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287Y1 - 동물 어미 아들 완구 - Google Patents

동물 어미 아들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287Y1
KR900001287Y1 KR2019850003836U KR850003836U KR900001287Y1 KR 900001287 Y1 KR900001287 Y1 KR 900001287Y1 KR 2019850003836 U KR2019850003836 U KR 2019850003836U KR 850003836 U KR850003836 U KR 850003836U KR 900001287 Y1 KR900001287 Y1 KR 900001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mother
gear
s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35U (ko
Inventor
노리유끼 고구치
Original Assignee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filed Critical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05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with self-moving head or fa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물 어미 아들 완구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동물 어미, 아들 완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어미 완구체와 아들 완구체를 분리한 상태의 설명도.
제3도는 어미 완구체와 아들 완구체의 작동 설명도.
제4도는 어미 완구체와 아들 완구체의 기모 피복체 등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어미 완구체의 머리체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에서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에서의 B-B선 단면도.
제9도는 구동기구부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구동기구부의 치차 연동기구와 캠반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의 C-C선 단면도.
제12도는 스위치 기구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미 완구체 2 : 아들 완구체
3 : 기모피복체 4 : 머리체
5 : 기모 피복체 6 : 피복체
7 : 건전지 케이스 8 : 탄성부재
9 : 건전지 케이스 10 : 탄성부재
11 : 다리체 12 : 탄성부재
13 : 팔체 14 : 탄성부재
15 : 꼬리체 16 : 건전지
17 : 지지대 18 : 원반
19 : 보스부 20 : 팔막대
21 : 탄성부재 22 : 팔체
23 : 가동단자 24 : 코일스프링
25 : 스톱퍼 26 : 목틀
27 : 고리형상홈 28 : 경사면부
29 : 걸림막대 30 : 지지편
31 : 지지축 32 : 긴 안내홈
33 : 코일스프링 34 : 머리체틀
35 : 머리체 36 : 얼굴틀
37 : 뒷머리틀 38 : 요입부
39 : 미끄럼 동작편 40 : 눈알
41 : 코 44 : 틀판
45 : 틀막대 46 : 돌출부
47 : 돌출편 48 : 요입부
49 : 끝단가장자리부 50 : 걸림편
51 : 걸어맞춤 돌출편 52 : 전동기
53 : 피니언 54 : 치차연동기구
55 : 감속치차 56 : 고정단자
57 : 접촉편 58 : 회전축
59 : 고석치차 60 : 저속치차
61 : 출력치차 62 : 입력치차
63 : 캠반 64 : 걸어맞춤면부
64 : 압동돌기 66 : 안내경사면
67 : 압동면 68 : 승강막대
69 : 변환치차 70 : 스페이서
71 : 미끄럼 동작막대 72 : 코일스프링
73 : 크랭크 샤프트 74 : 구동치차
75 : 중계치차 76 : 크랭크 아암
77 : 미끄럼 동작통 78 : 크랭크 샤프트
79 : 입력치차 80 : 코일스프링
81 : 크랭크 아암 82 : 로울러
83 : 미끄럼 동작기판 84 : 회동중심축
85 : 회동판 86 : 보스
87 : 나사못 88 : 삽입간극
89 : 걸어맞춤돌기 90 : 걸어맞춤요입부
91 : 연결막대 92 : 다리편
93 : 걸림돌기부 94 : 코일스프링
95 : 개구부 96 : 귀체
본 고안은 소정의 활동동작을 행하는 어미, 아들 완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어미 고양이 완구체와 아들 고양이 완구체로 되는 소위 어미아들 고양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동물 활동완구에 대하여 각양 각색의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것들은, 통상은, 소정의 동물 형태를 모방하여 형상함과 동시에, 그 완구체는 당해 동물의 상태 동작을 모방한 활동 동작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것들은, 소정의 동물의 단일체를 기초로한 동물활동완구체가 대부분이며, 또한 그 활동동작도 단일체로서의 상태동작을 모방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동물의 상태 동작에는 어미 아들관계라는, 절로 미소짓게 되는 정경을 보아 느낄 수 있는 것이 많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서 된 것으로서, 원하는 동물의 어미 아들관계의 상태를 모방하여 완구체를 구성함과 동시에, 당해 동물의 상태 동작을 모방한 어미아들 관계의 활동 동작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동물 어미아들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어미아들 완구를, 어미 완구체와, 이 어미완구체에 감싸안기는 아들 완구체와로 구성하고, 상기 어미완구체는,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게끔 설치된 머리체내에 전동기를 설치하여, 이 전동기에 크랭크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머리체를 좌우로 저속회동 및 고속회동하는 캠반을 연동 연결하고, 이 전동기에 크랭크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머리체를 좌우로 저속회동 및 고속회동하는 캠반을 연동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에 상기 머리체위로 돌출한 귀체를 앞뒤로 회동하는 크랭크 샤프트를 연동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에 상기 아들완구체를 감싸안는 어미 완구체의 팔의 회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스위치 기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어미 완구체의 팔체를 바깥쪽으로 벌리도록 회동하고, 또한 이 팔체로 아들 완구체를 감싸 안게함과 동시에, 스위치 기구가 폐쇄되어 전동기가 가동되고, 이 전동기가 작동 하면 치차 연동기구를 거쳐서 캠반 및 귀체 작동용 크랭크 샤프트가 연동 회동된다.
