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14B1 - 판 축적기(plate stocker) - Google Patents

판 축적기(plate sto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14B1
KR900000314B1 KR1019850007950A KR850007950A KR900000314B1 KR 900000314 B1 KR900000314 B1 KR 900000314B1 KR 1019850007950 A KR1019850007950 A KR 1019850007950A KR 850007950 A KR850007950 A KR 850007950A KR 900000314 B1 KR900000314 B1 KR 90000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holders
plates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759A (ko
Inventor
나오유끼 야노
Original Assignee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25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063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26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063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2797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0965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 축적기(PLATE STOCKER)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판 축적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판 축적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상세한 사시도.
제3도는 루우프 레일들과 판 홀더들을 나타내는 판 축적기의 부분 사시도.
제4도은 루우프 레일들과 판 홀더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판 축적기의 일부의 측면도.
제5도는 제2도 또는 제3도의 선 V-V을 따라서 취한 횡단면도.
제6도는 캠 및 암구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판 입수 및 배출수단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제5도의 화살표 VI로부터 본 확대도.
제7a 내지 7e도는 정지부재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8도는 판 배출 수단과 판 출구부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판 축적기의 일부의 사시도.
제9도는 판 기장 검출수단을 나타내는 제8도의 화살표 IX로부터 본 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를 따라 취한 수평 횡단면도.
제11도는 판 검출수단을 나타내는 제8도의 화살표 XI로부터 본 측면도.
제12도는 판 검출수단을 나타내는 제11도의 화살표 XII로부터 본 상부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 XIII-XIII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14도는 축적기 제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개략 개통도.
제15도는 제14도에 보인 축적기 제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상세한 개통도.
제16도는 축적기 제어 유니트의 다음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개통도.
본 발명은 규칙 또는 불규칙 사이즈, 기장 또는 폭을 갖는 판(plate)으로서 이후 간단히 호칭되는 회로기판들을 인쇄하기 위한 장방형 기판들과 같은 금속 또는 비금속판 부재들을 임시로 축적시키기에 적합한 판축적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판축적기는 또한 선행공정으로부터 하나씩 판들을 입수하고 또한 다음 공정으로 판들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해 판 제조 또는 작업라인의 두 인접한 공정들사이에 위치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회로기판들을 인쇄하기 위한 그러한 판제조 또는 작업라인에는, 작업장치, 검사 또는 측정설비 등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여러 공정들이 있는데, 이 공정들은 판들이 전송되는 작업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판공급 속도는 판의 싸이즈, 기장, 폭, 또는 두께가 다르고 또한 각 공정들의 작업능력이 다르므로 인해 각 공정들에서 일정하지 않다. 그러므로 인접한 선행공정과 그 다음 차기 공정들사이에 축적기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선행공정으로부터 판들을 입수하여 다음 공정으로 판들을 배출시키기 위한 벨트 또는 체인 콘베어 수단을 갖는 판축적기가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벨트 또는 체인 콘베어 수단은 판을 입수하고 배출시키는 동작을 상호 무관하게 시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만일 선행공정의 판공급 속도가 다음공정의 속도와 다를경우, 상술한 형의 판축적기는 보통 선행공정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판들을 부드럽게 입수할 수 없으며 또한 다음 공정에 의해 일정속도로 판을 부드럽게 배출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공급 속도가 선행공정과 차기공정들 사이에서 다를 경우조차 무관하게 판들을 입수 및 배출할 수 있는 판 축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들을 자동으로 입수 및 배출할 수 있는 판 축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제조 또는 작업라인에서 인접한 공정들간에 배열될 수 있으며 또한 직립된 상태에서 대량의판들을 축적시킬 수 있는 판 축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입구부, 판축적부 및 판출구부를 포함하되, 판축적부는 판입구부와 판출구부사이에 연장되며 또한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를 갖고 있는 루우프 레일과, 루우프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판 홀더들과, 홀더들이 판들을 보지하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 향해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또한 판들을 보지하고 있지 않는동안 입구부 뒤로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루우프 레일둘레의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이동수단은 판들을 이동 및 축적시키도록 홀더들과 자동으로 맞물려주고 또한 그로부터 풀어주기 위한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판축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입구부, 판축적부 및 판출구부를 포함하되, 판입구 및 출구부들은 제각기 판축적부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상태로 하나씩 판들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판축적부는 판입구부와 판 출구부사이에 연장되며 또한 상부수평 레일부와 하부 수평 레일부를 갖고 있는 루우프 레일과, 루우프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자유로이 