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63B1 -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63B1
KR900000363B1 KR1019860000333A KR860000333A KR900000363B1 KR 900000363 B1 KR900000363 B1 KR 900000363B1 KR 1019860000333 A KR1019860000333 A KR 1019860000333A KR 860000333 A KR860000333 A KR 860000333A KR 900000363 B1 KR900000363 B1 KR 90000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mi
frame
circular rota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968A (ko
Inventor
송갑주
Original Assignee
송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갑주 filed Critical 송갑주
Priority to KR101986000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363B1/ko
Publication of KR87000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가 구비된 블럭제조기의 우측면도.
제2도는 동 좌측면도.
제3도는 동 정면도.
제4도는 받침틀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장치가 구비된 블럭제조기의 종단면도.
제5도는 받침틀이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부분종단면도.
제6a-d도는 상형틀의 하강작동상태를 연속하여 보인 부분 우측면도.
제7a-c도는 상형틀의 승강작동상태를 연속하여 보인 부분 우측면도.
제8도는 전자클러치에 의한 입력 전환장치와 감속기 부분을 보인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서 보인 입력 전환장치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4' : 안내로 11 : 제1횡방향 가동체
14 : 제2횡방향 가동체 18 : 수평축
19, 19' : 반원형 회전체 20, 20' : 수직축
21, 21' : 단축 23 : 걸림편
24 : 걸림봉 38, 38' : 전동기하우징,
39, 39', 40, 40' : 전자클러치 43, 43' : 감속기
44, 44' : 입력풀리 53 : 왕복회전레바
56 : 푸싱레바 57 : 걸림턱
58 : 괘지레바 59 : 스프링
63, 63' : 소형풀리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록제조기의 상형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착력을 가하는 하강스트로크가 대부분 자유낙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위치 에너지를 얻기위한 상승스트로크는 받침틀의 상승시에 그 상승력을 이용한 우력에 의하여 신속히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하고 하강 및 상승스트로크가 전자클러치에 의한 입력 전환작동에 의하여 개시될 수 있도록한 블럭 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블럭제조기에 있어서는 하형틀의 하측에 바이다판으로 불리는 받침판이 받침틀이 상승되어 밀착된 상태로 하형틀 내에서 시멘트 몰타르가 공급된 후 상형틀이 하강하여 압착력을 가함으로서 시멘트 블럭이 성형 제조되고, 받침틀과 상형틀 사이에 성형된 블럭이 그대로 놓인 상태에서 받침틀과 상형틀이 함께 하강하여 시멘트 블록이 하형틀로 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압착력을 가하는 상형들의 하강스트로크가 대부분 자유 낙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위치 에너지를 얻기위한 상승 스트로크는 받침틀의 상승시에 그 상승력을 이용한 우력에 의하여 신속히 행하여 질 수 있으며, 승강스트로크가 전자클러치에 의한 입력전환으로 개시될 수 있도록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4도는 본 발명 블럭제조기가 프레임(1)으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1)의 중앙에 하형틀(2)을 갖는 기판(3)이 착설되며, 프레임(1)의 전면에는 수직으로 안내도(4)(4')를 형성하는 한쌍씩의 수직안내대(5)(5'),(6)(6')가 착설되어 있다. 기판(3)상에는 시멘트 몰탈저장통(7)이 착설되고, 그 하측에는 시멘트 몰탈저장통(7)으로 부터 시멘트몰탈을 받아 하형틀(2)에 공급하도록 왕복 이동이 가능한 시멘트 몰탈공급상자(8)가 착설되어 있다. 이 시멘트 몰탈공급상자(8)는 크랭크암(9)에 의하여 왕복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직안내대(5)(5'),(6)(6') 사이에는 상형틀(10)이 하향 착설된 제1의 횡방향 가동체(11)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횡방향 가동체(111)의 상부에는 베어링(12)(12')으로 지지된 연장봉(13)이 연장되고 이 연장봉(13)의 양단부가 수직안내대(5)(5'),(6)(6') 사이의 안내로(4)(4')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하형틀(2)의 하측에는 수직안내대(5)(5'),(6)(6')에 횡방향의 제2가동체(14)가 연장되어 있고 이 제2횡방향 가동체(14)의 중앙상부에 받침판(15)이 재치되어 받침틀(16)이 착설되어 있다. 또한 제2횡방향 가동체(14)의 양측에는 베어링(17)(17')이 착설되고 이에 수평축(18)이 횡방향으로 연장 지지되어 있으며, 양단이 수직안내대(5)(5'),(6)(6') 사이의 안내로(4)(4')를 통하여 외향 연장되고 그 단부에 반원형 회전체(19)(19')가 그 직경부상에 착설되어 있다. 이 반원형 회전체(19)(19')는 제1횡방향 가동체(11)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때에 그 원주부가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후측을 향하여 있도록 되어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1횡방향가동체(11) 상에 연장되어 있는 연장봉(13)의 양단부로 부터 수직축(20)(20')이 연장되어 각각 반원형 회전체(19)(19')의 외부 상측에서 단축(21)(21')으로 결합되어 있다. 일측 반원형 회전체(19)(제1도)의 하측 원주부에는 돌출편(22)이 연장되어 있고 수평축(18)에 인접하여 내측으로 "C"자형 걸림턱(23)이 입설되어 있다. 또한, 타측반원형 회전체(19')에는 그 내측면에 단축(21')과 수평축(18)에 일직선상으로 놓이고 수평축(18)을 중심으로하여 단축(21')에 대칭인 위치에 짧은 걸림봉(24)이 입설되어 있다.