그리고, 캠반의 회동에 의하여 크랭크 샤프트가 연동되고, 또한 이 크랭크 샤프트가 저속회동되는 경우에는, 어미 완구체의 머리체는 천천히 좌우 방향으로 왕복회동 되며, 또한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회동이 변환되어 저속 회동되는 경우에는, 어미 완구체의 머리체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동되며, 그리고 상기 동작이 소정의 간격마다 교대로 변환되어서 연속 동작된다.
또한 상기 귀체 작동용 크랭크 샤프트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머리체의 좌우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중에 있어서, 양쪽의 귀체가 앞뒤 방향으로 교대로 회동 동작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1)은 동물인 고양이의 형태를 완구 특유의 형태로 개작하여 구성한 어미 완구체이고, 또한 (2)는 상기 어미 완구체(1)에 감싸안기는 아들 완구체이다.
그리고 상기 어미완구체(1)는 전체가 기모 피복체(3)로 피복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아들 완구체(2)는 머리체(4)가 기모피복체(5)로 피복되어 있음과 동시에, 머리체(4) 이외는 직물지 등의 피복체(6)로 피복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어미완구체(1)는, 건전지 케이스(7)와, 이 건전지 케이스(7)의 바깥 둘레를 피복한 스폰지 등의 연한 탄성부재(8)와에 의하여 상기 기모피복체(3)의 피복된 몸통체(9)가 형성되고, 이 몸통체(9)의 아래끝단 양측부에 스폰지 등의 연한 탄성부재(10)를 상기 기모피복체(3)로 피복한 좌우의 다리체(11)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연결설치되며, 또한, 상기 몸통체(9)의 상부 일측부에 스폰지 등의 연한 탄성부재(12)를 상기 기모 피복체(3)로 피복한 안쪽의 팔체(13)가 측방으로 부터 전방측쪽으로 향하여 약간 만곡된 상태로 연결 설치되고, 또한 상기 몸체통체(9)의 아래끝단 뒷부분에 스폰지 등의 연한 탄성부재(14)를 상기 기모피복체(3)로 피복한 꼬리체(15)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통체(9)의 건전지 케이스(7)내에는 그 아래쪽으로 부터 건전지(16)가 장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끔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건전지 케이스(7)의 윗끝단부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지지대(1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대(17)의 다른쪽 아래부분에 즉, 상기 한쪽 팔체(13)와 반대쪽에 스위치 기구로서의 원반(18)이 수평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게끔 설치되며, 이 원반(18)의 보스부(19)에 다른쪽 팔막대(20)의 기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팔막대(20)는 측방부로 부터 전방쪽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팔막대(20)의 앞쪽부에는 스폰지 등의 연한 탄성부재(21)가 장착되며, 이 팔막대(20)와 이것을 심재로 한 연한 탄성부재(21)가 상기 기모 피복체(3)로 피복되어서 다른쪽 팔체(2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반(18)위에는 도전성의 가동 단자(23)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원반(18)과 상기 지지대(17)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4)이 인장 설치되며, 이 코일스프링(24)에 의하여 원반(18)이 항상 안쪽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 원반(18)에 연결한 상기 다른쪽 팔체(22)는 상기 몸통체(9)에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7)의 소정위치에 상기 코일스프링(24)으로 힘을 받고 있는 원반(18)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25)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지지대(17)의 상부에 합성수지로 형성된 목틀(26)이 한쪽 앞쪽으로 경사져서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이 목틀(26)의 바깥둘레에 경사 상태로 고리형상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목틀(26)의 경사면부(28)에서의 경사 상부에 걸림막대(29)가 