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032Y1 -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 Google Patents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32Y1
KR900001032Y1 KR2019870011148U KR870011148U KR900001032Y1 KR 900001032 Y1 KR900001032 Y1 KR 900001032Y1 KR 2019870011148 U KR2019870011148 U KR 2019870011148U KR 870011148 U KR870011148 U KR 870011148U KR 900001032 Y1 KR900001032 Y1 KR 900001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astening piece
fixed
piec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66U (ko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시계주식회사
김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시계주식회사, 김정상 filed Critical 삼성시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1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032Y1/ko
Publication of KR890003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의 (a), (b)는 본 고안의 고정결착편축에 조절축 밴드를 결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버클을 결착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측밴드 1 : 조절측밴드
2: 스프링핀 3 : 고정결착편
4 : 회동결착편 5 : 핀
6, 6' : 입편 7, 7' : 돌부 및 요홈
8, 8' : ""형 괘지구 및 거치상괘지부 9, 9' : 돌기
10, 10' : 감착구 및 연출부 11, 11' : 탄지편
12 : 탄지요홈
본 고안은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2단 절첩결착 구성으로 형성한 고정결착편과 회동결착편을 핀으로 회동 자재하게 연결한 다음 고정결착편에는 사용자 임의로 가죽밴드의 길이를 간편히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손목시계용 가죽밴드는 체결핀이 삽착된"D"형 고리가 연결된 고정밴드와 조절공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천공된 조절밴드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었는바, 이는 조절밴드 단부를 고정밴드축의 "D"형 고리에 삽입하여 선택된 조절공에 체결핀을 끼워주는 방법으로 가죽밴드를 체결시켜주기 때문에 "D"형 고리를 통과한 조절밴드의 단부축이 고정밴드 외면에 돌출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가죽밴드는 조절밴드를 체결키 위해 고정밴드의 "D"형 고리에 끼워주는 작업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3개의 결착편이 3단 절첩 구성으로 결착되는 금속재밴드의 버클과 같은 효과를 가져줄 수 있도륵 함에 있어 버클자체를 2개의 고정 및 회동 결착편만으로 연결구성하여 착탈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결착시 가죽밴드의 고정 또는 조절단부가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결착되게하였으며, 또한 해체시에는 가죽밴드 자체의 연결길이를 최대로 벌려 줄수 있으므로서 손목시계의 착탈을 매우 간편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 임의로 가죽밴드의 길이를 간편히 조절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고정측밴드(1)를 버클의 일측 결착편에 스프링핀(2)으로 괘착시켜 주는 것에 있어서, 고정결착편(3)과 회동결착편(4)을 절첩지재하게 핀(6)으로 연결하고, 고정결착편(3)의 조절측밴드(1')연결단 양측에 입설한 입편(6)(6') 외면에 돌출된 돌부(7)의 내측요홈(7')에는 거치상괘지부(8')가 형성된 ""형 괘지구(8)의 양측 삽치돌기(9)(9')를 삽치시키며, 회동결착편(4)의 자유단은 연출부(10')가 형성된 감착구(10)의 양 탄지편(11)(11')에 핀(13)으로 연결하며 또 양탄지편(11)(11') 내면에는 입편.(6)(6')외면의 돌부(7)가 삽치되는 탄지요홈(12)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설명 부호 8"는 ""형 감착구(8)이면에 형성된 요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목시계의 가죽밴드를 고정결착편(3)과 회동결착편(4)에 체착시킴에 있어 먼저 고정측 밴드(1)는 회동결착편(4)의 자유단에 핀(12)으로 체결된 감착구(10)의 양 탄지편(11)(11')에 스프링핀(2)으로서 체착시키고, 조절측밴드(1')는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맞추어 그 연결단을 절단한 다음, 제2도의 도시와 같이 고정결착편(3)의 밴드연결단 양측에 입설한 입편(6)(6')사이에 삽치되어 내측면에 대향 형성된 요홈(7')에 양측 삽치돌기(9)(9')가 삽치고정된 ""형 괘지구(8)를 (a)도와 같이 90°정도 회동시키면 ""형 괘지구(8)는 요홈(7')에 괘지된 삽치돌기(9)(9')를 회동기점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어 거치상괘지부(8')와 고정결착편(3) 밴드연결단 상면 사이의 공간이 확대되므로서 조절측밴드(1')의 연결단 삽입이 용이해지며, 적당히 삽입한 후에는 다시 ""형 괘지구(8)를 반대로 회동시켜주면 거치상개지부(8')가 (b)도와 같이 조절축밴드(1')의 연결단을 압압 괘지하게 된다.