또한 제1도와 제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중간수직프레임(25)에는 하측 위치의 양측에 베어링(26)(일측만 도시함)이 착설되어 수평축(27)이 축설되고 이 수평축(27)에는 일측에 제1각부(28)와 제2각부(29)로 구성되는 "∧"형 레바(30)의 중심부가 고착되어 있고 타측에는 직선상의 레바(31)가 고착되어 있다. (제3도).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프레임(1)의 후측에는 본 발명 제조기의 동력원으로서 모우터(32)가 착설되어 있고 이 모우터(32)는 벨트(33)로 중간측(34)의 풀리(35)와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축(34)에는 4개의 풀리(36)가 착설되고 각 풀리(36)는 각각의 벨트(37)로 하측의 두 전동기하우징(38)(38')의 양측에 착설된 전자클러치 (39)(39'),(40)(40')가 구비된 풀리(41)(41'),(42)(4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전자클러치(39)(39')와 전자클러치(40)(40')를 각각 전기적인 스위칭 작용으로 하나의 전자클러치(39) 또는 (39')(40) 또는 (40')만이 작용하여 각 전자클러치의 작용으로 감속기 (43)(43) 출력방향이 변화하게 된다. 즉, 제8도 및 제9도에 보인 바와같이, 일측 전동기하우징(38)에서 전자클러치(39)(39')와 결합된 풀리(41)(41'),(42)(4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전자클러치(39)(39')와 전자클러치(40)(40')를 각각 전기적인 스위칭 작용으로 하나의 전자클러치(39) 또는 (39')(40) 또는 (40') 만이 작용하며 각 전자클러치의 작용으로 감속기(43)(43) 출력방향의 변화하게 된다. 즉, 제8도 및 제9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일측 전동기하우징(38)에서 전자클러치(39)(39')와 결합된 풀리(41)(41')는 그 축 (61)(61')이 전동기하우징(38)내에 연장되어 축설되고 이들에 각각 기어(62)(62')가 착설되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축(61) 외측단에는 소형풀리(63)가 착설되어 감속기(43)의 입력풀리(44)에 벨트(64)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전자클러치(39)가 작동하고 타측 전자클러치(39')는 작동치 않는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면 풀리(41)가 공회전하고 풀리(41')는 축(61')과 함께 회전하여 기어(62')를 회전시키고 다시 이에 교합된 기어(62)가 회전하여 소형풀리(63)를 회전시키게 되어 감속기(43)의 입력풀리(4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일측 전자클러치(39)는 작동치 않고 타측 전자클러치(39')는 작동하게 될때에는 풀리(41')가 공회전하고 풀리(41)가 축(61)과 함께 회전하여 소형풀리(63)를 역회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감속기(43)의 입력풀리(44)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타측 전동기하우징(38')에서도 상기 일측 전동기 하우징(38)의 경우와 같이, 축(65)(65')및 기어(66)(66')의 구성으로 소형풀리(63')는 타측 감속기(43')의 입력풀리(44')는 입력을 전환시키게될 것이다. 이러한 입력전환장치에 의하여 상형틀의 승강스트로크가 개시될 수 있는 것이다.
