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009Y1 - 절연 토롤리선 - Google Patents

절연 토롤리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009Y1
KR900001009Y1 KR2019830004620U KR830004620U KR900001009Y1 KR 900001009 Y1 KR900001009 Y1 KR 900001009Y1 KR 2019830004620 U KR2019830004620 U KR 2019830004620U KR 830004620 U KR830004620 U KR 830004620U KR 900001009 Y1 KR900001009 Y1 KR 900001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ed
trolley
insulating
cov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34U (ko
Inventor
가쓰지 나까지마
다끼쮸우이찌 나까
스스무 다나까
유다까 우시오
Original Assignee
다이니찌 니혼덴센 가부시끼가이샤
아오야마 우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449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82840U/ja
Priority claimed from JP9708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14335U/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찌 니혼덴센 가부시끼가이샤, 아오야마 우끼오 filed Critical 다이니찌 니혼덴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연 토롤리선
제1도는 종래의 절연토롤리선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절연토롤리선올 표시한 사시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절연토롤리선의 지지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4도는 종래의 절연토롤리선의 접속부를 표시한 측면약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절연토롤리선의 접속부분의 일부 종단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Ⅱ화살표방향에서 본 확대부분도.
제7도는 제5도의 Ⅲ-Ⅲ선 단면확대도.
제8도는 제5도의 Ⅳ-Ⅳ선 단면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토롤리선 2,2' : 절연커버
21,22,23 : 보지용홈
본 고안은 동. 알루미늅등의 양도체금속와이어로 된 토롤리선을 절연커버에 의해 씌운 절연토롤리선에 관한 것이다.
절연토롤리선은 통상 공장등의 천정 또는 벽동에 보지금구에 의해 고정배설되고, 공장내를 이동하는 크레인 또는 차량등의 이동용 전기기기의 집전슈우가 절연 토롤리선의 절연커버의 개구부에 있어서 양도체의 토롤리선에 이동중 접촉하여 이 접촉을 보지하므로써 이 이동용 전기기기에 급전(給電)이 이루어진다.
종래 상기 용도에 사용하는 절연토롤리선은 통상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토롤리선(1")위에 절연커버(2")가 씌워져 있으며 이 절연커버의 양측면에 설치된 1쌍의 절연토롤리선 보지용홈(2l", 22") 이 절연토롤리보지금구(3")로 보지된 이른바 2점 지지형태가 범용되어 있다.
도면중 S"는 이동용 전기기기의 집전슈우이며, 이 슈우(S")가 토롤리션(1")에 접촉하여 급전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집전슈우에는 절연토롤리선이 진동 하더라도 슈우와 토롤리선과의 접촉을 보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가 조입되어 있으나 절연토롤리선의 진동(晉動)이 심한 경우에는 상기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고 스파아크 발생등의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절연토롤리선은 상기한 바와 같이 2점으로 지지되어 있고 각지점은 절연커버의 홈에 보지금구의 선단부를 끼운 구성으로서 고정지점이라고는 말하기 어렵고, 회동지점에 가깝다.
따라서 절연토롤리선이 수진진동하기 쉽고 특히 절연토롤시선을 횡향방향으로 고정할때 그 진동이 크다.
본 고안에 관한 절연토롤리선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도체로 된 토롤리선의 외주의 좌우 양측면 및 상면부분을 씌우도록 절연커버를 장착한 절연토롤리선에 있어서 이 절연커버의 양측면과 상면부분의 각각에 절연토롤리선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용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다음에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절연토롤리선의 1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동, 알루미늄등의 양도체 금속으로 된 토롤리선, 2는 이토롤리선의 좌우 양측면 및 상면부분을 씌우도록 토롤리선에 장착된 절연커버로서 절연성의 합성수지, 예컨데 염화비닐, 에폭시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아보네이트 등으로 되어 있다.
21.22는 절연커버(2)의 양측면에 설치된 절연토롤리선의 보지용홈, 23은 절연커버의 상면부분에 설치된 보지용홈 이 다.
