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068Y1 -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68Y1
KR900001068Y1 KR2019860013356U KR860013356U KR900001068Y1 KR 900001068 Y1 KR900001068 Y1 KR 900001068Y1 KR 2019860013356 U KR2019860013356 U KR 2019860013356U KR 860013356 U KR860013356 U KR 860013356U KR 900001068 Y1 KR900001068 Y1 KR 900001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transistor
recording
switch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130U (ko
Inventor
전수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3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068Y1/ko
Publication of KR880005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제어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 2 :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
3 : 레코딩/모니터 앰프 4 : 녹음바이어스 회로
5 : 다기능 제어용 집적회로 소자
본 고안은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각 데크의 재생기능, 마이크 녹음기능, 튜너 및 포노(PHONO)녹음 기능 및 복사 녹음기능 등의 다기능이 요구되는 경우, 각 기능간의 연계작용이나 독자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한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이하, 더블데크 카세트로 약칭함)의 다기능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더블데크 카세트에 있어서는 A/B데크 재생기능, 마이크 녹음기능, 튜너 및 포노 녹음기능 및 복사녹음기능 등의 다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각 기능 간의 연계작용이나 독자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다기능제어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다기능 제어를 위해 다단의 기계적 스의치를 사용한 것이 있었으나, 이러한 다단의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한 종래의 다기능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1) 매우 복잡한 다단의 스위치가 소요되어 회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2) 구성이 복잡함으로 인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3) 다단의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른 조작상의 불편함을 초래함과 아울러, (4) 다수의 스위치 조작시 사용자의 오조작으로 인하여 의도하는 기능를 수행하지 못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반도체 집적소자를 사용하여 다기능 제어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회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상기한 다가능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한 더블데크 카세트의 다기능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더블데크 카세트의 다기능 제어회로의 구성 및 동작과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제어회로의 개략적 구성되로서, A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와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2). 레코딩/모니터 앰프(3) 및 녹음바이어스회로(4) 사이의 효과적인 기능 제어를 위해 다기능 제어용 집적회로소자(5)을 이득 각부분(1) 내지 (4)사이에 연결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다기능 제어용 집적회로소자(5)의 구체적인 회로구성과 상기 각부분(1) 내지 (4) 사이의 구체적인 연결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다기능 제어용 집적회로소자(5)는 제어용 트랜지스터(Q1)내지 (Q8)와 저항(R1)내지 (R26) 및 제어용 다이오드(D1)내지 (D8)으로 구성되어 각부분(1) 내지 (4)사이의 연결상태는 다음과 같다.
튜너 및 포노 입력(L),(R)은 다이오드(D5).(D6),(D7), (D8)을 통하여 기능선택 스위치(S3-2),(S3-3)의 포노 및 튜너단자(PH),(TU)에 인가되고 다이오드(D5),(D6)를 통한 신호는 저항(R21),(R22)을 통하여스위치(S3-4),(S3-5)의 모노 및 튜너단자(PH),(TU)에 공통 접속된다.
기능선택 스위치(S3-4),(S3-5)의 테이프단자(TA)는 각 저항(R19,R17). (R18,R16)를 통하여 A 및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2)의 출력에 접속되고, 앰프(1)의 입력단은 헤드(H1,H2)에 의해 재생된신호가 입력되며. 앰프(2)의 입력만은 녹음/재생선택 스위치(S4-2),(S4-4)의 공통단자에 연결되며, 이스위치(S4-2),(S4-4) 의 녹화단자(R)는 다이오드(D3). CD2)를 거쳐 내장된 마이크(M1)에 연결되고, 녹음/재생선택 스위치(S4-3),(S4-5) 재생단자(P)는 레코딩/모니터 앰프(3) 및 녹음 바이어스 회로(4)의 출력단, B데크용 녹응재생 헤드(H3)와 소거헤드(H4)의 일만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S4-4, S4-4)의 재생단자(P)와 스위치(S4-3, S4-5)의 녹와단자(R)은 모두 B데크용 헤드(H3) 및 헤드(H4)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레코딩/모니터 앰프(3)의 출력은 저항(R12) 및 (R13)을 거친 후 기능선택 스위치(S3-2),(S3-3)를 통하여 L과 R신호의 출력단(I.OUT),(R OUT)으로 출력되고,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7),(Q8)의 콜렉터는 상기 저항(R12). CR13) 및 스위치(S3-2),(S3-3)이 테이프단자(TA)에 연결되고, 베이스는 함께 접속되어 저항(R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 저항(R11.R20) 및 콘덴서(C1)를 통하여 마이크(M1)와 다이오드(D2, D3)에 연결된다.
