 자물쇠의 외측 손잡이 내부에 삽입구성하는 것이어서 외부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의 전자식으로 괘, 해정되는 도어자물쇠(1)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측 손잡이(2) 내외주부에 야광보우턴(3)과 램프(3') 및 부저(5)를 전원선(3")(5')으로 건전지(4)와 연결하되 회동축(6) 선단에 구성한 ""자형 회동링(7)의 단자(7')와 그 주위에 형성한 ""자형 구동링(8)의 단자(8')를 상기 전원선(5')으로 같이 연결하고 또 "□"각 홈구(9)를 갖고 접동간(10')이 형성된 회동판(10)은 회동축(6)의 후부로 구성함과 동시 ""자형 회동링(7)의 돌편(7")을 ""자형 구동링(8)의 요구(8")로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전자식 괘정돌기이며 12는 열쇠구멍임.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열쇠구멍(12)의 식별이 어려운 야간에 해정작업을 실시할 경우 손잡이(2)에 형성한 야광보우턴(3)을 눌러주면 수초동안 램프(3')가 점등되는 불빛에 의해 열쇠를 열쇠구멍(12)에 삽입하여 손쉽게 해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또 자물쇠(1)가 괘정된 상태에서 지정열쇠가 아닌 다른 이물체 즉, 철사나 송곳 및 철편 등을 열쇠구멍(12)으로 삽입하여 해정작업을 시도하면 철사나 송곳의 선단부가 회동축(6) 후부에 구성한 회동판(10)의 "□" 각홈구(9)에 끼워져 회동판(10)과 회동작용을 같이 함에 따라 이에 구성된 접동간(10')이 ""자형 구동링(8)의 단자(8')에 접점하여 부저(5)가 울리게 되고 (제3도의 가도 참고) 또 열쇠와 같은 철편 등을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회동축(6) 선단에 형성한 ""자형 회동링(7)만이 회동하여 이의 단자(7')가 상기 ""자형 구동링(8)의 단자(8')와 접점하여 부저(5)가 울린다.
그러나 제3도의 (나)도와 같이 도어 자물쇠(1)에 지정된 열쇠가 회동축(6)으로 들어가면 회동링(7)이 팽창하여 이의 돌편(7")이 상기 "" 자형 구동링(8)의 요구(8")에 삽입되므로 회동축(6)과 같이 전체가 회동하기 때문에 단자(7')(8')는 서로 접점되지 아니함은 물론 접동간(10') 과도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체에 의한 해정작업으로 당하는 도난방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전원과 연결됨이 없이 자체내에 구성한 건전지에 의해서 점등과 부저의 작동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구조의 실용성이 매우 높은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도어 자물쇠에 있어서, 외측손잡이(2)의 내외주부에 야광보우턴(3)과 램프(3') 및 부저(5)를 전원선(3")(5')으로 건전지(4)와 연결하되 회동축(6)에 구성한 ""자형 회동간(7)의 단자(7')와 이에 감합된 ""자형 구동링(8)의 단자(8')를 상기 전원선(5')으로 같이 연결하고 또 "□"각 홈구(9)를 갖고 접동간(10')이 형성된 회동판(10)은 상기 회동축(6)의 후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자형 회동링(7)의 돌편(7")을 ""자형 구동링(8)의 요구(8")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자물쇠.
KR2019870010755U 1987-07-01 1987-07-01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KR90000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755U KR900001980Y1 (ko) 1987-07-01 1987-07-01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755U KR900001980Y1 (ko) 1987-07-01 1987-07-01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866U KR890002866U (ko) 1989-04-08
KR900001980Y1 true KR900001980Y1 (ko) 1990-03-12

Family

ID=1926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755U KR900001980Y1 (ko) 1987-07-01 1987-07-01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9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866U (ko) 198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068A (en) Weapon trigger lock
KR960018127A (ko) 차량 도어 잠금 장치용 액츄에이터
US5398175A (en) Illuminated door knob lock
US4777570A (en) Illuminated doorknob lock
US4099754A (en) Door security guard
US7108387B1 (en) Doorknob and lock light assembly
EE200200406A (et) Turvaluku pöördlukustussilinder, moodul ja võti
USD487835S1 (en) Gun safe door with one arm handle
KR900001980Y1 (ko) 램프와 부저를 겸한 보우턴식 도어 자물쇠
US5611226A (en) Lockset
US20090190331A1 (en) Lock light
US20030063009A1 (en) Indicator for a lock
KR940004569Y1 (ko) 조명시계를 구비한 자동차키이
GB2216948A (en) An improved door lock asembly
JP2000274120A (ja) 番号錠用照明装置
JP3577453B2 (ja) ロック装置
GB2298233A (en) Lock alarm warning of un-removed key.
JPH08284496A (ja) キーヘッドケース
KR920004873Y1 (ko) 차량의 도어(Door)잠금장치
JPH0579258A (ja) 鍵穴表示機能付きドア
USD427881S (en) Face portions of housing and handle assemblies for latches and locks
JPH0610472Y2 (ja) ライト付防犯ブザー
JPS5820047Y2 (ja) 照明装置を有する自動車用ドア錠
JPH04194284A (ja) 鍵穴付き電気錠
JPS5924776Y2 (ja) 錠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