상기 절연커버(2)의 양측부분(201. 202)은 토롤리선(1)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연토롤리선이 급전상태에 있을때 인체가 절연토롤리선의 모체부분인 토롤리선(1)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절연커버(2)의 양측부(201.202) 및 토롤리선(1)의 하면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는 이동용 전기기기의 집전슈우(S)의 삽입구로 되는 동시에 집전슈우의 이동시에 있어서 절연토롤리선에 진동이 생겼을 경우 집전슈우가 절연토롤리선으로 부터 양사이드로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도록 집전슈우의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한 의미에서 절연커버(2)의 양사이드부분(201,202)은 어느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측부분(201.202)의 하단부분(211.212)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외방으로 향하는 돌출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절연토롤리선의 지지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절연토롤리선의 보지구(3)의 양사이드편(片) 하단(31. 32)이 토롤리선 절연커버(2)의 양측면에 보지용홈(21.22)에, 중간편 하단(33)이 토롤리선절연커버(2)의 상면의 보지용홈(23)에 각각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리하여 절연토롤리선이 3점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지점 자체가 면접촉으로서 회동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즉 회전지점인데도 불구하고 절연토롤리를 수진진동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또 절연토롤리선의 수진진동시에 토롤리선(1)이 절연커버(2)에서 빠지지 않도록 토롤리선(1)의 단면형상을 도시와 같이 절연커버(2)의 양측부의 보지홈(21,22)과 거의 상사(相似)형상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절연토롤리선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절연토롤리는 공장대의 온도변화에 따라 열신축하기 때문에 절연토롤리의 상기 열신축을 흡수할 수 있는 접속부를 필요로 한다.
예컨데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연토롤리선의 축방향의 임의부분에 있어서 절연커버(2)에 갭부분(9)을설치하는 동시에 토롤리선(1)에 대해서도 절연커버(2)의 갭부분(g)과는 별도의 개소에 있어서 갭부분(G)을설치하고 절연커버(2)의 열신축은 갭부분(g)에서 흡수하고 토롤리선(1)의 열신축은 캡부분(G)에서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13은 갭(G)에서 도통상태가 끊긴 부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양토롤리선(1,1')을 통전하는 본드선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접속구조에서는 갭부분(G)은 절연커버(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 뿐이므로 갭부분(G)에 있어서 절연토롤리선에 요곡이 생겨 그 때문에 절연커버(2)내에서 토롤리선(1,1')이 원활하게 신축되지 않고 절연커버(2)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 양토롤리선(1.1')은 본드선(13)만에 의해서 통전하고 있으므로 전기적접속이 양호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예컨데 전원(40)측의 토롤리선(1')에서 다음의 토롤리선(1)에 이동용 전기기기의 집전슈우(S)가 이동된 직후에는 화살표로 표시한 우회선로를 경유하여 집전슈우(S)에 전기가 공급되게 되어 진기저항량이 급격히 커진다고 하는 불합리가 생긴다.
본 고안의 절연토롤리선에 있어서는 상기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하여 절연토롤리의 접속부분에 있어서의 벤딩 또는 요곡을 확실히 방지하여 토롤리선을 원활히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양호하게 접속할수 있는 접속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절연토롤리선의 접속구조의 1실시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제5도에서 양토롤리선(1, 1')의 좌우방향으로 마주보는 단부(la, 1'a)는 각각 일정길이(L₁, L'₁)만큼 절연커버단연(2a, 2'a)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각단부(1a, 1'a)에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일정길이(L₂, L'₂)를 가진 반(半)분할상 계단부(lb, 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계단부(lb. 1'b)는 서로 상시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반(痢反)접근자제로 포개져 있으며, 또중 합부분(L₃)의 축방향 양단부분에는 갭부분(G, G')이 형성되어 있다.
양 토롤리선(1, 1')을 접촉 보지하기 위한 조인터이어(연결금구)(7,7')는 일정한 축방향 길이를 가진 동등의 금속도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갭부분(G, G') (제6도)에 각 1쌍이 배치되어 있다.
조인터 이어(7. 7')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토롤리선(1, 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 즉 요부(凹部)(6)나 철부(凸部)(5)에 따른 치(沿)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1쌍의 조인터 이어(7. 7')는 스페이서(8)를 끼워서 보울트(B)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양조인터이어(7, 7')는 토롤리선(1, 1')을 사이에 끼고 토롤리선(1, 1')의 표면에 상시 통전 가능한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으나 토롤리선(1, 1')의 조인터이어(7, 7')에 대한 축방향 이동은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스폐이서(8)는 동등의 금속도체로 되어 있다.
