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58Y1 -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58Y1
KR900000358Y1 KR2019870010157U KR870010157U KR900000358Y1 KR 900000358 Y1 KR900000358 Y1 KR 900000358Y1 KR 2019870010157 U KR2019870010157 U KR 2019870010157U KR 870010157 U KR870010157 U KR 870010157U KR 900000358 Y1 KR900000358 Y1 KR 900000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uction port
filter
l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419U (ko
Inventor
최걸성
Original Assignee
최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걸성 filed Critical 최걸성
Priority to KR2019870010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358Y1/ko
Publication of KR890000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진공 펌프 본체의 종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다른 진공 펌프 본체의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관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진공 호오스의 삽입구 설치상태도 로서, (a)는 삽입구의 정면도, (b)는 삽입구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본체 10" : 하부 본체
11 : 진공 흡입구 12 : 배출관
13 : 소음기 14 : 공기 흡기구
15 : 뚜껑체 16 : 팩킹
18 : 진공 모터 18' : 흡입구
19,19A : 휠터 18" : 부이공
20 : 메인 배관 21 : 지관
22 : 소지관 30 : 삽입구
32 : 뚜껑체 33 : 팩킹
본 고안은 필요한 소정 장소에 호오스 삽입구를 각각 설치하여, 이에 청소기의 호오스 흡출구만을 삽입하여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 셋트로된 진공 청소기를 소요 장소마다 이동하여 이 진공 청소기에 부착된 전원 코오드로 전원을 연결하여 이 진공 청소기로 소요 장소를 청소하여 왔기 때문에 항시 이 진공 청소기를 본체와 함께 이동시켜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특히 진공 핌프 및 모터의 구동 소음으로 인하여 업무중에는 청소를 할 수 없어서 비업무시간에만 청소를 하여야 하는 등의 제약이 따르는 폐단이 있는 것이 었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옥외나 옥내의 안전 지역에 설치하여 이에 각 필요한 장소로 배관하여 각 소정 장소에 호오스 삽입구를 배설하고, 이 삽입구에 청소기의 흡출구만을 삽입하여 사용토록 된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진공 모터, 휠터가 내설되고 그 일측방에 진공 흡입구오 타측방에 소음기가 관접된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부에 휠터가 장착된 공기 흡기구를 가진 뚜껑체를 구비한 상부 본체와, 이 상부 본체의 하단부에 팩킹을 개재하여 착탈이 자재로운 하부 본체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 흡입구에 접속되는 메인 배관과, 상기 메인 배관에 접속되고 다수개의 소지관을 가진 지관과, 상기한 각 소지관의 끝부에 형성되고 소정 장소에 배설 되며, 통상의 전원 스위치가 내장되고 팩킹이 부착된 뚜껑체를 가진 삽입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진공 모터의 흡입구를 원통형으로 하향 연장하고, 이 외곽 둘레를 휠터로서 포위하며, 이 흡입구의 하단 부위에 부이공을 위치시켜서 이 부이공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진공 모터의 전원이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물의 옥외 또는 옥내의 일정장소에 진공청소기의 본체를 설치하고, 또는 건물의 크기에 맞게 복수개의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해당 구역만 담당하도록 구획하여 설치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배관을 시행하여 소정 장소에 도달하도록 각 지관 및 소지관으로 분기하여 소정 장소의 편리한 곳에 삽입구를 설치하여, 청소시에 이 삽입구에 청소기의 호오스 끝단에 부착된 흡출구만 삽입하면 청소기를통하여 각종 오물이 흡입되어 배관을 타고 상기 본체의 하부 본체에 집합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한 배관은 건물의 기존 각종 배관과 함께 배관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구에는 개폐자재로운 뚜껑체를 장착하고, 불사용시에는 덮은 상태로 하여서 상기 삽입구가 외부로 노출이 안되며, 이 뚜껑체를 열면, 이 뚜껑체에 내장된 통상의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진공 펌프에 통전이 되어 진공 청소기는 작동이 되게 하고, 청소하는 바닥면에 물기가 있을시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진공펌프의 흡입구를 하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휠터가 둘러 싸게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하단 부위에 위치된 부이공이 하부 본체의 모이는 물의 양의 증가에 의하여 그 수위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부이공이 수위와 함께 상승하여 상기 흡입구를 폐색시킴과 동시에 이에 연동된 전원 스위치가 모터에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진공모터로 물의 흡입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서, 본 고안의 효과는 하기와 같다.
(1)진공 청소시 소음이 전무하여 업무중에도 청소가 가능하다.
