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73Y1 -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73Y1
KR900000473Y1 KR2019850018471U KR850018471U KR900000473Y1 KR 900000473 Y1 KR900000473 Y1 KR 900000473Y1 KR 2019850018471 U KR2019850018471 U KR 2019850018471U KR 850018471 U KR850018471 U KR 850018471U KR 900000473 Y1 KR900000473 Y1 KR 900000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lid
handl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8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502U (ko
Inventor
한현수
Original Assignee
한일스텐레스스틸공업주식회사
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스텐레스스틸공업주식회사, 한현수 filed Critical 한일스텐레스스틸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8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473Y1/ko
Publication of KR870009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3d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승강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발췌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도로서 증기 배출통로가 폐색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도로서 증기 배출통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손잡이
4 : 걸림홈 5 : 뚜껑
6 : 뚜껑손잡이 8 : 록킹장치
11 : 고정구 14 : 걸림턱
17 : 체결구 19 : 배출봉
21 : 배출공 24 : 승강구
26 : 경사부 27 : 4단 캠턱
28 : 승강부 32 : 작동구
33 : 작동부 37 : 돌출봉
38 : 괘지구 43 : 누름구
48 : 작동편
본 고안은 압력솥내의 증가압력을 단계적으로 배출시키고, 또한 압력을 조절 할수 있도록 된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압력솥등에 증기 배출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미 상품화 된 바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이 개폐변을 스프링으로 탄설시켜서 증기 압력에 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개폐변은 증기 압력을 조절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일정압력을 필요로하는 경우 이외에는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솥뚜껑을 열때에 충분한 압력을 배출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부주의에 의하여 뚜껑을 열게 되면, 증기 압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력솥대의 증기 압력을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뚜껑을 열때에는 증기 압력을 충분하게 배출시킨 상태에서 열 수 있도록 된 압력솥의 증기 배출장치를 제공하여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시키는 데에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압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와 뚜껑체에 각각 손잡이가 대응되게 부착된 것이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 상면에 안내홈과 걸림홈를 형성시키고, 상기한 뚜껑 손잡이에 배출구를 가진 기틀을 설치하여 이에 배출공과 삽입공이 형성되고 걸림턱과 나사부, 안내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체결구로 나사체결시키고, 배출공을 가진 배출봉을 경사부와 4단의 캠턱을 가진 승강구 내로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삽입하여 이를 상기한 고정구내로 삽입시키며, 상기한 배출봉내로 표시부를 가진 승강봉을 삽입하고 이의 상단부를 작동부와 연장편, 걸림테를 가진 작동구에 삽입하여 이 작동구의 걸림테를 상기한 고정구의 걸림턱에 끼워맞춤으로 결합시키고,상기한 뚜껑 손잡이의 중앙 돌출봉에 경사턱과 안내레일, 괘지턱을 가진 괘지구를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설치하고, 이 괘지구내로 누름구를 스프링으로 탄설시키며, 상기한 승강구의 경사부와 상기한 괘지구의 경사턱사이에 상기한 고정구의 삽입공을 통하여 작동편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력솥의 증기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는 압력솥 본체(1)의 일 측방에 부착되고, 상면에 안내홈(3)과 걸림홈(4)을 형성한 손잡이(2)와, 이 손잡이(2)와 대응되게 뚜껑(5)에 부착되는 뚜껑손잡이(6)와, 이 뚜껑손잡이(6)의 전방측으로 뚜껑(5)과 연관되어 설치되는 압력배출장치(7)와, 상기한 뚜껑손잡이(6)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록킹장치(8)로 구성된 것이다.