양 1쌍의 조인터이어(7. 7') (제5도) 조(組)의 축방향 사이에는 중간절연커버(9)가 배치되어 있고 중간절연커버(9)는 상기 절연커버(2. 2')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구비하고 토롤리선(1, 1')의 중합부(L₃)내(제6도)의 개소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5도 좌측의 조인터이어(7)의 좌측과 제5도 우측의 조인터이어(7')의 우측에는 각각 보조절연커버(10, 10')가 배치되어 있으며 보조절연커버(10, 10')는 상기 절연커버(2. 2')와 같은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토롤리선 단부(la, 1'a)에 각각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5도 좌측의 절연커버(2)와 보조절연커버(10)의 사이와 제5도 우측에 절연커버(2')와 보조절연커버(10')사이에는 각각 1쌍의 피이드인이어(11, 11')가 배치되어 있다.
피이드인이어(11, 11')는 동등의 금속도체로 되어 있으며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토롤리선(1, 1')에 고착되고 또한 통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각 피이드인이어(11. 11') (제5도)와 보조절연커버(10, 10')의 사이에는 절연커버(2. 2')의 열신축흡수부분(g, g') 이 존재한다.
각 피이드인이어(11, 11')에는 도체플레이트(12, 12')가 고착되어 있으며 양플레이트(12, 12')는 가요성을가진 본드선(13)을 통하여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 피이드인이어(11, 11')의 조에는 절연재재(材製) 보호커버(14, 14')가 각각 씌워져 있으며 각 보호커버(14, 14')는 절연커버(10, 10')에 대해서는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재롭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조인터이어(7, 7')의 각조에는 절연재제 보호커버(15, 15')가 각각 씌워져 있으며, 각 보호커버(15, 15')는 보조절연커버(10. 10')에 각각 접착되어 있으나 중간절연커버(9)에 대해서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보호커버(15. 15')의 하단부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간절연커버(9)등의 외향립부(9a)에 계합하고 있다.
18은 제7도의 좌우의 보호커버(1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다.
그리고 상기 피이드인 이어(11. 11')의 보호커버(14, 14')(제8도)도 조인터 이어(10, 10')의 보호커버(15, 15')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5도의 20은 축방향에 따라서 뻗은 금속제 보강금구로서 4개의 파지용 행거(24)가 고착되어 있으며 행거(24)는 보호절연거버(10. 10')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파지하고 있다.
보조금구(20)의 축방향 양단에는 스토퍼부재(25)가 고착되어 있으며 스토퍼부재(25)의 선단부(25a)는 제5도의 지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또 선단부(25a)는 대개 흡수부분(g)을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12, 12')의 축방향 단연에 대향하고 있다.
26은 햐향으로 연린 ] 형의 본드선 가이드로서 보강금구(20)에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롤리선(1, 1')이 열신축 하였을 경우에는 토롤리선(1, 1')은 각계단부(lb. lb)에 있어서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인터이어(7. 7')에 의해 정확히 축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조인터이어(7, 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갭부분(G. G')의 범위내에서 열신축이 흡수된다.
제6도의 우측의 토롤리선(1')이 급전측. 즉 전원측이라고하면 토롤리선(1')에서 좌측의 토롤리선(1)에 대한통전 경로는 양계단부(1b, 1'b)를 직접 거치는 경로와 조인터이어(7, 7')를 거치는 경로와 본드선(13)을 거치는 경로의 3개로 되어 양토롤리선(1, 1')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극히 양호하게 된다.
특히 전원측 토롤리선단부(1'a)로 부터 제6도의 좌측의 토롤리선단부(la)에는 계단부(lb, 1'b) 및 조인터이어(7. 7')를 통하여 직접 통전되므로 제4도의 종래예에 비하여 전기저항량이 대폭적으로 작아진다.
절연커버(2. 2')가 열신축하였을 경우에는 절연커버(2. 2')는 각각 피이드인 이어(11. 11')나 피이드인 이어용 보호커버(14, 14')와 함께 토롤리선(1, 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흡수부분(g. g')의 범위내에서 절연커버(2. 2')의 열신축이 흡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토롤리선(1. 1')을 절연커버(2. 2')에 의해 씌워서 이루어진 절연토롤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각 토롤리선(1, 1')의 절연커버의 양측면 상단부뿐만 아니라 절연커버의 상면에도 계지용홈을 설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행거에 의한 지지를 3점지지로 할 수 있어 수진진등을 잘 방지해야 고정할 수 있는 절연토롤리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절연토롤리선으로서는 불가결한 열신축대책으로서 상기한 접속구조를 가진 절연토롤리선으로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토를리선(1, 1')의 단면 형상에 따른 형상의 2쌍의 금구, 예컨데 조인터이어(7, 7')에 의해 토롤리선 중합부분(L₃)의 양단 2개소를 협지하고 더우기 양계단부(lb, 1'b)를 상시 접촉시키면서 포개져 있으므로 중합부분(L₃)에서 절연토롤리가 느즈러지는 일이 없게된다.
