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90Y1 -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90Y1
KR900000490Y1 KR2019860017290U KR860017290U KR900000490Y1 KR 900000490 Y1 KR900000490 Y1 KR 900000490Y1 KR 2019860017290 U KR2019860017290 U KR 2019860017290U KR 860017290 U KR860017290 U KR 860017290U KR 900000490 Y1 KR900000490 Y1 KR 900000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tan
housing
fixed
bas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94U (ko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7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490Y1/ko
Publication of KR880010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축소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가"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베이스 2 : 탄성벨트
100 : 캡스턴부 101 : 캡스턴 하우징
103, 104 : 소결분말 베어링 105 : 캡스턴축
106 : 플라이휠 107 : 마그네트
108 : 회로기판 109 : 코넥터
110 : 조절나사 111 : 기어
112 : 축 113 : 스프링
114 : 테이프 가이드 115 : 너트
200 : 구동부 201 : DC서보모터
201' : 샤프트 300 : ACE헤드 조립체
301 : 결합부
본 고안은 브이 씨 알에서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테이프 이송 장치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DC서보모터를 테이프 구동원으로 이용하고 캡스턴축을 이용하고 캡스턴축을 카세트 전방부에 배치한 브이 씨알의 데크부에 적합하게 한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메인 베이스에 DC 서보모터, 캡스턴축 하우징, ACE 헤드 조립체 및 회로기판등을 각각 별도로 조립하고 DC서보 모터 및 회로기판에서 인출되는 와이어를 각각 별도로 처리하며, 캡스턴 축이 부하 손실없이 회전하도록 하는 트러스트 하중 지지대를 별도로 설치하여 테이프 이송장치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이송장치는 상기 각 부품들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이송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많은 설치 면적이 요구됨과 아울러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며, 사용 부품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장치의 주요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여 보면, 첫째 : 테이프의 정속구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들을 각각 메인 베이스에 조립하여 이송장치를 구성하였으므로 독립된 조립체로서 기능을 평가 할 수 없고, 전체 데크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기능을 평가하게 되므로 이송장치 자체의 독립된 기능평가가 어려우며, 둘째 : 트러스트 하중을 받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장치의 높이 제약 요인이 되며, 셋째 : 와이어 처리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며, 네째 : ACE 헤드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소요되어 사용부품수가 증가하고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다섯째 : 회로기판과 마그네트 사이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조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제1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가"방향 확대 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 테이프 이송장치 조립체는 캡스턴부(100)와 구동부(200) 및 헤드조립체(300)로 구성되며, 그 캡스턴부(100), 구동부(200) 및 헤드부(300)는 캡스턴 베이스(10)에 일연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일연체로 형성된 조립체는 메인 베이스(1)에 수개의 고정나사로 조립된다.
이하, 캡스턴부(100)를 먼저, 설명하고, 구동부(200) 및 헤드 조립체(300)순으로 설명하겠다.
캡스턴부(100)의 캡스턴 하우징(101)은 캡스턴 베이브(10)에 고정나사(102)로 고정되고, 그 캡스턴 하우징(101)의 상, 하부에 소결 분말 베어링(103), (104)이 압입 고정되어 캡스턴축(105)이 부하없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캡스턴축(105)의 하측부에는 플라이 휘일(106)이 압입 고정되어 있으며, 그 플라이휘일(106)의 내측에는 마그네트(107)가 캡스턴축(105)과 동축으로 접착제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 마그네트(107)에는 캡스턴 베이스(10)와 대향하는 면의 외곽측에 수십극이 원주상으로 착자되고 내측에는 상, 하 방향으로 하나의 폴(pole)이 착자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107)와 캡스턴 베이스(10)의 사이에는 캡스턴 베이스(10)의 하면에 나사(102)에 의하여 캡스턴 하우징(101)과 동시에 고정되는 회로기판(108)이 있으며 그 회로기판(103)에는 마그네트(107)의 원주상 외곽부에 수십극의 착자된 부위와 대향됨과 아울러 마그네트(107)의 분할된 자극수와 같게 패턴상으로 코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108)의 상측에는 코넥터(109)가 고정되어 그 코넥터(109)가 고정되어 그 코넥터(109)에는 후기할 DC서보 모터에서 나오는 와이어가 연결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캡스턴 축(105)의 상측에는 조절나사(110)가 하우징(101)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조절나사(110)는 플라이 휠(106)에 고정된 마그네트(107)가 철판으로 되어 있는 캡스턴 베이스(10)쪽으로 상향이동될때 마그네트(107)와 회로기판(108)의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유지되게 결정하면서 트러스트를 받게 된다.
캡스턴축(105)의 하단부에는 릴레이블 구동을 위한 기어(111)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다음, 구동부(200)의 DC서보모터(201)는 캡스턴 베이스(10)에 나사(202)로 고정되어 있고 그 DC서보모터(210)의 샤프트(201')하단부에는 풀리(203)가 압입 고정되어 그 풀리(203)와 상기 플라이 휠(106)의 외주면에 탄성벨트(2)가 연결된다.