한편, 포노 및 튜너 전원(TUNER B+).(PHONO B+)은 기능 선택스위치(S3-1)의 포노 및 튜너단자(PH).(TU)를 통하여 전원(B+)이 인가됨과 동시에 각각의 저항(R23-R26)을 통하여 다이오드(D5-D8)에 연결되고, 기선택스위치(S3-1)의 테이프단자(TA)는 트랜지스터(Q3, Q4)의 콜렉터와 저항(R3)을 통하여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3, Q4)의 에미터는 저항(R10)(R15)를 통하여 A 및 B데크용 이퀄라이저 앰프(1)(2)에 연결된다.
또한 일만에 전원전압(B+)이 안가되는 A및 B 데크 모터데크선택용 스위치(S1),(S2)의 타단은 A 및 B(MA),(MB)에 연결되고 스위치(S1)의 타단은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6),(R5)을 거쳐 트랜지스터(Q4, Q5)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는 저항(R7) 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 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R6)의 콜렉터는 녹음/재생선택스위치(S4-1)의 녹화 단자(R) 및 저항(14)을 통하여 녹음 바이어스 회로(4)에 연결된다.
상기 공통단자에 전원전압(B+)이 인가되는 스위치(S4-1)의 재생단자는 저항(R1),(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와 콜렉터에 연결 구성되었다.
더블데크 카세트의 다기능 제어회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구성할 경우에 소요되는 스위치는 A데크 선택스위치(S1), B데크 선택스위치(S2). 기능선택스위치(S3) 및 녹음/재생 선택스위치(S4)에 불과하므로 종래의다수의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다기능 더블데크 카세트의 각종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히 제어할 수 있게된다.
그런데, 제2도에서는 기능선택스위치(S3)와 녹음/재생 선택스위치(S4)를 각각 (S3-1) 내지 (S3-5)와 (S4-1)내지 (S4-5)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지 이를은 각각 별개의 스위치 소자가 아니고 단일 기능선택스위치(S3)와 녹음/재생 선택스위치(S4)에 공통접속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H1l)과 (H3)는 각각 A데크 및 B데크용 눅음/재생헤드이고, (H2)과 (H4)는 각각 A데크 및 B데크용 소거이며,(M1)는 내장 콘덴서 마이크이고. 콘덴서(C1)은 평활용 콘덴서이다.
그리고 (MA)와 (MB)는 각각 A데크모터와 B데크모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에 본고안에 따른 다기능 제어회로의 다음 (1)-(3)의 기능 제어시의 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A/B데크 재생기능제어 A데크 또는 B데크의 재생 기능제어를 위해서는 (가) 타기능(튜너 및 포노)의 중첩 또는 간섭과 이에 의한 신호대 잡음비(S/N비)의 약화방지를 위한 타기능 배제의 제어조건과, (나) A데크제생선택시 B데크 재생선택 배제 또는 B데크 재생선택시 A데크 재생선택배제의 제어조건이 성립되어야 하여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기능선택스위치(S3)가 테이프 선택위치(TA)에 접속되면 스위치(S3-2) 내지 (S3-5)에의해 다이오드(D5-D8) 및 저항(R21, R22)을 통해 레코딩 /모니트 앰프(3)에 인가되는 튜너/ 포노입력(L),(R)이 차단되고 또한 스위치(S3-1)에 의해 튜너 및 모노의 전원 차단되어 튜너와 포노의 기능이 배제된다.