(2)반영구적이어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3)진공 청소기 본체를 이동시키지 않아서 청소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4)작업장에 설치시에 청소 시간에 단축은 물론 이에 따른 인건비의 절약을 초래한다.
(5)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여 일시에 청소를 끝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진공 임펠러와 냉각펜(각각 도시안됨)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진공 모터(18)와 휠터(19)가 내설되는 상부본체(10)의 일측방에 진공 흡입구(11)를 설치하고, 타측방에는 공기 배출관(12)을 설치하되, 소정개소에 소음기(13)을 관접하며, 또한 이 상부본체(10)의 상부에 휠터가 장착된 공기 흡기구(14)을 가진 뚜껑체(15)로 덮도록 되고, 또한 상기 상부 본체(10)의 하방에 팩킹(16)을 개재하여 착탈이 자재롭게 통상의 복수개의 체결구(17)로 용기 형태의 하부본체(10')의 상단부에 결합시켜서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토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본체(10)에 설치된 진공 흡입구(11)에 메인 배관(20)을 연결시키고, 이 메인 배관(20)에 예컨대, 건물인 경우, 각 구획된 장소로 배설되게 지관(21)을 연결하며, 이 지관(21)에 다수개의 소지관(22)을 연접하여, 이 소지관(22)이 소정장소로 배설되어 있다.
이 소지관(22)의 끝단부에는 각각 삽입구(30)를 형성하여, 이 삽입구(30)의 외부 표출부위에 개폐자재로운 뚜껑체(32)를 장착하고, 이 뚜껑체(32)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전원 스위치(도시안됨 뚜껑체(32)가 열릴시에만 통전되게 함)를 내설하고, 또한 뚜껑체(32)에 삽입구(30)와 당접되는 부위에 팩킹(33)을 부착시켜서 상기 뚜껑체(32)로 삽입구(30)를 닫을시 이 삽입구(30)를 폐색토록 하며, 상기 삽입구(30) 내측에 통상의 청소구(40)의 연결된 호오스(41)의 끝단에 부착된 흡출구(42)가 삽입토록 끼움단부(31)가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제2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상부 본체(10)에 내설되는 진공 펌프(18)의 흡입구(18')을 원통형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이외곽 둘레를 휠터(19A)로 포위하고, 상기 흡입구(18') 하단 부위에 부이공(18")을 위치 시켜서 이 부이공(8")에 연동되게 전원 스위치(도시안됨)로 연결하여 부이공(18")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진공모터(18)에로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되고, 부이공(18")이 소정 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흡입구(18')를 폐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소정 장소의 예컨대, 벽면이나 그외 적당한 장소에 부착된 삽입구(30)의 뚜껑체(32)을 열면 이 뚜껑체(32)에 내장된 통상의 전원 스위치(도시안됨)로 전원이 연결되어 진공 청소기 상부 본체(10)에 내설된 진공 모터(18)가 구동되어 흡입작용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진공 모터(18)가 구동중일때(예컨데, 타 장소에 청소를 할 경우)는 이미 전원이 통전 중임으로 뚜껑체(32)를 열시에 그대로 작동중인 상태로 되어 있어서 즉시, 사용상태로 되어 간다.
이 삽입구(30)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단부(31)에 청소구(40)에 호오스(41)의 끝부에 부착된 흡출구(42)를 삽입하면 상기 진공 모터(18)의 흡인력이 건물에 배관된 메인 배관(20), 지관(21), 소지관(22)을 통하여 삽입구(30)로 도달되고, 이에 삽입된 흡출구(42), 호오스(41)로 통하여 청소구(40)의 끝부에 도달되어 바닥면, 또는 기타 부위에 널려진 오물을 흡입하여 이 흡입된 오물은 전술한 경로의 역순으로 진공 청소기의 상부 본체(10)의 진공 흡입구(11)로 유입되고 이에 휠터(19)에 걸리게 되어 오물은 하부 본체(10')에 낙하여하여 집적하게 되어 진다.
이때, 상기한 필터(19)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관(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 도중에 배출관(12)에 관접된 소음기(13)을 통하여 공기 배출시에 소음이 줄어 들게 된다.
또한, 이때에 상기 진공 모터(18)의 발생되는 열은 진공모터(18)의 상부측에 축삽된 냉각팬(되시안됨)에 의하여 상기 휠터가 장착된 공기 흡기구(14)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모터(18)를 냉각시키고 이 공기 역시 상기한 배출관(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또한, 청소하고저 하는 바닥면등에 오물등과 함께 물기가 있을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이의 작용은 전술한 바와 거의 동일한 것이며, 다만 청소구(40)를 통하여 인입된 물기는 진공 청소기 상부 본체(10)의 진공 흡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어 하부 본체(10')에 모이게 되어 청소를 행할 때마다 모이는 물의 양이 점증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진다.