돌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부(28)의 중간부에 한쌍의 지지편(30)이 지지축(31)을 사이에 두고 회동이 가능하게끔 설치되며, 이 한쌍의 지지편(30)의 선단부 사이에 긴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한쌍의 지지편(30)의 뒤끝단부 사이에 상기 걸림막대(29)가 사이에 있게 되고, 또한 이 한쌍의 지지편(30)의 뒤끝단부 사이에 코일스프링(33)이 길게 설치되어 이 코일스프링(33)으로 특별한때는 상기 긴 안내홈(32)이 형태를 유지 하도록 되어 있고, 보통때에는 코일스프링(33)에 저항하여 긴 안내홈(32)이 넓게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틀(26)의 상부에 머리체틀(34)을 상기 기모피복체(3)로 피복한 머리체(35)가 분할 형성되며, 이 얼굴틀(36)과 뒷머리틀(37)이 상대하는 아래끝단 중앙부에 상기 목틀(26)의 긴안내홈(32)내로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걸어 맞춤하는 원호형상의 요입부(38)를 가지는 미끄럼 동작편(3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얼굴틀(36)과 뒷머리틀(37)과는 합체 되어서 복수의 나사못(42)으로 착탈이 가능하게끔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머리틀체(34)내에 기구틀(43)이 내장되며, 이 기구틀(43)의 상하의 틀판(44)을 지지한 틀막대(45)의 돌출부(46)가 상기 얼굴틀(36)의 안쪽에 돌출된 걸림편(47)의 요입부(48)내에 걸어 맞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43)의 상하의 틀판(44)에서의 다른쪽의 끝단 가장자리부(49)가 상기 뒷머리틀(37)의 안쪽에 돌출된 걸림편(50)에 걸어 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기구틀(43)을 내장한 상태에서의 얼굴틀(36)과 뒷머리틀(37)과 각각에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편(51)이 맞닿아서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기구틀(43)에서의 상하의 틀판(44)사이에 전동기(52)가 고정되며, 이 전동기(52)의 출력측에 고정붙임된 피니언(53)에 치차 연동기구(54)의 감속치차(55)가 치치 맞춤되어 있다.
상기 전동기(52)는 상기 건전지(16)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 기구로서의 한쌍의 고정단자(56)가 상기 지지대(17)에 고정되고, 이 양고정단자(56)의 접촉 핀(57)이 근접상태로 연장되어 존재하고, 이 양 접촉편(57)에는 상기 원반(18)의 회동에 의하여 그 가공단자(2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43)에서의 상하의 틀판(44)사이에 회전축(58)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침되며, 이 회전축(58)의 상하부에 상기 머리체(35)를 빠른 속도로 좌우로 회동하는 고속치차(59) 및 상기 머리체(35)를 느림속도로 좌우로 회동하는 저속치차(60)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침되고, 이 고속치차(59) 및 저속치차(60)는 상기 치차 연동기구(54)에 치차 맞춤으로 연동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58)의 아래부분에 상기 치차연동기구(54)의 출력치차(61)에 치차 맞춤한 입력치차(62)가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회전축(58)의 아래 부분에 캠반(63)이 일체로 고정 불이되어 있다.
상기 캠반(63)은, 합성수지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부 바깥 둘레에는 걸어맞춤면부(64)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면부(64)의 소정위치에 소정의 간격부 두고 복수의 압동돌기(65)가 대략 산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각 산형상의 각 압동돌기(65)는, 회동방향의 일측부가 경사진 안내경사면(66)을 가짐과 동시에, 이 안내 경사면(66)에 연속한 꼭대기부에 압동면(67)을 가지게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43)에서의 상하의 틀판(44)사이에 승강막대(68)가 오르내림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침되며, 이 승강막대(68)의 중간에 상기 고속치차(59) 및 저속치차(60)에 교대로 치차 맞춤하는 변환치차(69)가 고정 붙입되고, 이 변환치차(69)의 아래부분에 스페이셔(70)를 사이에 두고, 그 선단부를 상기 캠반(63)의 걸어맞춤면부(64)에 걸어맞춤한 합성수지제의 미끄럼 동작막대(71)가 끼워 넣어 걸려 있다.