이때, 녹음/재생 선택스위치(S4)를 재생선택스위치(P)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A데크 선택스위치(S1)을 온시킴으로써 A데크를 선택하게 되면 스위치(S1) 및 저항(R6)을 통해 제어용 트랜지스트(Q4)에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턴온 되므로 저항(R10)을 거쳐 A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에 전원(B+)이 공급되어 원하는 A데크재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A데크용 헤드(H1,H1)에 의해 A데크에 장착된 데이트 (도시되지 않음)의 내용을 재생하여 A디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를 거친 후, 저항(R19),(R18) 및 스위치(S3-4),(S3-5)를 통하여 레코딩/모니터 앰프(2)에 입력한다.
앰프(3)의 출력은 저항(R12), (R13) 및 기능선택 스위치(S3-2).(S3-3)을 통하여 출력단(L OUT, R OUT)으로 출력되므로 A데크에서 재생되는 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A데크 선택스위치(S1)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B데크 선택스위치(S2)를 동시에 온 시키더라도, A데크 선택스위치(S1)를 통한 전원이 저항(R5)를 거쳐 트랜지스트(Q5)에 인가되어 이 트랜지스터(Q5)를 턴온시키게 되므로 B데크 선택스위치(S2)와 저항(R4)을 통한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전압이 차단되어 트랜지스터(Q3)을 턴 오프 시킴으로써 B에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B데크의 동작을 배제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B데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A데크 선택스위치(S1)를 오프시키고, B데크 선택스위치(B)를 온시키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튜너 및 포노입력신호는 스위치(S3-4),(S3-5)에 의해 차단되고, 튜너 및 포노전원은 기능선택 스위치(S3-1)에 의하여 차단되어 튜너 및 포노의 기능은 배제된다.
스위치(S2)가 온이 되면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리므로 트탠지스터(Q3) 가 온이되고, 스위치(S3-1), 트랜지스터(Q3) 및 저항(R15)을 통하여 B데크용 이퀄라이저 앰프(2)에 전원(B+)이 공급된다.
따라서 B데크용 헤드(H3, H4)에 의해 B데크에 장착된 테이프(도시되지 않음)의 내용을 재생하여 상기앰프(2)에 입력되고 이 앰프(2)의 출력신호는 저항(R17), (R16) 및 스위치(S3-2) 내지 (S3-5), 레코딩/모니터 앰프(3)를 통해 출력단(I OUT. R OUT)으로 출력되므로, B데크에서 재생된 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B데크가 재생동작을 하는 경우에 스위치(S1)를 누르더라도 전원전압(B+)이 스위치(S4-1) 및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온시키므로, 스의치(s1)를 통한 전원(B+)이 트랜지스터(Q4)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여 A데크의 동작은 배재된다.
(2)내장 마이크 녹음기능
내장한 마이크 녹음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 상기한 바와 같은 타기능 동작배제 조건과, (나) 내장 마이크 동작시 스피커와 간섭으로 인한 하울링 방지를 위한 모니터 동작 배제조건이 성립되어야한다.
사용자에 의해 기능선택스위치(S3)가 테이프 선택위치(TA)에 접속되면 상기 제1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너와 포노의 기능에 배제된다.
이때 내장 마이크 녹음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A데크 선택스위치(S1)는 오프, B데크 선택스위치(S2)는 온시키고 녹음/재생 선택스위치(S4)를 레코딩 선택위치(R)에 접속하게 되면 A데크 선택스위치(S1)가 오프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6)를 턴 오프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스위치(S4-1)을 통한 저항(R8)의 전원 공급라인에 간섭이 없게 되고, 저항(R8)을 통한 전원(B+)은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7) 및 (Q8)에 바이어스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트탠지스터(Q7) 및 (Q8)는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저항(R12) 및 (R13)의 후단을 차단하게 되므로 레코딩/모니터 앰프(3)의 출력은 출력단(L OUT. R OUT)을 통하여 출력되지 않아 모니터의 동작이 배재된다.