우선, 뚜껑손잡이(6)의 전방측으로 설치되는 배출장치(7)를 설명하면, 뚜껑손잡이(6)의 전방에 배출구(10)를 가진 기틀(9)을 형성하고, 이 기틀(9)내부에 고정구(11)을 삽입시켜서 이 고정구(11)의 나사부(15)를 뚜껑(5)의 이면으로 돌출시켜서 여기에 경사부(18)를 가진 체결구(17)로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한 고정구(11)에는 상기한 기틀(9)의 배출구(10)와 연통이 되게 배출공(12)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되는 벽면에 삽입공(13)을 형성하며, 상부에 걸림턱(14)을 대칭으로 형성시키고, 하방으로는 전술한 나사부(1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안내부(16)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승강구(24)의 내부에 배출봉(19)을 하측으로부터 삽입시키되, 스프링(23)을 걸림테(20)까지 삽입시키고, 이 스프링(23)의 타단이 승강구(24)의 내부의 약간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5)으로 저지되어 배출봉(19)이 하향으로 탄력을 받도록 하며, 이 배출봉(19)의 중심에는 중심공(22)을 관통되게 천설하고, 이 중심공(22)과 연통되게 측방으로 배출공(21)을 수개 천설시킨다.
또한, 상기한 승강구(24)의 외주표면의 상부에는 3방향에 연하여 4단으로 된 캠턱(27)을 돌설시키고, 중간부위에 경사부(26)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한 승강구(24)의 내부에 배출봉(19)이 스프링(23)으로 탄설되어 삽입된 것을 상기 고정구(11)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돌출봉(19)의 중심공(22)에 승강봉(28)을 삽입시키며, 이 승강봉(28)에는 상부로부터 표시부(29)와 걸림턱(30)과 걸림환테(31)을 각각 형성하여 여기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이 표시부(29)가 형성된 부분을 작동구(32)의 통공(34)에 삽입시키고, 이 작동구(32)는 일측으로 연장편(35)을 돌설하고, 하단부위의 외주연에 걸림테(36)을 형성하여 이 걸림테(36)가 상기한 고정구(1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4)에 상호 걸리도록 하여 조립시키고, 이 작동구(32)의 내측에는형의 작동부(33)를 형성하여 이의 선단부가 상기한 승강구(24)의 외주연에 형성된 4단의 캠턱(27)에 당접이 되도록 하여서 압력 배출장치(7)가 구성된다.
또한, 뚜껑손잡이(6)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록킹장치(8)는 이 손잡이(6)에 길이방향으로 전, 후진이 되게 괘지구(38)를 설치하며, 이 괘지구(38)의 상면에는 경사턱(39)을 돌설시키고, 저면에는 안내레일(40)을 설치하며, 이의 저면의 일측에 괘지턱(41)을 형성하여 이 괘지턱(41)이 손잡이(2)의 상면에 형성된 안내홈(3)과 걸림홈(4)에 삽입이 되게 하고, 이 괘지구(38)의 내부로 상기한 안내레일(40)을 타고 이동되게 누름구(43)를 삽입시키되, 이 누름구(43)의 내부에 후방으로 개구되는 내공(44)을 천설하여 여기에 스프링(47)을 삽입시켜서 상기한 괘지구(38)에 삽입시키고, 이 누름구(43)의 선단에는 밀편(45)과 저면에는 걸림편(46)을 형성하여 이 걸림편(46)이 상기한 손잡이(2)의 상면에 형성된 안내홈(3)에 삽입되어지며, 또한, 상기한 뚜껑손잡이(6)에 중앙돌출봉(37)을 형성하여 여기에 스프링(42)을 삽입시켜서 상기한 괘지구(38)의 후방벽사이에 탄설하고, 상기한 돌출봉(37)은 괘지구(38)의 후방벽을 관통하여 이 대부에 삽입된 누름구(43)의 내공(44)에 삽입된 스프링(47)의 일측과 당접되어 이 스프링(47)을 압축시키고, 상기한 괘지구(38)의 상면에 돌설된 경사턱(39)과 상기한 고정구(11)의 삽입공(13)을 통하여 승강구(24)에 형성된 경사부(26)사이에 작동편(48)을 통하여 연계시켜서 구성된 것이며, 미설명 부호 49는 가스켓트이고, 50은 손잡이(2)의 