또한 상기 변환치차(69)와 상기 윗부분의 들판(44)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승강막대(63)에 코일스프링(72)이 감겨지고, 이 코일스프링(72)으로 승강막대(68)의 변환치차(69)는 보통때는 저속치차(60)에 치차맞춤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43)에서의 상하의 틀판(44)사이에 크랭크 샤프트(73)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침되며, 이 크랭크 샤프트(73)의 중간에 구동치차(74)가 일체로 고정붙입되고, 이 구동치차(74)는 상기 변환치차(69)에 항상 치차 맞춤 연동되는 중계치차(75)에 치차 맞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 샤프트(73)의 아래끝 단부에 형성된 크랭크 아암(76)에 미끄럼 동작통(77)이 일체로 끼워 붙임하여 걸리고, 이 미끄럼 동작통(77)은 상기 한쌍의 지지편(30)사이에 형성된 긴 안내홈(32)내에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틀(43)에서의 상하의 틀판(44)사이에 크랭크 샤프트(78)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침되며, 이 크랭크 샤프트(78)의 아래부분에 일체로 고정 붙임된 입력치차(79)가 상기 치차 연동기구(54)에 치차 맞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력치차(78)와 상기 상부틀판(44)과의 사이에서의 크랭크 샤프트(78)에 코일스프링(80)이 감겨 있음과 동시에, 이 크랭크 샤프트(78)의 상단부에 형성된 크랭크 아암(81)에 로울러(82)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져 있다.
다음에, 상기 기구틀(43)에서의 상부틀판(44)위에 미끄럼동작 기판(83)이 일체로 튀어나와 성형되며, 이 미끄럼 동작기판(83)의 중심부에 일체로 세워 설치된 회동 중심축(84)에 회동판(85)이 그 베어링용보스(86)를 사이에 두고 회동이 자유롭게끔 장착되고, 이 보스(86)로 부터 상기 회동 중심축(84)에 나사못(87)이 나사맞춤하여 걸려 있다.
상기 회동판(85)에는 양측부에 소정의 삽입 간극(88)을 두고 돌출 설치된 한상을 1조로 하는 걸어 맞춤돌기(89)가 상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회동판(85)의 한쪽 아래 가장자리부에 상기 크랭크 샤프트(78)의 로울러(82)를 회동이 자유롭게끔 걸어 맞춤한 걸어 맞춤 요입부(90)가 일체로 튀어나와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85)의 상대하는 걸어맞춤돌기(89)의 삽입간극(88)내에 연결막대(91)의 양끝단부에 고정 붙임된 합성수지제의 다리편(92)이 끼워 붙임되며, 이 양측의 다리편(92)의 상부에 돌출한 걸림돌기(93)에 코일스프링(94)의 아래끝단부가 고정붙임되고, 이 양측의 코일스프링(94)의 아래끝단부가 고정 붙임되고, 이 양측의 코일스프링(94)은 상기 머리체를(34)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95)로 부터 윗쪽으로 돌출되며, 또한 이 양측의 코일스프링(94)은 상기 기모피복체(3)로 피복되어서 코일스프링(94)을 심재로 하는 귀체(96)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미완구체(1)의 오른손쪽의 팔체(22)를 바깥쪽으로 벌리도록 회동되게 함과 동시에, 이 팔체(22)와 몸통체(9)와의 사이에 아들완구체(2)를 넣어서, 어미완구체(1)에 아들완구체(2)를 감싸안기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팔체(22)와 일체인 원반(18)이 코일스프링(24)에 저항하면서 연동 회동됨과 동시에, 이 원반(18)위에 설치된 가동단자(23)가 양측의 고정단자(56)의 접촉편(5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치 기구가 폐쇄되어서 전동기(52)가 가동된다.