한편, 전원전압(B+)이 스위치(S4-1) 및 저항(R14)을 통해 녹음바이어스회로(4)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8, R11, R20) 및 콘덴서(C1)를 통해 내장 마이크(M1)에 공급되고, 다이오드(D2) 및 (D3) 및 스위치(S4-2),(S4-4)를 통하여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2)의 입력에 분할 공급된다.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2)의 저항(R16),(R17) 및 스위치(S3-4, S3-5)를 경유하여 레코딩/모니터 앰프(3)에 입력되고, 레코딩/모니터 앰프(3)의 출력은 녹음바이스어스 회로(4)의 출력과 중첩되어 B데크용 녹음/재생헤드(H3) 및 소거헤드(H4)를 동작시켜 B데크에 장착된 테이프에 녹음하므로서 내장 마이크 녹음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3)A→B 복사 녹음기능
복사 녹음 기능을 수행학 위해서는 (가)상기에 언급한 타기능 배재조건과, (나) 복사동가시 내장 마이크를 동작에 의한 중첩 방지를 위하여 내장 마이크 동작 배제조건이 성립되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해 기능선택스위치(S3)가 테이프 선택위치(TA)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와 포노의기능이 배제되고, A→B복사 녹음 기능을 위해서는 A데크 선택스위치(S1) 및 B데크 선택스위치(S2)를 각각 온시키고 녹음/재생 선택스위치(S4)를 레코딩선택스위치(R)에 접속시키게 된다.
A데크 선택스위치(S1)가 온 상태이므르 저항(R6)을 통해 트탠지스터(Q4)에 바이어스가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고 저항(R10)을 경유하여, A에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에 전원이 공급되어 A데크는재생상태가 된다.·
또한, A데크 선택스위치(S1) 및 저항(R5)을 통해 바이어스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어 상기 제1항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2)의 동작은 배제된다.
스위치(S3-1) 및 저항(R3)에 의해 트랜지스터(Q2)에 바이어스를 공급하게 되므로, 저항(R2),(R1)을 통해트랜지스터(Q1)에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이되고, 따라서 다이오드(D1), 저항(R7)을 통해 바이어스가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므로 저항(R8)과 스위치(S4-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7,Q8) 및 마이크(M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내부 마이크 녹음 기능이 배제된다.
또한 스위치(S3-l),(S4-1) 및 저항(R14)을 통하여-녹음 바이어스 회로(4)에 전원이 공급되어 회로(4)가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헤드(H1, H2)에 의해 A데크테이프에 재생되는 내용은 앰프(1)를 통한 후 저항(R19), (R18) 및 스위치(S3-4),(S3-5)를 통해 레코딩/ 모니터 앰프(3)에 인가되고 이 앰프(3)의 출력은 녹음 재생바이어스회로(4)의 출력과 중첩되어 B데크용 녹음/생헤드(H1) 및 소거헤드(H4)를 구동시킴으로서 A데크에서 재생된 내영은 B데크테이프에 녹음된다.
한편, 레코딩/모니터 앰프(3)의 출력은 저항(R12),(R13) 및 스위치(S3-2),(S3-3)을 통하여 출력되므로, A데크 테이프에서 재생되어 B데크로녹음되는 내용을 모니터할 수 있게 된다.
(4)는 튜너 및 포노기능
튜너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타기능은 배제된다.
즉, 튜너 및 포노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A및 B데크의 재생을 위한 앰프(1),(2)의 구동을 배재한다.
기능선택스위치(S3)가 튜너 및 포노 선택위치(TU,PH)에 위치해있고, 데크 선택 스위치(S1,S2)가 모두 오프되어 있으므로, A 및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2)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앰프의 동작은 배재되고, 녹음 바이어스 회로(4)에도 전원은 차단된다.
따라서, 전원(B+)이 스위치(S3-1)을 거쳐 튜너 및 포노 전원이 인가되므로, 튜너입력은 다이오드(D5),(D6) 및 스위치(S3-2),(S3-1)를 거쳐 출력단(L OUT, R OUT)으로 출력된다.
(5) 튜너 및 포노 출력을 녹음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타기능 배제조건이 성립되고, 녹음 기능은 동일하게 수행한다.
튜너 및 포노 입력 스위치(S3-4, S3-5)를 거처 레코딩/모니터 앰프(3)에 인가된다.
이때 스위치(S4)의 위치는 녹확(R)에 위치하게 되므로 저항(R14)을 통하여 녹음 바이어스 회로(4)에 인가되어 녹음바이어스회로(4)는 동작한다.