이물의 증가함에 의하여 흡입구(18')하단에 위치된 부이공(18")이 물에 뜨게되어 이 부이공(18")이 상승하게 되어 진다.
이 부이공(18")이 흡입구(18')를 폐색하는 위치에 도달됨과 동시에 이 부이공(18")에 연동된 전원 스위치(도시안됨)의 작동으로 진공 모터(18)에의 전원이 끊어지게 되어 진공모터(18)는 정지하게 되고, 또한 부이공(18")은 상기 흡입구(18')를 폐색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하부 본체(10')의 인입되는 물의 증가에 따른 진공모터(18)에 로의 위험성을 배제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효과는 종래와 같이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이동시킴이 없이 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간편하게 청소를 끝낼 수 있어서 청소 시간의 단축이 되고, 이에 수반하여 인건비의 절약을 초래하며, 또한 청소시에 소음이 전무하여 수시로 청소를 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경제성을 재고시키는 등의 효과를 주효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진공 모터(18), 휠터(19)가 내설되고 일측방에 진공 흡입구(11)와 타측방에 소읍기(13)가 관접된 배출관(12)이 연결되며, 상부에 휠터가 장착된 공기 흡기구(14)를 가진 뚜껑체를 구비한 상부 본체(10)와, 상기 상부본체(10)의 하단부에 팩킹(16)을 개재하여 착탈이 자재로운 하부 본체(10')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흡입구(11)에 접속되는 메인 배관(20)과, 상기 메인 배관(20)에 접속되고 다수개의 소지관(22)을 가진 지관(21)과, 상기한 각 소지관(22)의 끝부에 형성되고 소정 장소에 배설되며, 통상의 전원 스위치가 내장되고 팩킹(33)이 부착된 뚜껑체(32)를 가진 삽입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 모터(13)의 흡입구(18')를 원통형으로 하향 연장하고, 이외곽 둘레를 휠터(19A)로서 포위하며, 이 흡입구 하단 부위에 부이공(18")을 위치시켜서 이 부이공(18")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진공 모터(13)의 전원이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KR2019870010157U 1987-06-24 1987-06-24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KR900000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157U KR900000358Y1 (ko) 1987-06-24 1987-06-24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157U KR900000358Y1 (ko) 1987-06-24 1987-06-24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419U KR890000419U (ko) 1989-03-10
KR900000358Y1 true KR900000358Y1 (ko) 1990-01-30

Family

ID=1926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157U KR900000358Y1 (ko) 1987-06-24 1987-06-24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3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573B1 (ko) * 1996-10-19 2000-06-15 박종관 자동차용윤활유여과기
KR100263731B1 (ko) * 1997-03-03 2000-08-01 박종관 자동차용윤활유여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573B1 (ko) * 1996-10-19 2000-06-15 박종관 자동차용윤활유여과기
KR100263731B1 (ko) * 1997-03-03 2000-08-01 박종관 자동차용윤활유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419U (ko) 198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7797B (zh) 除湿机
CN101164484B (zh) 紧凑式真空清洁装置
CN108006740B (zh) 自清洗吸油烟机的清洗控制方法
JP2007162979A (ja) レンジフード
KR900000358Y1 (ko) 중앙 집중식 진공 클리닝 장치
KR100722783B1 (ko) 스팀 청소기
CN112869632A (zh) 基站及其清洁方法、智能机器系统
WO2001086211A1 (fr) Hotte aspirante de cuisiniere
EP1205714A2 (en) Smoke exhausting device
CN218186628U (zh) 一种具有气液分离功能的布艺清洗机
CN201286673Y (zh) 一种轻便的洗地机
KR200151726Y1 (ko) 진공청소기(버큠펌프)의 오물자동 배출장치
JP2018054205A (ja) レンジフード
CN211451059U (zh) 方便清洗抽油烟机的自动烹饪柜
KR100488464B1 (ko)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CN111644406A (zh) 一种有检测和清洗功能的浴霸收纳柜
KR100417428B1 (ko) 물청소 가능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JP3070057U (ja) 動物飼育ラック
KR20020044794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장치
KR930005849Y1 (ko) 습, 건식 청소기의 유로(流路)구조
CN220303733U (zh) 高效吸净油烟的吸油烟机及系统
KR101055960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N216557269U (zh) 一种集成烹饪器具
CN218684190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清洁模块及清洁机
CN211451067U (zh) 高效油烟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