고정편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체(1)의 상부체 뚜껑(5)을 닫고, 이의 뚜껑손잡이(6)를 회동시켜서 본체(1)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2)와 일치시키면, 상기한 뚜껑손잡이(6)에 설치된 괘지구(38)의 괘지턱(41)이 손잡이(2)의 안내홈(3)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손잡이(6)의 기틀(9)에 삽입설치된 고정구(11)에 결합된 작동구(32)의 연장핀(35)을 잡고 제3a도에서 제3d도와 같은 순서로 회동시키면 이 작동구(32)의형의 작동부(33)가 승강구(24)의 외주표면에 형성된 4단의 캠턱(27)을 따라 회동하면서 승강구(24)를 하향으로 단계적으로 눌러 주게 되어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봉(19)과 승강봉(28)을 하강시켜서 상기한 배출봉(19)에 형성된 배출공(21)이 체결구(17)의 경사부(18)에 의하여 막히게 되고, 스프링(23)은 눌러진 상태로 있고, 상기한 승강봉(28)이 하강되어 이의 상단부에 형성된 표시부(29)가 작동구(32)의 통공(34)속으로 들어가게 외부에서도 이 압력 배출장치(7)가 폐색된 상태임을 알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승강구(24)가 하강하면서 록킹장치(8)를 록킹상태로 연계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한 승강구(24)의 외주표면에 형성된 경사부(26)가 이에 당접된 작동편(48)을 밀게되어서 이에 따라 작동편(48)이 밀리면서 이의 타단부가 괘지구(38)의 경사턱(39)가 당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사턱(39)을 통하여 괘지구(38)를 후퇴시켜서 이 괘지구(38)의 저면에 돌출된 괘지턱(41)의 손잡이(2)의 안내홈(3)에서 걸림홈(4)으로 들어가게 되어 이 손잡이(2)와 뚜껑손잡이(6)가 서로 록킹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5)의 본체(1)에 덮어져서 록킹상태가 되고, 배출공(21)이 막혀진 상태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게 되며, 이때에 조리중에 발생되는 증기가 소정압으로 되면 배출봉(19)을 압압하게 되어서 이 배출봉(19)은 이에 탄설된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상승되어 이에 천설된 배출공(21)과 고정구(11)의 배출공(12) 및 기틀(9)의 배출구(10)가 연통된 상태가 되어 이들의 통로를 통하여 조리중에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이 압력배출장치(7)는 조리중에는 안전밸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리가 끝나서 뚜껑(5)을 열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틀(9)에 설치된 작동구(32)를 이번에는 반대방향으로 제3d도에서 제3a도의 순서로 작동구(32)의 연장편(35)을 잡고 회동시키면, 이 작동구(32)의 작동부(33)가 승강구(24)의 캠턱(27)을 타고 단계적으로 회동되어 이에 따라서 승강구(24)가 단계적으로 상승되어 본체(1)내의 증기를 단계적으로 상기한 통로를 통하여 배출시키고 이때에 작동구(32)를 제3a도와 같이 완전히 회동시키면 제5도와 같이 이 압력 배출장치(7)는 개방된 상태로 되고 이때에 승강봉(28)이 상승되어 이의 상단부에 형성된 표시부(29)가 작동구(32)의 통공(34)으로 부터 돌출되어 목시로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승강구(24)의 경사부(26)에 의하여 밀고 있던 작동편(48)이 상기한 승강구(24)의 상승으로 인하여 괘지구(38)의 스프링(42)에 의하어 복귀되어 이 괘지구(38)의 페지턱(41)이 손잡이(2)의 걸림홈(4)에서 이탈되어 안내홈(3)에 있게되어 이 록킹장치(8)는 해제위치에 있게되어서 이 뚜껑손잡이(6)를 회동시켜서 뚜껑(5)을 열게 된다.