상기 앰프(3)의 출력은 녹음 바이어스 회로(4)의 출력과 함께 중첩되어 B데크용 헤드(H3, H4)를 구동시김으로써, B데크 테이프에 녹음 할 수 있고, 또한 스위치(S3-2, S3-3)을 거쳐 출력단(L OUT, R OUT)으로 출력되어 모니터를 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제어회로는 (1)약간의 반도제 집적소자를 이용하여 선택스위치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르 뢰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2)에 그에 따라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3)조작상의 간편함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4) 오조작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더블 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A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 앰프(1) 및 B데크용 테이프 이퀄라이저앰프(2)와. 레코딩/모니터 앰프(3)와, 녹음 바이어스회로(4)로 이루어져 여러가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에 있어서, 다이오드(D5,D6),(D7,D8) 및 저항(R21),(R22)을 통한 튜너 및 포트 입력과 A 및 B데크 이퀄라이저 앰프(1)(2)를 통한 A 및 B데크의 재생신호는 기능선택스위치(S3-4, S3-5)를 거쳐 레코딩/모니터 앰프(3)에 입력되고, 상기 레코딩/모니터 앰프(3)의 출력은 스위치(S3-2, S3-3)을 통하여 출력됨과 동시에 녹음 바이어스 회로(4)의 출력과 중첩되며, 전원(B+)이트랜지스터와 저항(Q4, R10).(Q3, R15)을 거쳐 상기 앰프(1),(2)에 공급됨과 동시에 스위치(S4-1)의 녹화단자(R)을 통한 후 저항(R14)을 거쳐 녹음 바이어스 회로(4), 저항(R8,R9,R11)을 거쳐 마이크(M1)에 공급되며, 스위치(S1,S2)를 통한 전원은 각 데크 모터(MA),(MB)에 인가되고, 스위치(S1)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6),(R5)을 거쳐 트랜지스터(Q4),(Q5)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스위치(S2)는 저항(R4)을 거쳐트랜지스터(Q3, Q5)의 콜렉터와 베이스에 연결되고, 베이스가 저항(R3)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2.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여, 상기저항(R1, R2)의 접속점이 스위치(S4-1)의 재생단자(P)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1), 저항(R7)을 거쳐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연결되au,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저항(R9)을 통하여 에미터가 접지되고 콜렉터가 출력단(T-OUT), (R-OUT)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7, Q8)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디기능 제어 회로.
KR2019860013356U 1986-08-30 1986-08-30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KR900001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356U KR900001068Y1 (ko) 1986-08-30 1986-08-30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356U KR900001068Y1 (ko) 1986-08-30 1986-08-30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130U KR880005130U (ko) 1988-05-11
KR900001068Y1 true KR900001068Y1 (ko) 1990-02-15

Family

ID=1925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356U KR900001068Y1 (ko) 1986-08-30 1986-08-30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0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130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068Y1 (ko)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다기능 제어회로
US4847706A (en) Control circuit for double deck cassette tape recorder
KR890002621Y1 (ko) 더블 데크 카세트 녹음기의 더빙 제어회로
KR950010535Y1 (ko) Vcr및 오디오 카세트에서의 더빙회로
JPH0519843Y2 (ko)
JPH0333953Y2 (ko)
KR920004163Y1 (ko) 더블테크 음향기기의 더빙 녹음장치
JPS6338424Y2 (ko)
KR900006807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다기능 녹음 회로
KR91000561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 선택회로
JPH0525046Y2 (ko)
JPS604260Y2 (ja) テ−プレコ−ダ
KR910003213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채널간 간섭 및 노이즈제거회로
JPS5935916Y2 (ja) ラジオ付テ−プレコ−ダ−
JPH0351766Y2 (ko)
KR90001075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기능선택 절환제어회로
KR870001635Y1 (ko) 음향기기의 더빙기능 제어회로
KR910001288Y1 (ko) 1 이퀄라이저 앰프의 더블 덱크 회로
KR900010749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연속재생 및 싱크로 더빙제어회로
JPS5914901Y2 (ja) 記録再生装置
KR910002715Y1 (ko) 더블데크 카세트의 자동스위칭회로
KR950005084Y1 (ko) 오디오 더빙 회로
KR930004043Y1 (ko) 음성 편집기능을 가진 vtr
KR870001188Y1 (ko) 더블 카셋트의 더빙회로
JPS5939296Y2 (ja) テ−プレ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