지지되는 다수의 판홀더들로서 홀더들이 루우프 레일의 상부 레일부상에 지지될 때 판들을 직립상태로 보지시킬 수 있는 판홀더들과, 판들을 홀더들에 이송시키도록 수평상태로부터 수직상태로 판들을 돌려줌으로써 판입구부로부터 하나씩 판들을 입수하기 위한 수단과, 홀더들이 판들을 보지하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 향해 상부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판을 보지하고 있지 않는 동안 입구부의 뒤로 하부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루우프 레일을 따라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판들을 이동시켜 축적시키도록 홀더들과 자동으로 맞물리고 또한 그로부터 풀리기 위한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수단과, 홀더들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서 루우프 레일의 상부 및 하부상에 각각 배열되는 정지부재들로서 이동수단으로부터 홀더들을 풀어줄 수 있는 정지부재들과, 그리고 판들을 판출구부로 이송시키도록 수직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판들을 돌려줌으로써 판축적부내의 홀더들로부터 하나씩 판들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판축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홀더들은 그 홀더가 레일로부터 외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루우프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홀더의 연장부는 상부 레일부내에서 홀더의 이동방향으로부터 본 U형 프레임을 한정해주며, U형 프레임은 그 안에 판을 입수하기 위한 내부홈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루우프 레일은 판입수 및 배출수단에 각각 반원부분들을 갖고 있으며, 판입수수단은 하향연장 위치로부터 루우프 레일의 반원부분을 따라 그의 상부 연장위치까지 각 홀더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회전수단은 반원부분의 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디스크와, 방사상 외향으로 돌출되고 내향으로 후퇴하도록 소정의 간격들로 원판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암들과, 그리고, 그의 하향 연장위치에 홀더와 암을 맞물어주도록 방사상 외향으로 그리고 상향 연장위치에서 홀더로부터 암을 풀어 주도록 방사성 내향으로 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을 포함하며, 판 배출수단은 판 입수수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나 그에대해 180도에 의해 거꾸로 배치되며 그리고 판 출구부는 판들 각각이 판 출구부상의 예정된 위치를 통하여 통과할때 판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 원판이 판검출수단에 반응하여 구동되므로 차기판이 판배출수단으로부터 선행판이 예정된 위치를 통해 통과한후 판출구부까지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수단은 홀더들 근처에서 주행하도록 루우프 레일을 따라 배치되는 무단 벨트와, 무단 벨트가 구동될때 홀더들을 공급하도록 상호 자동으로 맞물려주기 위한 홀더들과 무단 밸트상에 배치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들과 같은 맞물림 부재들과, 그리고 홀더들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그의 하류측에서 루우프 레일의 제1 및 제2부분들상에 배열되는 정지부재들로서 홀더들을 정지시키도록 무단벨트의 맞물림 부재들로부터 홀더들을 풀어줄 수 있는 정지부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정지부재들 각각은 홀더을 정지 및 해재시키도록 루우프 레일에 의해 한정된 홀더통로내로 돌출하고 또한 그로부터 후퇴하도록 각각 배열된 한쌍의 봉부재들을 포함하고 있어 봉부재들중 하나가 홀더를 정지시킬때 다른 봉부재는 차기홀더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판배출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판들의직립된 위치에서의 높이 또는 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판의 높이 또는 기장에 의해 예정된 위치를 통하여 각 판들이 통과할때 판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기공정의 비정상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축적부가 판들로 채워질때 선행공정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차기공정이 정상상태에 있지 않을 때 배출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축적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판축적기 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판입구부 11, 축적기부 12, 그리고 판출구부 13을 포함한다. 판입구부 11은 판입구통로수단 11-1과 판입수수단 11-2를 포함한다. 축적기부 12는 입구부 11의 입수수단 11-2와 출구부 13의 판배출수단 13-2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루우프 레일들 25-1과 25-2와 레일들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판 홀더들 14 그리고 홀더들 14를 이동시키기 위한 무단벨트 26을 포함한다. 판출구부 13은 상술한 판배출 수단 13-2와 판 배출통로 수단 13-1을 포함한다.
따라서, 판들 15예, 인쇄회로 기판들은 화살표 D로 표시된 수평방향으로 입구통로 11-1로부터 하나씩 공급되며, 그 다음 입수수단 11-2에 홀더들 14에 의해 입수되어 축적기부 12로 직립된 상태로 이송되어 여기서 판들 15는 일시적으로 축적된다. 그 다음 판들 15는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수평상태에서 배출수단 13-2에 의해 배출통로 13-1로 하나씩 이동된다.풀
[판 입구부]
제1 내지 5도를 참조하면, 판입구 통로 11-1은 한쌍의 좌우 무단벨트들 16-1 및 16-2 예, 고무 타이밍벨트들과, 전후방 풀리들의 쌍들 18-1 및 18-2예, 벨트들과 맞물리기 위한 타이밍 풀리들과, 풀리들 18-1과 18-2를 지지하기 위해 각 측면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전후방 샤프트들 17-1 및 17-2과,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기어들을 포함하는 전원 전송을 통하여 구동샤프트 17-1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도내의)모터 19와, 그리고 광학반사 감지기들 20A와 20B와 같은 한쌍의 전후방 감지기들을 포함한다.
감지기 20A는 판 15가 벨트들 16-1과 16-2상에 올때 그판 15를 검출하여 도시안된 제어유니트로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수신할때 제어 유니트는 구동모터 19에 회전명령을 보낸다. 신호를 수신할 때 제어 유니트는 구동모터 19로 회전지령을 보낸다.
따라서 벨트들 16-1과 16-2는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결국 벨트들 16-1 및 16-2상의 판 15는 입수수단 11-2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 판 15는 홀더들 14중 하나의 판입수홈 14d에 의해 유지되며, 이는 판 입구부 11내의 판 15의 경로와 일직선으로 정렬된 수평위치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다.