따라서 토롤리선(1. 1')은 원활하고 정확하게 축방향으로 연신축하고 그 연신축은 양호하게 흡수된다.
(2)계단부(1b, lb')나 예컨데 조인터이어(7, 7')를 통하여 토롤리선단부(la, 1'a)는 직접 통전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종래의 제4도와 같이 본드선(13)만을 통해서 우회적으로 통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기저항량이 대폭적으로 작아져서 양단부(la. 1'a)는 전기적으로 극히 양호한 접속상태로 된다.

Claims (6)

  1. 양도체로 된 토롤리선(1, 1')의 외주의 좌우양측면 및 상면부분을 씌우도록 절연커버(2. 2')을 장착한 절연토롤리선에 있어서 이 절연커버(2. 2')의 양측면과 상면부분의 각각에 절연토롤리선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용 홈(21. 22. 2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토롤리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호 토롤리선의 양측면은 상기 절연커버의 양측면의 보지용 홈의 형상에 거의 상사(相似)한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토롤리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토롤리선의 절연커버의 양측부분의 하방단부는 토롤리선의 양측부분보다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토롤리선.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절연성합성수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토롤리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토롤리선은 그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접속부분을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토롤리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토롤리선의 접속부분은 각 토롤리선이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각각 절연커버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토롤리선의 단부에 각각 축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진 분분할상 계단부를 형성하고. 양계단부를 상기 접촉시킨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반 접근자재로 포개서 토롤리선의 단면향상에 따른 (沿)형상의 2쌍의 토롤리선 연결금구(조인터이어)를 일정의 축방향길이를 가진 전도체에 의해 형성하고 양톨리선단부의 중합부분에 있어서의 축방향 양단의 갭부분을 각각 1쌍의 연결금구에 의해 각 토롤리선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되도록 협지하므로써 접속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토롤리선.
KR2019830004620U 1982-05-31 1983-05-26 절연 토롤리선 KR9000010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4982U JPS58182840U (ja) 1982-05-31 1982-05-31 絶縁トロリ線
JP81449 1982-05-31
JP970883U JPS59114335U (ja) 1983-01-25 1983-01-25 絶縁トロリの接続構造
JP9708 1983-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34U KR840006134U (ko) 1984-11-30
KR900001009Y1 true KR900001009Y1 (ko) 1990-02-10

Family

ID=2634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620U KR900001009Y1 (ko) 1982-05-31 1983-05-26 절연 토롤리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0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34U (ko) 198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6028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trut and horizontal member
KR900001009Y1 (ko) 절연 토롤리선
US3813502A (en) Conductor rails for energising electrical machinery
TWI669199B (zh) robot
JPH079896A (ja) π形剛体電車線
JPH0546195Y2 (ko)
US3709337A (en) Electrical distribution and current collecting assembly for high speed drive arrangements
JP2503945Y2 (ja) 伸縮式電気絶縁ブ―ム
JPH0644264Y2 (ja) 電線引留め部の保護カバ−
JPH0343097B2 (ko)
JPH0753363Y2 (ja) 活線作業ロボット上腕絶縁構造
JPS61241602A (ja) アクチユ−エ−タ用位置点検装置
US856385A (en) Insulating covering or sheathing for contact-rail conductors.
JPH0736424Y2 (ja) ワイヤ−ハ−ネス用外装管
JPS6130405Y2 (ko)
JPH0142019Y2 (ko)
JPS5839234Y2 (ja) 剛体トロリ−の伸縮継手部
US2644862A (en) Trolley pole
JPS5930575Y2 (ja) 磁気浮上式鉄道の地上コイル接続装置
JPH0580376B2 (ko)
US2382153A (en) Railway frog
JPS63139739U (ko)
JPS6235210Y2 (ko)
JPS5849528U (ja) プラスチツク外被ケ−ブル分岐接続部の密封構造
KR850001212Y1 (ko) 전선 접속부 절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03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