이 경우, 즉 어미완구(1)가 아들완구체(2)를 감싸고 안고 있는 상태의 경우에는, 아들완구체(2)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기구의 폐쇄상태가 유지되어 계속된다.
그리고, 전동기(52)가 작동하면, 그 피니언(53)에 치차 맞춤한 감속치차(55)를 사이에 두고 치차 연동기구(54)가 연동회동된다.
상기 치차 연동기구(54)가 회동되면, 이것에 치차 맞춤한 입력치차(79)를 사이에 두고 크랭크 샤프트(78)가 회동됨과 동시에, 이 크랭크 샤프트(78)의 크랭크 아암(81)이 로울러(82)를 사이에 두고 걸어맞춤 요입부(90)내에서 회동되며, 이 크랭크 아암(81)에 의하여 걸어맞춤 요입부(90)를 사이에 두고 회동판(85)이 회동 중심축(84)을 중심으로 하여 미끄럼동작기판(83)상에서 소정의 회동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요동하며 회동된다.
또한, 회동판(85)이 회동되면, 이 양측의 상대되는 걸어맞춤 돌기(89)사이에 걸어 맞춤하여 지지된 연결막대(91)에 설치된 코일스프링(94)을 심재로 하는 양쪽 귀체(96)가 비교적 느린 템포로서 교대로 앞뒤로 움직인다.
이 경우, 양측의 귀체(96)는 코일스프링(94)을 심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의 귀체(96)는 부드럽게 진동하면서 앞뒤로 움직인다.
따라서, 어미고양이가 아들 고양이를 감싼 상태에서 귀를 흔들면서 듣고 귀를 세워서 주위를 경계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치차 연동기구(54)가 회동되면, 이것에 연동 연결된 회전축(58)이 회동됨과 동시에, 이 회전축(58)에 굴대 붙임한 고속치차(59), 저속치차(60) 및 캠반(63)이 연동회동 된다.
그리고, 승강막대(68)에 고정 붙임된 변환치차(69)가 저속치차(60)에 치차 맞춤하고, 또한 이 승강막대(68)의 아래쪽 부분에 연결 설치된 미끄럼 동작막대(71)의 선단부가 상기 회동중인 캠반(63)의 걸어맞춤면부(64)에 걸어 맞춤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연동회동중인 저속치차(60)에 의하여 변환치차(69) 및 중계치차(75)를 사이에 두고, 구동치차(74)가 연동회동되며, 이 구동치차(74)의 회동으로 크랭크 샤프트(73)가 회동됨과 동시에, 이 크랭크 샤프트(73)의 크랭크아암(76)이 미끄럼동작통(77)을 사이에 두고 긴 안내홈(32) 내에서 회동된다.
이 경우 긴 안내홈(32)은 위치 고정적으로 목틀(26)의 경사면부(28)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편(30)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 샤프트(73)에 의한 크랭크 아암(76)의 회동은 긴 안내홈(32)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으로 변환 되며, 이 변환 운동에 의하여, 크랭크 샤프트(73)을 굴대 걸침한 기구틀(43) 및 이 기구틀(43)을 일체적으로 내장한 머리체틀(34)이 그 미끄럼 동작편(39)을 사이에 두고 목틀(26)의 고비형상 홈(27)을 따라서 미끄럼 동작되어 좌우 방향으로 요동회동 한다.
따라서, 어미완구체(1)는 머리체(35)를 비교적 느린 템포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회동하여, 마치 어미고양이가 아들 고양이를 감싼 상태로 얼굴을 느린 템포로 좌우로 흔들어서, 아들 고양이를 잠자게 하는 것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크랭크 샤프트(78)는 치차 연동기구(54)의 회동으로 계속하여 연동회동되고 있기 때문에, 어미완구체(1)의 양쪽 귀체(96)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나타내고 있으므로, 어미고양이가 소리 듣는 귀를 세워서 주위를 경계하면서 아들고양이를 느린 템포로 잠자게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이나 뺨을 맞대 비비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캠반(63)이 계속 회동되고 있기 때문에, 이 캠반(63)은 승강막대(68)의 미끄럼 동작막대(71)의 선단부를 그 걸어맞춤면부(64)에 미끄럼 접촉상태에서 회동하고 있으나, 이 캠반(63)의 압동돌기(65)가 미끄럼동작막대(71)의 선단부에 차례로 가까와지고, 그리고 압동돌기(65)에 미끄럼동작막대(71)의 선단부가 맞부딪침과 동시에, 그 미끄럼 동작막대(71)의 선단부가, 압동돌기(65)에 압동되어서 그 안내경사면(66)을 따라서 차례로 압동되어, 결국에는 그 압동면(67)을 올라타서, 압동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미끄럼 동작막대(71)와 일체인 승강막대(68)는 코일스프링(72)에 저항하여 눌러 올려지며, 이 승강막대(68)에 고정붙임된 변환치차(69)는 저속치차(60)로 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이것을 대신하여 고속치차(59)에 치차 맞춤되고, 변환치차(69)는 저속치차(60)보다 고속으로 회동하는 고속치차(59)에 의하여 연동회동된다.
