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17Y1 - 스위치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17Y1
KR900000517Y1 KR2019870005363U KR870005363U KR900000517Y1 KR 900000517 Y1 KR900000517 Y1 KR 900000517Y1 KR 2019870005363 U KR2019870005363 U KR 2019870005363U KR 870005363 U KR870005363 U KR 870005363U KR 900000517 Y1 KR900000517 Y1 KR 900000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tton
operating rod
circuit boar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551U (ko
Inventor
신재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5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517Y1/ko
Publication of KR880020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버튼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3도는 종래 버튼 장치의 종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넬 2 : 버튼
3 : 지지걸림편 14 : 압압봉
5 : 턱받이 6 : 안내관
7 : 경사면 8 : 턱
9 : 스위치 조작봉 10 : 스프링
본 고안은 전자제품에 설치하는 스위치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과 스위치는 직각상에 설치되여 버튼은 수직운동을 하고 버튼과 결합된 스위치 압압봉은 수평운동을 하여 스위치를 온, 오프하도록 한 스위치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제품에 설치하는 스위치 버튼 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20)에 뚫어진 구멍들에 버튼(21)의 지지걸림편(22)과 스위치 압압봉(23)이 끼워져서 버튼이 고정되고 스프링(26)으로 탄지된 압압봉(23)단부는 회로기판(24)에 설치된 스위치(25)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21)과 스위치(25)는 직선 운동에 의하여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판넬(20)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제품몸체(27)에 회로기판(24')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회로기판(24')상에 설치하는 스위치의 조작은 수직방향만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제품에 설치하는 스위치 버튼 장치에서 버튼의 수직운동을 바꾸어서 스위치를 온, 오프하도록 하여 제품의 스위치들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판넬(1)에 뚫어진 구멍에 버튼(2)의 지지걸림편(3)과 압압봉(4)이 끼워져서 버튼이 고정되고 압압봉(4) 단부와 대향하여 케이스(1') 내면에서 횡으로 돌출되고 턱받이(5)가 형성된 안내관(6)에 경사면(7)과 턱(8)이 형성된 스위치 조작봉(9)이 끼워져서 스프링(10)으로 탄지하여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1 : 스위치 12 : 회로기판 13 : 제품몸체 14 : 스위치 조작봉에 끼워진 스프링 일단을 받쳐주는 걸림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회로기판(12)은 제품내부 깊숙히 종방향으로 설치되었고 회로기판에 부착된 스위치(11)는 횡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버튼(2)의 수직방향의 운동을 수평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은 제2도와 같이 스위치(11)을 온시킬때에는 버튼(2)을 누르면 압압봉(4)의 단부는 대향하여 위치된 스위치 조작봉(9)의 경사면(7)을 누르게 된다.
압압봉(4)의 단부는 경사면(7)을 타고 접동하므로 조작봉(9)은 화살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밀려가게 되어 조작봉(9) 단부는 스위치(11)를 눌러서 온 시킨다.
이때 스프링(10)은 압축되는데 그 압축력은 조작봉(9)의 밀려가는 힘보다 약하기 때문에 조작봉(9)의 이동은 유연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버튼(2)에서 손을 놓으면 압축된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조작봉(9)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턱(8)은 턱받이(5)에 받쳐져서 정지되고 경사면(7)도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압봉(4)의 단부는 경사면(7)을 타고 상승하여 제2도와 같이 버튼(2)은 통상과 같이 지지 걸림편(3)에 걸려서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직각 운동에 의하여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회로기판과 스위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회로기판에 스위치가 횡방향으로 장착되고 판넬에 뚫어진 구멍에 버튼의 지지걸림편과 압압봉이 끼워져서 버튼이 고정된 것에 있어서, 압압봉(4) 단부와 대향하여 케이스(1') 내면에서 횡으로 돌출되고 턱받이(5)가 형성된 안내관(6)에 경사면(7)과 턱(8)이 형성된 스위치 조작봉(9)이 끼워져서 스프링(10)으로 탄지하여서 된 스위치 버튼 장치.
KR2019870005363U 1987-04-15 1987-04-15 스위치 버튼 장치 KR900000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363U KR900000517Y1 (ko) 1987-04-15 1987-04-15 스위치 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363U KR900000517Y1 (ko) 1987-04-15 1987-04-15 스위치 버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551U KR880020551U (ko) 1988-11-30
KR900000517Y1 true KR900000517Y1 (ko) 1990-01-30

Family

ID=1926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363U KR900000517Y1 (ko) 1987-04-15 1987-04-15 스위치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5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551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700A (en) Modular printed circuit board mountable push-button switch with tactile feedback
KR900000517Y1 (ko) 스위치 버튼 장치
KR930003197A (ko) 스위치 장치
US4367383A (en) Push button mechanism with locking device for two stable positions
DE59308032D1 (de) Handgefahrenmelder
JPH0883530A (ja) キートップ
KR900001869Y1 (ko) 푸쉬놉의 편심방지 장치
KR910004227Y1 (ko) 전기.전자제품의 기능스위치 동작장치
KR910007293Y1 (ko) 슬라이드-택트스위치용 노브
KR910006842Y1 (ko) 푸쉬 버튼 스위치
KR920004383Y1 (ko)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KR920000889Y1 (ko) 텐션을 이용한 노브 보호장치
KR960001572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방 장치
KR870001480Y1 (ko) 스위치의 버튼장치
KR880001313Y1 (ko) 푸쉬보턴의 노브(knov)
KR850001770Y1 (ko) 푸쉬버튼 장치
KR920003362Y1 (ko) 슬라이드 볼륨 스위치의 결합장치
KR900005823Y1 (ko) 오픈 크로스 노브
KR910005409Y1 (ko) 바란스 유지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 스위치 노브
KR910006334Y1 (ko) 전자기기의 키이보오드용 보턴의 조작장치(actuator)
SU913469A1 (ru) Кнопочный пост управления 1
KR900005931Y1 (ko) 전자기기의기능조작버튼
KR890001086Y1 (ko) 비데오카메라의 손잡이 결합장치
KR900003453Y1 (ko) 경사진 덱크의 동작 레버장치
FR2331874A1 (fr) Commutateur electrique pouvant etre commande au pi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