감지기 20B는 판 15가 상술한 바와같이 홀더 14에 의해 입수된 위치에 올때 판 15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 유니트로 보낸다. 신호가 수신될 때 제어 유니트는 레일들 25-1과 25-2를 따라 판 25를 잡아주는 홀더 14를 돌려주도록 입수수단 11-2에 구동명령을 보내어 화살표 G로 지시된 바와같은 직립위치상태로 판을 공급해준다.
입수수단 11-2는 한쌍의 좌우측 수직 측면판들 22-1과 22-2에 의해 지지된지지 샤프트 23을 포함한다.
지지샤프트 23 은 지침 유니트 24-1에 연결되어 9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한쌍의 좌우측 원판 34는 지지샤프트23에 단단히 고정된다.
4개의 암들 35는 각 원판 34상에 방사상으로 장치되며, 이 암들은 90도씩 규칙적으로 격리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각 암 35는 각 홀더 14내에 유지시켜 주기위한 맞물림 홈 35a를 그의 자유단부에 갖고 있으며 또한 장력 코일 스프링 37(제5도)에 의해 내향 방사상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암 35의 내부단부는 회전 캠 38A의 외주변과 접촉상태에 있으므로 암 35는 한쪽에서 원판 34에 의해 회전되며 또한 다른 쪽에서 캠 38A에 의해 방사상으로 슬라이드된다.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캠들 38A는 지지샤프트 23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구동원판 38C와 핀 38D를 통하여 실린더 43(제6도)와 같은 어떤 적당한 구동수단에 의해 지지샤프트23에 무관하게 동작된다. 제6도에서 실린더 43은 그의 베이스 단부 43a에서 고정핀 44에 연결되며 또한 그의 피스톤봉 43b의 자유단부에서 구동원판 38c에 고정되는 핀 38D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각 암들 35(제6도에는 35-1, 35-2, 35-3 및 35-4로 표시됨)는 그의 내부단부에서 암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는 롤러 35b를 통하여 캠 38A의 외주변의 방사상 내측으로 몰린다. 캠 38A는 큰 직경의 캠 표면 38A-1과 작은 직경의 캠 표면 38A-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캠 38A가 피스톤봉 43a에 의해 각도를 α 와 β로 표시된 범위내에서 흔들릴 때 원판들 34상의 암들 35-1내지 35-4는 방사상으로 슬라이드 된다. 결과적으로, 각 암 35의 롤러 35b가 큰 직경의 캠표면 38A-1상에 주행할 때 암 35는 홀더들 14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외향으로 돌출한다.
다른한편 각 암 35의 롤러 35b가 작은 직경의 캠 표면 38A-2상에서 주행할 때 암 35는 홀더 14로부터 풀리도록 내측으로 후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 α는 각도β와 동일한 것으로 그들의 두각 α와 β의 합은 약 30도이다. 캠 38A는 처음에는 핀 38D가(제6도에 점선으로 보인 바와같이)각도 a로 나타낸 위치에 위치된다. 중심P밑의 하부암 35-1은 캠 38A의 작은 직경의 표면 38A-2에 의해 내측으로 몰려 중심 P밑의 하부홀더 14로부터 풀리는 위치에 있는다. 다른 한편 중심 P위 상부암 35-3은 캠 38A의 큰 직경의 표면 38A-1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중심 P위의 상부홀더 14에 의해 맞물리는 위치에 있는다. 그 다음 캠 표면 38A는 핀 38D가 α로부터 β로 이동함에 따라 제6도에 실선으로 보인 바와같이 각도 β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하부암 35-1은 중심아래에서 정지된 홀더 14와 맞물림홈 35a를 통해 외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그내로 들어가도록 큰 직경의 캠표면 38A-1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한편 상부암 35-3은 중심 P위의 홀더 14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해제시켜 준다. 왜냐하면 그암의 롤러 35b가 작은 캠표면 38A-2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해제된 상부 홀더 14는 후술되는 바와같이 축적기부 12(제1, 2 및 3도)로 화살표 J로 보인 방향으로 레일들 25-1(25-2)를 따라 공급된다. 그와 동시에, 이제 암 35-2는 수평선 Q상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수평상태로 홀더 14를 유지하도록 큰 직경의 캠표면 38A-1과 접촉상태가 되어 입구통로 11-1을 통하여 수평상태로 들어오는 판 15(제2도)를 그의 입수홈 14d에 의해 입수하여 잡아준다. 다른한편 나머지 암 35-4는 판들을 잡아주지 않는 작은 캠표면 38A-2상에 위치된다. 그다음 홀더 14를 잡아주는 암 35-1은 수평 위치 Q로 즉, 암 35-2가 종전에 위치되었던 위치로 90도 만큼 화살표 G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왜냐하면 롤러 35b는 큰 직경의 캠표면 38a-1상에서 주행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암 35-2는 35-3, 35-3내지 35-4와 35-4 내지 35-1의 위치로 제각기 회전한다. 그다음, 캠 38A는 α에서 대응하는 핀 38b를 초기위치로 회전시킨다. 암 35-2가 종전에 위치되었던 위치로 암 35-1이 이동된후 홀더 14가 암 35-2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차기판을 입수 및 잡아주며, 암 35-1은 다시 수직위치 즉, 암 35-3이 홀더 14를 해제하도록 종전에 위치되었던 위치로 원판 34에 의해 90도만큼 다시 회전된다. 그다음 암 35-1은 암 35-4가 종전에 위치되었던 위치위의 초기위치로 원판 34에 의해 다시 복귀되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기타 암들 35-2, 35-3 및 35-4는 90도씩 인접하여 격리된 위치들에서 암 35-1과 동일한 동작들을 차례로 수행한다. 따라서 입수수단 11-2는 입구통로들 11-1(제2도)로부터 들어오는 판들 15를 하나씩 입수하여 수직상태로 축적기부 12에 판들 15를 공급하도록 차례로 9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축적기부]
입수수단 11-2를 배출수단 13-2에 연결시키기 위해, 한쌍의 좌우 루우프 레일들 25-1 및 25-2는 기부 21의 한쌍의 좌우측 판들 22-1과 22-2상에 배열된다. 루우프 레일들 25-1 및 25-2는 상부 및 하부 수평레일부들을 한정한다. 다수의 홀더들 14는 그 주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들 25-1 및 25-2상에 배열된다. 홀더들 14 각각은 횡단부재 14a와 두개의 측면부재들 14a와 14b를 포함하는 H형 몸체를 갖고 있다. 횡단부재 14a의 각 단부상에는 4개의 레일들 14c(제3 및 5도)가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장치된다.