그리고, 이 변환치치(69)에 중계치차(75)를 사이에 두고 치차 맞춤된 구동치차(74)는 고속으로 연동회동 되며, 이 구동치차(74)를 갖춘 크랭크 샤프트(73)는 상기의 경우에 비하여 고속으로 회동되고, 그 크랭크 아암(76)을 사이에둔 긴 안내홈(32)을 중심으로 한 상기와 같은 변환 운동이 행하여 지고, 이 동작에 의하여 머리체틀(34)은 목틀(26)의 고리형 상홈(27)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 회동된다.
따라서, 어미완구체(1)는 머리체(35)를 비교적 빠른 템포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 회동하여, 마치 어미 고양이가 아들 고양이를 감싼 상태에서 얼굴을 빠른 템포로 좌우로 흔들면서 뺨을 맞대 비비거나 내지는 기분을 맞추도록 달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크랭크 샤프트(78)는 치차 연동기구(54)의 회동으로 계속 연동회동되고 있기 때문에, 어미완구체(1)의 양쪽 귀체(96)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나타내고 있으므로, 어미 고양이가 소리듣는 귀를 세워 주위를 경계하면서 아들 고양이를 빠른 템포로 뺨을 맞대 비비거나 내지는 기분을 맞추도록 달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캠반(63)이 동시에 회동되고, 미끄럼 동작막대(71)의 선단부가 그 압동면(67)으로 부터 떨어지면, 미끄럼동작막대(71)를 가지는 승강막대(68)는 코일스프링(72)의 복귀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미끄럼동작됨과 동시에, 그 미끄럼 동작막대(71)의 선단부가 재차 캠반(63)의 걸어맞춤 면부(64)에 걸어맞춤되며, 이 걸어맞춤부(64)의 회동에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막대(68)의 상기 하강동시에 그 변환 치차(69)는 고속치차(59)로 부터 떨어지고, 이것을 대신하여 재차 저속치차(60)에 치차 맞춤되며, 이 저속치차(60)에 의하여 연동회동 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하여 어미완구체(1)는 머리체(35)를 재차 상기와 같이 비교적 느린 템포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 회동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캠반(63)의 회동으로, 승강막대(68)의 미끄럼 동작막대(71)에서의 선단부가 그 걸어맞춤면부(64)와 복수의 압동돌기(65)에 대하여 걸리고 떨어짐에 의하여 승강막대(68)의 변환치차(69)가 고속치차(69)와 저속치차(60)에 변환되어 치차 맞춤 연동됨과 동시에, 이것에 연동되어 어미완구체(1)는 아들 완구체(2)를 감싸안은 상태로 양쪽 귀체(96)를 교대로 앞뒤로 움직이면서 아들완구(2)에 대하여 얼굴을 맞대 비벼 대면서 비교적 느린 템포와 비교적 빠른 템포를 교대로 변환하면서 잠자게 하기도 하고, 뺨을 맞대 비비기도 하고, 때로는 기분을 맞추도록 달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원하는 동물을 모방하여 형성한 어미완구체에 아들 완구체를 감싸 안기도록 함으로써, 고양이 등의 원하는 동물의 어미아들 관계의 상태를 모방한 완구체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들 완구체를 어미완구체에 감싸안기게 하기 위하여 그 팔체를 회동하면 스위치 기구가 폐쇄되고 이스위치 기구의 폐쇄 상태는 감싸안긴 아들 완구체에 의하여 확실하게 유질할 수가 있으며, 그 때문에 특히 스위치의 개폐조작이나 그 상태유지를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 조작이 용이하고, 더구나 어미완구체에 아들완구체를 감싸안기게 하면 동시적으로 어미완구체가 소정의 동작을 개시하기 때문에 그 동작이 자연스러워서 극히 홍취 깊은 것이다.