이 때에 괘지구(38)의 안내레일(40)에 설치된 누름구(43)는 가스켓트(49)의 일측을 밀편(45)으로 밀게되고, 또한 반대로 빠지는 것은 이 괘지구(38)의 저면에 돌출된 걸림편(46)이 손잡이(2)에 형성된 안내홈(3)의 형상에 따라서 전, 후진 하게 되는 것이며, 이 역시 상기한 괘지구(38)의 괘지턱(41)이 걸림홈(4)으로 삽입되어 록킹상태로 되면, 이 뚜껑(5)을 더욱 견고하게 록킹시켜주며, 이 록킹이 해제되어 뚜껑손잡이(6)를 뚜껑(5)을 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 누름구(43)의 걸림편(46)이 안내홈(3)을 타고 회동되면서 후퇴되어서 누름구(43)가 해체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의하여 압력솥의 뚜껑을 안전하게 잠금상태로 할수 있는 동시에 조리중에 발생하는 소정압이상의 증기를 가동적으로 배출되어 안전밸브의 역할도 수행하면서, 또한 조리가 끝난후에는 본체 내부에 차있는 증기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면서 동시에 뚜껑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이어서 압력솥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와 뚜껑(5)에 각각 손잡이(2), (6)가 부착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2)의 상면에 안내홈(3)과 걸림홈(4)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뚜껑손잡이(6)에 배출구(10)를 가진 기틀(9)을 설치하여 이에 배출공(12)과 삽입공(13)이 형성되고 걸림턱(14)과 나사부(15), 안내부(16)가 형성된 고정구(11)를 체결구(17)로 나사체결시키고, 배출공(21)을 가진 배출봉(19)을 경사부(26)와 4단의 캠턱(27)을 가진 승강구(24)내로 스프링(23)을 개재시켜서 삽입하여 이를 상기한 고정구(11)내로 삽입시키며, 상기한 배출봉(19)내로 표시부(29)를 가진 승강봉(28)을 삽입하고 이의 상단부를 작봉부(33)와 연장편(35), 걸림테(36)를 가진 작동구(32)에 삽입하여 이 작동구(32)의, 걸림테(36)를 상기한 고정구(11)의 걸림턱(14)에 끼워맞춤으로 결합시키고, 상기한 뚜껑손잡이(6)의 중앙돌출봉(37)에 경사턱(39)과 안내레일(40), 괘지턱(41)을 가진 괘지구(38)를 스프링(42)을 개재시켜서 설치하고, 이 괘지구(38)내로 누름구(43)를 스프링(47)으로 탄설시키며, 상기한 승강구(24)의 경사부(26)와 상기한 괘지구(38)의 경사턱(39)사이에 상기한 고정구(11)의 삽입공(13)을 통하여 작동편(48)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의 증기 배출장치.
KR2019850018471U 1985-12-31 1985-12-31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900000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471U KR900000473Y1 (ko) 1985-12-31 1985-12-31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471U KR900000473Y1 (ko) 1985-12-31 1985-12-31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02U KR870009502U (ko) 1987-07-08
KR900000473Y1 true KR900000473Y1 (ko) 1990-01-30

Family

ID=1924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8471U KR900000473Y1 (ko) 1985-12-31 1985-12-31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4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02U (ko) 1987-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1481C (en) Pressure cooker interlock
US6669047B2 (en) Button actuated pressure released and locking devices for pressure cookers
US4735190A (en) Steam-pressure cooking utensil
US3792884A (en) Locking device
US4729586A (en) Cylinder door lock with a dead bolt adjustable in two sizes
KR20030096845A (ko) 분리 가능한 가압 냄비 손잡이
PT80018B (pt) Dispositivo de seguranca do fecho e abertura de um aparelho para cozedura sob pressao
KR900000473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940005264B1 (ko) 압력솥
US4787307A (en) Nutcracker
KR20120013785A (ko) 압력솥의 안전개폐장치
KR200383128Y1 (ko) 조리용 압력용기의 뚜껑 체결구조
KR200188018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2284077B1 (ko) 안전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CN216962132U (zh) 旋合式压力锅
CN216588160U (zh) 一种门扇便开式中控锁结构
KR900011248Y1 (ko) 압력솥의 안전장치
KR0130489Y1 (ko) 압력조리용기
JPH05525Y2 (ko)
CN211022196U (zh) 一种高压锅盖开合结构
KR970004838Y1 (ko) 압력조리용기의 뚜껑 개폐 안전장치
KR800000918Y1 (ko) 압력솥 뚜껑 안전 개폐장치
KR840000759Y1 (ko) 압력솥의 뚜껑 안전 개폐장치
US3765563A (en) Safety lock for pressure cooker handle
JPH0381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