또, 캡스턴 베이스(10)에는 ACE 헤드 조립체(300)결합을 위한 결합부(301)가 있고 캡스턴 하우징(101)에도 결합부(101')가 있으며 ACE헤드 조립체(300)결합부(301)는 나사(302)에 의하여 X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도면중 112는 상기 캡스턴 하우징(101)에 압입 고정된 축으로서 각 축(112)에는 스프링(113), 테이프 가이드(114) 및 너트(115)가 차례로 결합되어 테이프 가이드(114)가 스프링(113)에 의하여 적절한 탄성을 갖으면서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게 되고 너트(115)에 의하여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테이프 이송장치의 전체 조립체는 기기본체의 메인 베이스(1)위에 형성된 가이드(3)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어 고정보스(4)에 나사(5)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체 메인 베이스(1)의 고정보스(4)에 나사(5)로 체결되어진 상태에서 본 고안 테이프 이송장치 조립체는 모터(201)가 회전하면 벨트(2)에 의하여 플라이 휘일(106)이 감속회전되며 플라이 휘일(106)의 회전에 따라 그에 결합되어진 마그네트(107)의 회전에 의하여 회로기판(108)에 형성된 코일에 정현파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기기내부의 자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현파수를 카운트하여 캡스턴 축(105)의 회전상태가 정속으로 회전하도록 DC 서보모터(201)에 인가되는 전류를 가감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 테이프 이송장치 조립체는 캡스턴 베이스에 캡스턴 하우징, 캡스턴축, 마그네트, 회로기판, DC 서보모터, 코넥터, ACE 헤드 조립체 및 테이프 가이드등 각종 기능부품을 조립하여 하나의 독립된 조립체로 형성하여 그 조립체를 본체의 메인 베이스에 수개의 고정나사로 간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브이 씨알 데크부 본체의 조립성이 간소화될 수 있고, 테이프 이송장치 조립체를 데크부 본체에 조립하기 전에 그 기능을 시험할 수 있으며, 또한 캡스턴 하우징에 간단한 조절사를 체결하여 마그네트의 회로기판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할수 있게 하고 트러스를 지지하게 하였으므로 별도의 트러스트 지지대가 필요없게 되어 구조가 더욱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캡스턴 하우징(101)과, 그 내주면 상, 하부에 압입 고정되는 소결 분말 베어링(103), (104)에 회전기능하게 결합되어 하단부에는 플라이 휠(106)이 압입 고정되는 캡스턴축(105)과, 캡스턴 하우징(101)과 함께 고정나사(102)로 고정되는 회로기판(108)으로 이루어지는 캡스턴부(100)를 캡스턴 베이스(10)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캡스턴부(100)의 플라이 휠(106)과 탄성벨트(2)로 연결되는 풀리(203)가 샤프트(201')의 하단부에 압입고정된 DC 서보모터(201)를 고정나사(202)로 캡스턴 베이스(10)에 고정하며 그 캡스턴 베이스(10)에 헤드 조립체(300)를 고정하여 캡스턴부(100)와 DC 서보모터(201) 및 헤드 조립체(300)가 동일 캡스턴 베이스(10)에 조립되게 하고, 캡스턴 하우징(101)의 상측에는 플라이 휠(106)의 내측면에 고정한 마그네트(107)에 의하여 상향으로 작용하는 트러스트를 지지하는 조절나사(110)를 나사맞춤으로 체결하여 캡스턴 하우징(101)의 결합부(101)의 양측에 테이프 가이드(114)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KR2019860017290U 1986-11-06 1986-11-06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KR900000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290U KR900000490Y1 (ko) 1986-11-06 1986-11-06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290U KR900000490Y1 (ko) 1986-11-06 1986-11-06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94U KR880010494U (ko) 1988-07-27
KR900000490Y1 true KR900000490Y1 (ko) 1990-01-30

Family

ID=192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290U KR900000490Y1 (ko) 1986-11-06 1986-11-06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4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94U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7333A (en) Electric motor with inner drive pulley
US4506857A (en) Adjustable mounting for a motor on a base
KR100276589B1 (ko) 회전헤드드럼장치
KR870004432A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카셋트 장착장치
KR900000490Y1 (ko) 테이프 이송장치의 조립체
US5361010A (en) Tachogenerator for speed control of electric motors
KR012954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 모터 고정구조
KR920002939B1 (ko) 테이프레코더의 헤드드럼장치
JPH0433573Y2 (ko)
US4667122A (en) Tachogenerator for speed control of electric motors
KR100237036B1 (ko) 테이프 레코더용 캡스턴 모터의 조립구조
KR890003676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음성제어 헤드 조립체
KR012899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 모터
FR2425691A1 (fr) Assemblage de bras de lecture
CH664867GA3 (ko)
KR0118655Y1 (ko) 드럼모터의 로터와 스테이터 평행도 조정장치
KR200154182Y1 (ko) 소형 모우터의 회전축 체결구조
KR940004322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모터
KR890007236Y1 (ko) 무 브러시(brushless)모우터
KR200141770Y1 (ko) 모터의 자기저항소자 조정장치
JPS5943799Y2 (ja) モ−タ
JPH02119554A (ja) モータの検知装置
JPS6478477A (en) Magnetic disk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y of actuator mechanism
KR0115138Y1 (ko) 헤드드럼 구조체
JPS58175952A (ja) モ−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