두쌍의 이들 상부 및 하부롤러들 14c는 각 레일들 25-1과 25-2를 클램프하도록 배치된다. 홀더 14의 각 측면부재들 14b는 판을 입수하기 위한 내부 입수 홈들 14d를 구비하고 있다. 자성부재 14e(또는 자석)은 횡단부재 14a의 하부중심에 부착된다. 자성부재들 14e에 대향하여 무단벨트 26(평평한 또는 타이밍 벨트)는 홀더들 14를 이송시키기 위해 배열되며, 그 벨트 26은 4개의 풀리들 45위에서 입수수단 11-2와 배출수단 13-2사이에 연장된다. 이 풀리들 45는 전방단부(입수수단 11-2)와 후방단부(배출수단 13-2)에 배열된 두쌍의 상부 및 하부롤러들 45를 각각 포함한다. 그밖에, 4개의 롤러들 45중 하나는 벨트 29(제1 및 5도)를 통해 구동모터 28(제1도)에 연결되어 회전되므로 그에의해 화살표 J와 K로 표시된 바와같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무단벨트 26을 구동시킨다. 벨트 26은 예를들어 약 400mm피치씩 규칙적으로 격리되어 홀더들 14의 자석부재들 14e에 대향하는 단부근처에 위치되는 다수의 자석들 27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벨트 26이 화살표 J(화살표 K)로 보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때 지지되지 않은 홀더들 14는 화살표 J와 K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직립상태로 이동한다.
왜냐하면 그의 자성부재 14e는 자석 27으로 당겨져서 홀더들 14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입수수단 11-2와 배출수단 13-2 사이에서 정지부재들 46과 47에 의해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벨트 26의 속도는 작업라인의 속도의 약 두배가 되도록 유리하게 세트되어 있으므로 홀더들 14는 축적기부 12내에 완전히 축적되어 유지되도록 신속히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작업라인의 속도가 약 1.6m/sec일 경우, 벨트의 속도는 약3m/sec로 세트하는 것이 좋다. 자석 27은 그의 각 단부들에서 장착판(도시안됨)에 의해 벨트 26상에 단단히 장치된다. 장착판은 그의 각 단부들에 롤러들(도시안됨)을 갖고 있는데 이 롤러들은 자석 27이 홀더 14의 자성부재 14e를 당길때 횡단부재 14a의 하부표면과 접촉되며 둘사이에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또한 잡음발생을 방지하도록 또한 벨트 26의 이동을 부드럽게 해주도록 자석 27과 자성부재 14e사이에 예를 들어 약 0.5mm의 작은 간극 g(제5도)를 한정해 준다. 벨트 26에 인접하여 외측에는 한쌍의 좌우 루우프 가이드 레일들 30-1과 30-2이 입수수단 11-2과 배출수단 13-2사이에 배열된다. 가이드 레일들 30-1과 30-2의 외주변들상에는 루우프 가이드 홈들 30-1a와 30-1b가 제공된다. 다른한편 각 홀더들 14는 좌우측 가이드 홈들 30-1a와 30-1b 중 하나와 맞물리는 롤러 14f와 그의 바닥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14-1 및 14-2에 표시된 인접한 전후방 홀더들의 가이드 롤러들 14f는 우측가이드 홈 30-2a와 좌측 가이드홈 30-1a와 제각기 맞물리도록 그렇게 배열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들 14f는 각각의 인접한 온도들 14에 대해 좌우측에 교호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인접한 전후방 홀더들 14간의 거리는 가능한한 작아질 수 있다.
그밖에 롤러들 14f의 그러한 배열은 홀더들 14가 가이드 홈들 30-1a 와 30-2a에 의해 사각으로 유지되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한편 홀더들 14는 루우프 레일들 25-1과 25-2를 따라 이동한다.