감속기(43)의 출력축(45)에는 짧은 레바(46)가 연결되어 롯드(47)로 "∧"형 레바(30)의 제2각부(29)에 연결되어 있으며, "∧"형 레바(30)의 제1각부(29)는 제2횡방향 가동체(14)에 착설된 힌지(48)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직선형 레바(31)도 제2횡방향 가동체(14)와 다른 힌지(4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감속기(43)의 출력축(45)에 연결된 짧은 레바(4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각 레바(30)(31)를 통하여 제2횡방향 가동체(14)가 승강할 수 있다.
감속기(43')의 출력축(45')에도 짧은 레바(46')가 착설되어 있으며 이 짧은 레바(46')는 프레임(1)의 중간에 수평으로 측설한 축(49)으로 부터 연장된 중간레바(50)와 연결 롯드(51)로 연결되어 있다. 이 축(49)의 좌측단에는 시멘트몰탈 공급상자(8)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크랭크암(9)이 착설되어 있고 (제2도), 이 축(49)의 우측단에는 일정한 회전각도 범위에서 왕복 회전하여 선단부가 프레임(1)상에 착설한 두 마이크로스위치(52)(52')를 동작시키는 왕복 회전레바(53)의 중간이 착설되어 있다. (제1도).
이 왕복회전레바(53)의 하단부에는 프레임(1)의 중간에 착설된 걸이대(54)에 선단부가 걸치고 중간 하측에는 반원형돌출부(55)를 갖는 푸싱레바(56)이 후단부가 유착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에서, 수직안내대(6)의 하단에는 상단에 걸림턱(57)을 갖는 괘지레바(58)의 하단이 축설되어 있으며 이 괘지레바(58)의 중간에 스프링(59)이 탄지되어 괘지레바(59)를 전방으로 향하도록 한다. 일측 반원형 회전체(19)의 직선상면부에서 상하측에는 수직봉(20)에 접하여 그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두 역지돌편(60)(60')이 외측으로 돌설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블럭제조기는 수직안내대(5)(5'),(6)(6')에서 제1방향 가동체(11)가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상승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제1방향 가동체(11)가 상승위치에 있을때에 받침틀(16)은 하형틀(2)의 하단부에 상승되어 있으며, 감속기(43')에서 짧은 레바(46'), 연결롯드(51), 중간레바(50) 및 중간축(49)으로 전달된 동력이 크랭크암(9)을 작동시켜 시멘트 몰탈저장통(7)으로 부터 시멘트몰탈이 공급된 시멘트 몰탈공급상자(8)가 전진되도록 한다(제1도,제2도 및 제4도 참조). 이때 크랭크암(9)은 대향축에 착설된 왕복회전레바(53)도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위치로 회전하여 마이크로스위치(52)를 작동시킨다. 시멘트몰탈공급상자(8)로 부터 하형틀(2)내에 시멘트몰탈을 공급한 후 상기 마이크로스위치(52)의 작동으로 전자클러치(40)(40')는 전환하여 작동하므로서 감소기(43')의 출력축(45')이 역회전하여 짧은 레바(46'), 연결롯드(51), 중간레바(50)를 통하여 왕복회전레바(53)는 역회전을 시작한다(제6a도). 이러한 왕복회전레바(53)의 역회전으로 그 하단의 푸레싱바(56)는 전진하며, 프레임(1)에 착설된 걸이대(54) 하측의 반원돌출부(55)에 도달하였을때에 푸레싱바(56)는 그 선단부가 약간 상승되면서 우측의 반원형회전체(19)(제1도, 제6도)의 내측에 입설된 "C"자형 걸림편(23)을 밀어주어 이 반원형회전체(19)가 수평축(18)을 중심으로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제6b도). 이러한 반원형 회전체(19)의 회전에 의하여 이 반원형 회전체(19)에 대향된 반원형 회전체(19')(제2도)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이때에 제1횡방향 가동체(11)와 상형틀(10)의 하중이 양측의 수직축(20)(20')에 의하여 이 반원형 회전체(19)(19')에 가하여져 있으므로 수평축(18)의 직상부로 부터 수직축(20)(20')이 연결된 단축(21)(21')이 전방으로 벗어나는 순간부터는 제1횡방향가동체(11)와 상형틀(10)등의 하중에 의하여 반원형회전체(19)(19')는 180°회전하고 상형틀(10)는 수평축(18)으로 부터 단축(21)(21')까지 거리의 두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신속히 자유낙하하여 하강한다(제6c도).