또한, 어미완구체는, 아들 완구체를 감싸안은 상태로 귀체를 움직이면서 머리체를 좌우 방향으로 흔들고 그 얼굴을 아들 완구체에 가깝게 하여 비교적 느린 동작으로 잠자게 하기도 하고, 뺨을 맞대 비비기도 하고, 때로는 비교적 빠른 동작으로 기분을 맞추도록 달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어서, 원하는 동물의 상태 동작에서의 어미 아들 관계라는 미소짓게 하는 정경을 야기할 수 있는 흥취같은 동물 어미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어미완구체(1)와, 이 어미완구체(1)에 감싸 안긴 아들 완구체(2)로서 되며, 상기 어미완구체(1)는,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게끔 설치된 머리체(35)와, 이 머리체(35)내에 설치된 전동기(52)와, 이 전동기(52)에 연동 연결되어 크랭크 샤프트(7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머리체(35)를 좌우로 저속회동 및 고속회동 하는 캠반(63)과, 상기 전동기(52)에 연동 연결되고 상기 머리체(35)위로 돌출한 귀체(96)를 앞뒤로 회동하는 크랭크 샤프트(78)와, 상기 전동기(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아들 완구체(2)를 감싸안는 어미완구체(1)의 팔체(22)의 회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스위치 기구로서의 원반(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어미아들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캠반(63)은 위아래에 고속치차(59) 및 저속치차(60)를 부착한 회전축(58)의 일끝단부에 고정붙임되어, 상기 고속치차(59) 및 저속치차(60)는 치차 연동기구(54)를 사이에 두고, 전동기(52)에 연동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어미 아들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머리체(35)를 좌우로 회동하는 크랭크 샤프트(73)는, 캠반(63)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오르내리는 승강막대(68) 및 승강막대(68)에 고정 붙임된 고속치차(59) 및 저속치차(60)에 대하여 교대로 치차 맞춤하는 변환치차(69)를 사이에 두고 회동이 자유롭게끔 연동 연결되어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물 어미 아들 완구.
KR2019850003836U 1984-11-08 1985-04-08 동물 어미 아들 완구 KR90000128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35454A JPS61113490A (ja) 1984-11-08 1984-11-08 動物親子玩具
JP235454 1984-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35U KR860006635U (ko) 1986-06-25
KR900001287Y1 true KR900001287Y1 (ko) 1990-02-20

Family

ID=1698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836U KR900001287Y1 (ko) 1984-11-08 1985-04-08 동물 어미 아들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13490A (ko)
KR (1) KR9000012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13490A (ja) 1986-05-31
JPH0363396B2 (ko) 1991-09-30
KR860006635U (ko) 1986-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030Y1 (ko) 활동 완구
KR860002946Y1 (ko) 그네 완구
EP2051787B1 (en) Dolls with alterable facial features
KR860002944Y1 (ko) 동물활동 완구
US7322874B2 (en) Expression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eable eyes
JPS6133599B2 (ko)
JP2000176182A (ja) 歩行装置
US7364489B1 (en) Electromechanical toy
US7207859B1 (en) Realistic animatronic toy
US3858353A (en) Animated dancing doll
US3164924A (en) Animated figure toy
CA1063350A (en) Sucking doll with cheek flexing means operated by turning bottle
KR900001287Y1 (ko) 동물 어미 아들 완구
US5451180A (en) Toy with a movable figure
KR910003625B1 (ko)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US2565603A (en) Doll
US2616216A (en) Doll
US2813372A (en) Slow-closing doll's eye assembly
JPS6130592B2 (ko)
JPH0265887A (ja) 動作玩具
KR860001666Y1 (ko) 동물 활동 완구
JP2664040B2 (ja) 眼球駆動装置
JP2507705Y2 (ja) 人形玩具
GB2170726A (en) A glove puppet figure assembly
JPS61255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