[정지수단]
정지수단 46과 47은 입수수단 11-2와 배출수단 13-2의 상류측에 각각 배열된다. 각 정지수단은 피스톤 봉들 46a-1, 46a-2, 그리고 47a-1, 47a-2 각각을 갖는 측면판들 22-1과 22-2 각각상에 장치되는 두쌍의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된 평행 실린더들 46-1과 46-2, 그리고 47-1과 47-2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측면판들 22-1과 22-2 그리고 루우프 가이드 레일들 25-1과 25-2를 통하여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정지수단 46의 구조와 기능은 정지수단 47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정지수단의 하나 46은 제7a 내지 7e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며, 여기에 참조번호 25-2(25-1)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루우프 레일과 14-1, 14-2, 그리고 14-3 즉 설명될 특정홀더들을 나타낸다. 제7a도로부터 볼수 있는 바와같이 피스톤 봉 46a-2는 후퇴된다. 다른한편, 피스톤봉 46a-1은 레일 25-2를 따라(배출수단 13-2(wp2 alc 3eh)로부터 입수수단 11-2를 향하는 방향)K방향으로 공급되는 홀더 4-1을 정지시키도록 앞으로 돌출되므로 결국 입수되는 홀더들 14-1, 14-2, … 14- n은 차례로 축적기부 12내에 정지되어 축적된다. 그다음 제7b도에 보인바와 같이 피스톤봉 46a-2는 두봉들사이의 예정된 위치내에 홀더 14-1을 유지시키도록 또한 그와 딩시에 홀더들 14-2,……를 정지시켜 축적시키도록 앞으로 돌출된다. 이 홀더 14-1의 위치는 수직중심 P(제6도)밑의 홀더 14-1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같은 원판 3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암 35-1에 의해 맞물리는 위치와 일치한다. 그다음 피스톤봉 46a-1은 제7c도에 보인바와 같이 정지수단 46으로부터 홀더 14-1을 해제시키도록 후퇴된다 그다음 그 해제된 홀더 14-1은 암 35-1(제6도)에 의해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공급된다. 그 다음 피스톤 봉 46a-1은 제7d도에 보인 바와같이 다시 돌출된다. 그다음, 피스톤봉 46a-2는 후퇴되어 홀더들 14-2, 14-3,……을 제7a도와 동일위치를 보이는 제7e도에 보인바와 같이 피스톤 봉 46a-1 에 의해 정지된다. 피스톤봉들 46a-1과 46a-2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들어오는 홀더들 14-2, 14-3, …을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차례로 색인된다. 제7d도에서 피스톤봉 46a-1의 돌출과 피스톤봉 46a-2의 후퇴는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적기부 12는 다수의 홀더들 14를 축적시키는 역할을 하여 입수수단 11-2로부터 배출수단 13-2로 그들을 하나씩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판 출구부]
판 출구부13의 배출수단 13-2에는 지지샤프트 33의 좌우측판들 22-1과 22-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도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에 연결된 90도 색인 수단 24-2에 의해 구동된다. 이 배출수단 13-2의 구성과 동작은 상술한 입수수단 11-2의 것들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나 전후방 방향에 대해 180도 뒤집힌 관계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배출수단 13-2는 입수수단 11-2의 것들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하며 또한 직립된 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홀더들을 돌려줌으로서 정지수단 47과 협동하여 축적기부 12내에서 직립상태로 축적되었던 홀더들 14를 하나씩 출구통로 13-1로 배출시킨다.
출구통로 13-1은 배출수단 13-2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이 출구통로 13-1의 구성은 입구통로 11-1의 것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고무타이밍 벨트들과 같은 두쌍의 좌우무단 콘베어 벨트들 36-1과 36-2는 판 출구부 13내에 배치된다. 이 벨트들의 타이밍 풀리들과 같은 전후방 풀리들 48-1과 48-2의 쌍들은 좌우측 프레이들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전후방 샤프트들 49-1과 49-2에 고정된다. 구동 샤프트 49-2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 구동모터 39(제1도)에 연결된다. 광반사 감지기들과 같은 다수의 판 검출감지기들 42a를 갖고 있는 감지판42(제1도)는 샤프트들 49-1과 49-2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출구통로 13-1은 벨트들 48-1과 48-2가 판들 15를 공급하도록 모터 39에 의해 (상부 벨트부들에서 화살표 E로 보이고 있는)시계회전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되는데, 이는 다음 작업라인으로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배출수단 13-2로부터 배출된 것이다.
[기장검출 수단]
제8, 9 및 10도에서 기장검출 수단 41은 판배출수단 13-2에 인접한 측변판들중 하나 22-2상에 제공된다. 측면판 22-2상에는 U형 지지블록 61이 나사부재들에 의해 고정되는 기부부재 60가 단단히 장치된다. 한쌍의 통공 실린더형 가이드 파이프들 62-1과 62-2는 지지블록 61상에 상호 평행하게 장치된다. 실린더 블록 64는 가이드 파이프들 62-1과 62-2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치된다.