이러한 상형틀(10)의 급속한 하강으로 하형틀(2) 내에서 시멘트 블록이 압축 성형된다. 이러한 상형틀(10)의 하강후 왕복회전레바(53)의 선단부는 타측의 마이크로스위치(52')를 작동시키고 반원형 회전체(19)의 돌출편(22)은 프레임(1) 선단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므로서 감속기(43)가 작동하고 짧은 레바(46)는 롯드(47)를 당기어 "∧"형 레바(30)가 시계 반대방향(제4도에서 보았을때)으로 회전케하여 수평축(27)을 회전시킨다. 이때에 레바(30)(31)는 제2횡방향 가동체(14)를 하향시키어 하향틀(2)로부터 받침틀(16)은 서서히 하강되게 한다. 이러한 제2횡방향가동체(14)와 받침틀(16)의 하강시에 제2횡방향 가동체(14)상에 재치된 수평축(18)도 동시에 하강하므로 상형틀(10)은 하형틀(2)내로 진입하여 받침틀(16)내에 놓인 시멘트블록이 하형틀(2)을 하측으로 분리되게하여 180°반전된 반원형 회전체(19)(19')로 하강하여 그 최저위치에 이르게된다.(제5도)
이러한 위치에서 시멘트블럭은 받침틀(16) 전면 방향으로 분리해 낼 수 있다. 그후 감속기(43)는 전기적인 제어로 역회전하여서 다시 받침틀(16)을 상승시키기 시작하며 이때에 수평축(18)도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축(18)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반원형회전체(19)(19')에는 그 하측에 제1횡방향가동체(11)와 상형틀(10)의 하중이 수직축(20)(20')을 통하여 가하여지고 있으므로 그들 반원형회전체(19)(19')는 역회전 하면서 수평축(9)과 반원형회전체(19)(19')가 상승하나 제1횡방향 가동체(11)와 상형틀(10)은 수직축(20)(20')이 그 하측이 전방으로 경사지므로 상승속도가 느리다.(제7b).
반원형회전체(19)(19')의 역회전과 함께 상승하려는 작용이 이루어질때에 반원형 회전체(19')의 걸림봉(24)는 괘지레바(58)의 걸림턱(57)에 걸리며 수평축(18)은 계속 상승하려하므로 걸림봉(24)과 수평축(18)은 일직선상에 놓인 반원형 회전체(19')의 단축(21')은 마치 수평축(18)을 중심으로한 걸림봉(24)과의 우려작용으로 신속히 상승한다. 실제로는 걸림봉(24)이 정지되고 수평축(18)이 상승하므로 단축(21')의 상승 방향 회전은 수평축(18)의 상승속도 보다 빠르다.
따라서, 수직축(20)(20')에 의한 제1횡방향 가동체(11)와 상형틀(10)은 그 최상의 위치에 놓인 다음 스트로프를 위한 위치에너지를 갖게된다(제7c도). 이후의 과정은 본 발명의 처음 과정으로 되돌아가 반복되므로서 시멘트블럭을 계속 성형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압착력을 가하여 상형틀의 하강스트로크가 대부분 자유낙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위치에너지를 얻기위한 상승스트로크는 받침틀의 상승시에 그 상승력을 이용한 우력에 의하여 신속히 행하여지므로 종래와 같이 상형틀의 하강을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형틀과 받침틀의 상대적인 운동에 있어서 정확한 동기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프레임(1)의 중앙에 하형틀(2)을 갖는 기판(3)이 착설되고, 저면에는 수직으로 안내로(4)(4')를 형성하는 수직안내대(5)(5'),(6)(6a)가 착설되며, 기판(3)상에는 시멘트몰탈저장통(7)시멘트몰탈공급상자(8)가 착설되고 수직안내대(5)(5'),(6)(6')사이에는 상측으로 상형틀(90)이 착설된 제1횡방향 가동체(11)를 연장하고 하형틀(2)의 하측에는 수직안내대(5)(5'),(6)(6')에 제2횡방향 가동체(14)를 연장하여 그 상부에 받침틀(16)이 착설되어 있으며, 제2횡방향가동체(14)를 수평축(27)에 착설된 "∧"형 레바(30)와 직선상 레바(31)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형 레바(30)를 동력이 전달되는 감속기(43)의 출력측(45)으로부터 연장된 롯드(47)에 연결하며, 이 감속기(43)에 인접하여 착설된 감속기(43')의 출력측(45')에서 레바(46'),연결롯드(51),중간레바(50)로 연결되는 왕복 회전레바(53)를 프레임(1)의 일측에 착설하여, 제1횡방향 가동체(11)의 상부에 지지하여 안내로(4)(4')의 양측으로 연장한 단부에 수직축(20)(20')을 하향 연장하고, 제2횡방향가동체(14)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수평축(18)을 연장하며 안내로(4)(4')의 양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동일 방향으로 향하여 반원형 회전체(19)(19')를 각각 착설하여 제1횡방향 가동체(11)가 최상의 위치에 있을때에 수직축(20)(20')의 하단을 원주부가 