한편, 조절측밴드(l')의 연결단을 압지한 ""형 괘지구(8)를 해지시킬 경우에는 이면에 형성된 요구(8")를 이용하여 간단히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측밴드(1')가 체결된 고정결착편(3)에 회동결착편(4)을 결착시키기 위해 회동시키면 고정결착편(3)의 양 입편(6)(6')과 이에 삽지된 ""형 괘지구(8) 상방에 회동결착편(4)의 감착구(10)가 위치하게되는데,. 감착구(10)의 양 탄지편(11)(11')은 입편(6)(6')을 포삽할 수 있는 폭을 가지며 또한 돌부(7)에 의하여 약간 벌어졌다가 돌부(7)가 탄지요홈(12)에 일치할 때에는 복원되는 탄성력이 있으므르 따라서 ""형 괘지구(8)를 포삽하는 감착구(10)를 압압하여 주면 양 탄지편(11)(11')은 입편(6)(6')외면에 돌설된 돌부(7)에 의해 약간 벌어지면서 압삽되다가 돌부(7)가 탄지요홈(12)에 삽입됨에 따라 좁혀들게 되므로서 감착구(10)는 돌부(7)와 탄지요홈(12)의 결합에 의해 입편(6)(6')에 견고히 결착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감착구(10)의 양 탄지편(11)(11')에 스프링핀(2)으로 체착된 고정측밴드(1)는 회동결착편(4) 상면을 완전히 덮어주고 있게되므로서 (제3도 참조) 손목시계 착용시 고정결착편(3) 및 회동결착편(4)은 조절측밴드(1)에 의해 완전히 은폐된 상태가 되고 금속재로 구성된 버클의 일부분인 감착구(10)만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이므로 가죽밴드를 일체감있게 표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감착구(10)의 연출부(10')는 입편(6)(6')에 협착된 ""형 괘지구(8)의 상면보다 길게 전방으로 연출되어 있으므로서 그연출된 연출부(10')를 이용하여 감착구(10)를 간단하게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절측밴드와 고정측밴드가 체착되는 고정결착편과 회동결착편을 절첩자재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결착시에는 조절측밴드가 회동 결착편 상면을 완전히 덮어 주도록 하여 가죽밴드 자체의 착용길이가 대폭 줄어들게 하며, 반대로 해지시에는 회동결착편의 길이는 물론 결착시 회동결착편 상면을 덮어 주었던 부분까지 늘려 주므로서 손목시계의 착탈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손목시계 착용시 고정측밴드가 회동결착편 즉, 버클 자체를 커버하게 되므로서 가죽밴드용 손목시계의 착용감을 새롭게 할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따라 가죽밴드의 길이를 간편히 조절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고정측밴드(1)를 버클의 일측결착편에 스프링편(2)으로 하고, 고정결착편(3)과 회동결착편(4)이 핀(5)으로 절첩자재하게 연결하고 각 고정결착편(3)과 회동결착편(4)의 입편(6)(6')와 탄지편(11)(11')에 각각 돌부(7)와 탄지요홈(12)을 형성한 동상의 것에 있어서 고정결착편(3)의 조절측 밴드(1')연결단 양측에 입설한 입편(6)(6')외면에 돌출원 돌부(7)의 내측요홈(7')에 거치상패지부(8)가 형성되고 양측면부에 상치돌기(9)(9')를돌설한 ""형 괘지구(8)을 회동 자재하게 삽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용 가죽 밴드 버클.
KR2019870011148U 1987-07-08 1987-07-08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KR900001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148U KR900001032Y1 (ko) 1987-07-08 1987-07-08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148U KR900001032Y1 (ko) 1987-07-08 1987-07-08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66U KR890003266U (ko) 1989-04-13
KR900001032Y1 true KR900001032Y1 (ko) 1990-02-15

Family

ID=1926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148U KR900001032Y1 (ko) 1987-07-08 1987-07-08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0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66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3401B (fi) Solki hihnalle, jossa on joukko paloja
EP0731395B1 (en) Watch band attachment mechanism
US4220017A (en) Convertible finger ring
EP0456381A1 (en) Hanging ornaments for spectacles
JPH03500209A (ja) 着脱―交換自在のストラップを備えた腕時計
JP6603686B2 (ja) 腕時計ストラップ
US6493908B2 (en) Clasp for a bracelet
GB2328138A (en) Watch mounted on the back of the hand
KR100681175B1 (ko) 신속 교체가능한 시계밴드 및 그 부착방법
KR900001032Y1 (ko)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버클
US4542561A (en) Wristlet clasp with unfolding buckle
US6758594B2 (en) Wrist band and wrist watch
US4564982A (en) Clasp for a bracelet or the like
KR97000046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목시계용 버클식 가죽밴드
US20030156500A1 (en) Watch
KR200193507Y1 (ko) 시계줄
KR200162859Y1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JPH0527048Y2 (ko)
CA1124096A (en) Watchbands attachment to a wristwatch
KR200291091Y1 (ko) 손목 시계
KR200208621Y1 (ko) 허리단용 신축 가변장치
JPS6391Y2 (ko)
USD447961S1 (en) Watch and bracelet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US4862562A (en) Device for the adjustable fastening of a strap, especially of a wrist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