실린더 블록 64는 도면에 도시안된 기압구동 수단을 그내에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솔레노이드 공기변경 밸브 63에 의해 지지가이드 파이프들 62-1과 62-2를 통하여 공급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결국 실린더블록 64는 제9도에서 a와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후로 왕복운동된다.
그러나, 수력구동기, 실린더형 캠, 나사공급기 또는 자석구동수단은 또한 기술상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 64에 대한 구동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린더 블록 64는 기부판 65를 그위에 갖고 있는데 그위에 통공 장방형 횡단면과 보강늑골 66c를 갖는 직립컬럼 66이 단단히 장치된다. 컬럼 66은 종방향의 장홈 66b를 그의 내측벽 66a상에 갖고 있다. 예정된 간격들로 격리되어 판들 15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5개임)가이드부재들 67-1, …67-5는 장홈 66b를 통하여 컬럼 66내측에 배치된 부품들 69를 장착시키는 나사들 68에 의해 컬럼 66의 내측벽 66a상에 장치된다. 이 가이드부재들 67-1, ……67-5의 위치들은 컬럼 66을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재들 67-1, ……67-5의 횡방향 길이는 상부부재가 하부부재보다 더 짧은 그러한 길이이다. 가이드부재들 67-1, ……67-5는 각각의 판 가이드 창흠들 67b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의 바닥은 직립 컬럼 66에 평행한 수직선에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광학감지기 41a는 각 가이즈부재들 67-1, …67-5의 가이드 장홈 67b의 바닥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5개의 가이드부재들 67-1, 67-2, ……67-5는 각각 상이한 높이 또는 기장을 갖는 5종류의 판들 15-1, …15-5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다시말하여, 가이드부재 67-1은 판 15-1에 대응하여 그의 상연부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 67-2는 판 15-2에 대응하여 그의 상연부에 판15-1의 상연부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 67-3은 판 15-3에 대응하여 그의 상연부와 판 15-2의 상연부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 67-4는 판 15-4에 대응하여 그의 상연부와 판 15-3의 상연부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면들에서 표시번호 70은 가이드부재들 67-1, …67-5의 돌출된 단부들을 따라 배열되는 한쌍의 가이드판들을 나타내며, 71(제10도)은 제한스위치들, 72는 전기 콘넥터 그리고 73은 기부부재 60에 나사로 조여진 커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만일 가장 짧은 판 15-1이 상술한 정지부재 47(제2 및 3도)에 의해 이송되어 유지될 경우, 그때 실린더 블록 64는 제9도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선진이동되므로 가이드부재들 67-1은 판 15-1의 측면연부가 가이드장흠 67b에 의해 입수되어 감지기 41a가 설치되는 위치에 올때까지 점선 67A-1(제9도)로 보인 위치로 다른 가이드 부재들 67-2, …를 구비하고 있다. 그다음 판 15-1의 측면연부를 검출하는 감지기 41a 의 신호만이 도시안된 제어유니트로 입력된다. 그 다음, 가이드부재 67-1은 그의 처음 위치로 컬럼 656과 함께 복귀한다.
만일 예를들어 가장 긴 판 15-5가 예정된 위치에 이송되어 유지될 경우, 그때 실린더 블록 64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전진이동되며, 따라서 가장 먼저 가이드부재 67-1, 그 다음 가이드부재들 67-2…67-5가 차례로 판 15-5의 측면연부를 그들의 가이드 장홈들 67b로서 입수하므로 비로서 판 15-5의 측면연부는 이 모든 가이드 장홈들 67b에 의해 입수되어 이 모든 가이드부재들의 감지기들 41a가 설치되는 위치로 오게된다. 그다음 모든 감지기들 41a 는 도통되어 모든 감지기들의 신호들은 제어유니트로 입력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판 15-4에 대해 4개의 감지기들 41a이 도통되며, 판 15-3에 대해 3개의 감지기들 41a가 도통되며, 그리고 판 15-2에 대해 4개의 감지기들 41a가 도통된다. 이 신호들은 물론 제어유니트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장 검출수단 41은 판 15의 기장을 검출하는데, 이는 실제 기장이 아니고 기장의 정도이다. 물론, 가이드부재들 67-1…67-5의 수와 배열은 판들 15의 수 또는 종류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판 감지기]
제8, 11, 12 및 제13도에서, 판 감지기 42은 화살표 E로 표시된 판배출 방향으로 수평 출구 통로를 따라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통공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종방향기부 프레임 80은 판배출방향 E를 따라 배열된다. 기부 프레임 80은 상부벽 80a와 상부벽 80a를 따라 종방향 장홈 80b를 갖고 있는데 그위에는 L형 횡단면을 각각 갖는 다수의 (이 경우에 5개)지지부재들 81-1, …81-5는 통공프레임 80 내지 배치되는 장홈 80b와 장착판들 83을 통하여 통과하는 나사들 82에 의해 단단히 장치된다. 물론, 이 지지부재들 81-1, …, 81-5는 이 나사들 82와 장착판들 83에 의해 세로방향 E로 그들의 위치들이 조정될 수 있다. 반사형 광학 감지기 42a는 각각의 지지부재들 81-1, … 81-5의 상부분부상에 장착된다.