프레임(1)의 내측으로 향하는 반원형 회전체(19)(19')의 상측에 입설한 단축(21)(21')에 각각 유착하고, 일축 반원형 회전체(19)의 내면에는 수평축(18)에 인접하여 "C"자형 걸림편(23)을 입설하며, 타측 반원형회전체(19')의 내면에는 단축(21')과 수평축(18)을 연장한 직선상의 하측에 내측으로 걸림봉(24)을 입설하고, 반원형회전체(19)가 착설된 프레임(1)의 축부에서 반원형회전체(19)의 걸림편(23)을 밀 수 있는 푸싱레바(56)을 왕복회전레바(53)의 하단에 연결하고 타측 반원형회전체(19')가 착설된 프레임(1)의 하측에는 걸림봉(24)을 하측으로 걸어 당길 수 있는 걸림턱(57)을 갖는 괘지레바(58)을 스프링(59)으로 회향 탄지되게 착설하여서된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KR1019860000333A 1986-01-20 1986-01-20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KR90000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0333A KR900000363B1 (ko) 1986-01-20 1986-01-20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0333A KR900000363B1 (ko) 1986-01-20 1986-01-20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68A KR870006968A (ko) 1987-08-13
KR900000363B1 true KR900000363B1 (ko) 1990-01-25

Family

ID=1924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333A KR900000363B1 (ko) 1986-01-20 1986-01-20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590A (zh) * 2012-12-28 2013-04-17 河南四海建材设备有限公司 轻质隔墙板挤压成型机的液压升降机构
CN103042591A (zh) * 2012-12-28 2013-04-17 河南四海建材设备有限公司 预应力混凝土板成型机的液压升降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81B1 (ko) * 2012-07-31 2014-07-04 주식회사 천지건업 시멘트몰탈 재질의 스페이서 제조기의 몰탈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590A (zh) * 2012-12-28 2013-04-17 河南四海建材设备有限公司 轻质隔墙板挤压成型机的液压升降机构
CN103042591A (zh) * 2012-12-28 2013-04-17 河南四海建材设备有限公司 预应力混凝土板成型机的液压升降机构
CN103042590B (zh) * 2012-12-28 2014-11-19 河南四海建材设备有限公司 轻质隔墙板挤压成型机的液压升降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68A (ko) 198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9347B (zh) 一种管状塑件的切割装置
KR900000363B1 (ko)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블럭제조기의 상형틀 승강장치
CN110306496B (zh) 迳流式水电站取水口设置随库水位升降而升降式拦污装置
KR101386926B1 (ko) 수평식 프레스
CN115121699B (zh) 一种五金工具加工用冲孔设备
JPH07508467A (ja) 自動成形機
CN218226644U (zh) 智能化悬浮式柔性装配机械手
CN213536529U (zh) 一种玻璃生产用夹持上料装置
CN214161819U (zh) 用于激光切割机自动上料的链传动装置
CN113830710A (zh) 一种自适应斜坡的升降机底座
CN112298899A (zh) 一种在线翻片机
CN205699226U (zh) 一种乒乓球对边设备
CN211803263U (zh) 一种可以自动翻转零件的冲压机
CN211463865U (zh) 一种轴承生产用钢珠筛选装置
CN214959190U (zh) 一种用于生产电机磁瓦的拉下式模具
CN214300444U (zh) 一种上下摇摆装置
CN218969267U (zh) 一种皮革加工用皮革软化装置
CN210766762U (zh) 一种建筑工程用打桩机
KR101133635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JPS58212900A (ja) トランスフアプレス
CN213033394U (zh) 一种冲孔铆合传动机构
CN216327471U (zh) 一种链条表面抛光装置
CN108436177A (zh) 一种便于调节的五金加工用切割设备
CN216656016U (zh) 一种冰箱外壳冲孔装置
CN212068881U (zh) 一种矿山开采用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