이 광학감지기들 42a는 벨트들 36-1과 36-2에 의해 배출되며 상술한 판검출 감지기들 41 즉, 각 판들 15-1, …, 15-5에 대응하여 판 배출방향 E로 배열되는 판들 15(제11도에 점선으로 도시됨)에 인접하여 밑에 위치되어 있다. 다시말하여, 지지부재 81-1의 감지기 42a는 가이드부재 67-1(제9도)의 감지기 41a에 대응하며, 지지부재 81-2의 감지기 42a는 가이드부재 67-2의 감지기 41a에 대응하며 그리고 기타 지지부재들의 감지기들 42a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이다.
상기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판감지기 42는 각각 5종류의 판들 15-1,15-2…이 통과하는 출구통로 13-1상의 위치들을 검출할 수 있다. 만일 가장 짧은 판 15-1이 우선 배출된다음 그보다 더 긴판 15-2가 배출되며, 홀더 14에 의해 잡힌 판 15-1의 후미연부가 대응하는 지지부재 18-1의 감지기를 통해 통과할 때 이 감지기 42a는 제어 유니트(도시안됨)에 신호를 입력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출구통로 13-1의 밸트들 36-1과 36-2에 의해 배출되고 있는 판 15(예, 판 15-1)의 후미연부가 그 다음 들어오는 판 15(예, 판 15-2)에 대응하는 감지기 42a를 통하여 통과할 때 문제의 감지기 42a는 배출되고 있는 판 15가 다음과 같이 들어오는 판 15의 기장과 일치하는 출구 통로 13-1상의 위치를 통하여 지나가고 있는 제어유니트를 알려주도록 신호를 보내도록 작동된다.
판기장 검출 감지기 41은 판 15(예, 판 15-1)의 기장을 검출하여 제어유니트(도시안됨)에 신호를 입력시킨다. 제어 유니트는 기장검출 감지기 41로부터 신호에 의해 문제의 판에 대응하는 판 감지기 42a를 작동시킨다. 선행판 15의 후미연부가 문제의 감지기 42a를 통하여 통과 할때 감지기는 그것을 검출하여 신호를 제어 유니트로 보내주어 배출수단 13-2가 작동된다. 따라서, 배출수단 13-2는 선행판 15에 대해 예정된 간극으로서 출구통로 13-1상에 판 15를 배출시켜 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기장을 갖는 여러종류의 판들이 문제의 판과 선행판사이의 예정된 간극(예, 약 20mm)으로서 하나씩 배출될 수 있다. 물론 간극을 판 감지기들 42a의 위치들을 선택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그 조정하는 시간동안 배출수단 13-2는 판 15를 직립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출구통로 13-1로 이동시킨다.
한쌍의 좌우판 정지부재들 54는 각각 판 출구통로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봉 54a를 갖는 실린더 등를 포함한다. 배출수단 13-2가 출구통로 13-1상에 판 15를 배출할 때 판 15는 선행판 15가 예정된 위치를 통하여 통과할때까지 내부로 돌출되는 봉들 54a에 의해(예, 판이 수평면에 대하여 5도만큼 경사진 위치에서) 출구에 인접한 상부위치에서 임시로 정지될 수 있다. 그후, 문제의 판 15는 봉 54a를 외측으로 후퇴시킴에 의해 배출통로 13-1상에 배출된다. 상기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판 정지부재들 54는 인접판들사이에 예정된 일정간극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긴 판의 경우에 정지부재들 54 또한 판이 임시로 정지될 때 문제의 판이 선행판과접촉상태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축적 제어]
제14, 15 및 16에서, 참조번호 10은 선행판 축적기를 나타내며, 10-1은 하류판 축적기, 13A는 출구부 13의 구동수단, 90-1과 90-2는 공정라인내의 장치(예, 기계연장들) 91은 제어유니트, S1, S2와 S3는 차기장치로부터 비정상신호들, S4는 제어유니트 91로부터 구동장치 13A로의 비정상신호와, S5는 전부하검출 감지기 55로부터 제어유니트 91로의 신호, S6은 제어유니트 91로부터 선행장치로의 신호, 그리고 V는 판 15의 흐름을 나타낸다. 제어유니트 91은 출구부 13의 구동수단 13A를 제어하도록 차지장치들로부터의 비정상신호들을 수신하는 한편 선행장치를 제어하도록 전부하 검출감지기 5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만일 축적기 12가 판들 15로 채워질 경우, 전부하 검출감지기 55는 신호 S5를 제어유니트 91에 입력시킨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전부하 검출감지기 55는 축적기 12가 실제로 채워지기전에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결국 선행장치의 적어도 판들 15는 축적기 12내에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제어유니트 91이 플립플롭 104에 의해 신호 S5를 수신할 때, 신호 S6는 선행장치(예, 축적기 12의 상류에 위치된 기계연장 또는 그 장치의 더 상류 라인에 위치되는 다른 기계)에 입력된다. 플립플롭 104로부터의 신호는 또한 축적기 12가 완전히 부하된 것을 표시하도록 밧데리 118로부터의 전원으로 경고등을 117을 턴온시키도록 앤드게이트 109를 통하여 구동기 113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선행장치나 더 선행하는 장치들 판들 15를 그 장치에 배출시킨 후 동작을 정지한다. 상기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적기 12에서 판 입수동작과 판 배출동작은 공정라인내의 선행 및 차기장치들 또는 기계들중 하나가 어떤 이유로 정지할 때조차 상호무관하게 수행된다.
제16도에 보인 실시예에 의하면, 만일 공정라인내의 기계들 90-1과 90-2의 하류에 배치되는 후속판 축적기 10-1이 판들 15로 완전히 부하되는 바와 같이 어떤 이유로 비정상 신호 S6를 발생시킬 경우 신호 S6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행 축적기 10의 제어유니트 91로 입력된다.

Claims (13)

  1. 판입구부와 판축적부, 그리고 판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축적부는 : 판입구부와 판출구부사이에 연장되어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를 갖는 루우프 레일과,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판 홀더들과, 상기 홀더들이 판들을 잡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 향해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또한 판들을 잡고 있지 않는 동안 입구부 뒤로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루우프 레일둘레의 상기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판들을 이동 및 축적시키도록 홀더들과 자동으로 맞물리고 풀어주기 위한 맞물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2. 판입구부, 판축적부, 그리고 판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축적부는 : 상기 판입구부와 판출구부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수평레일부와 하부 수평 레일부를 갖고 있는 루우프 레일과,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홀더들이 루우프 레일의 상부레일부상에 지지될 때 직립상태로 판들을 잡아줄수 있는 다수의 판홀더들과, 판들을 홀더들에 이송시키도록 수평상태로부터 수직상태 판들을 회전시킴으로서 판입구부로부터 하나씩 판들을 입수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홀더들이 판들을 잡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 향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판들을 잡고 있지 않는 동안 입구부뒤로 상기 하부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상기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판들을 이동 및 축적시키도록 홀더들과 자동으로 맞물리고 또한 풀어주기 위해 맞물림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수단과, 홀더들의 이동방향에 대해 그의 하류측에 루우프 레일의 상부 및 하부상에 배치되는 정지부재들로서,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홀더들을 풀어줄 수 있는 정지부재들과, 그리고 판들을 판출구부로 이송시키도록 수직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판들을 회전시켜줌으로써 판축적부내의 홀더들로부터 하나씩 판들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3. 제2항에서, 상기 홀더들 각각은 홀더가 레일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루우프 레일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홀더의 연장부는 상부레일부내의 홀더의 이동방향으로부터 보아 U형 프레임을 한정하며, 상기 U형 프레임은 그내에 판을 입수하기 위한 내부홈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4. 제2항에서, 상기 홀더들 각각은 홀더가 레일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루우프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루우프 레일은 상기판 입수 및 배출수단에 각각 반원형부분들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판 입수수단은 루우프 레일의 상기 반원형 부분을 따라 하향연장위치로부터 그의 상향연장위치로 홀더들을 각각 회전시켜 주기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반원형 부분의 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원판과,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내측으로 후퇴시키도록 일정한 간격들로 상기 원판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암들과 그리고 홀더로서 암을 그의 하향 연장위치에서 맞물어주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또한 홀더로부터 암을 그의 상향 연장위치에서 풀어주도록 방사상 내측으로 상기 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축적기.
  5. 제2항에서, 상기 홀더들 각각은 홀더가 레일에 수직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루우프 레일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루우프 레일은 상기판 입수 및 배출수단 각각에 반원형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판 배출수단은 루우프 레일의 상기 반원형 부분을 따라 상향연장위치로부터 그의 하향연장위치로 홀더들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반원형 부분의 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원판과,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내측으로 후퇴시키도록 일정한 간격들로 상기 원판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암들과, 그리고 홀더로서 암을 그의 상향 연장위치에서 맞물어주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또한 홀더로부터 암을 그의 하향연장위치에서 풀어주도록 방사상 내측으로 상기 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판출구부는 판들 각각이 판출구부상의 예정된 위치를 통하여 통과할 때 판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원판은 다음 판이 선행판이 상기 예정된 위치를 통해 통과한 후 상기판배출수단으로부터 상기판 출구부로 이송되도록 상기 판 검출수단에 반응하여 구동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들 각각은 홀더들 정지 및 해제시키도록 루우프 레일에 의해 한정된 홀더통로내로 돌출되고 또한 그로부터 후퇴하도록 각각 배열되는 한쌍의 봉부재들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봉부재들중 하나가 홀더를 정지시킬 때 다른 봉부재가 다음 홀더를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7. 판입구부, 판축적부, 그리고 판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축적부는 : 상기 판입구부와 판출구부사이에 연장되는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를 갖고 있는 루우프 레일과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판홀더들과, 상기 홀더들이 판들을 잡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 향해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또한 판들을 잡고 있지 않는 동안 입구부 뒤로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루우프 레일 주위에서 상기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홀더들 근처에서 주행하도록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배열된 후단벨트를 포함하는 이동수단과, 무단벨트가 구동될때 홀더들을 공급하도록 자동으로 서로 맞물리기 위해 상기 무단벨트와 상기 홀더들상에 배열되는 맞물림 부재들과, 그리고 홀더들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서 루우프 레일의 제1 및 제2레일부상에 배열되는 정지부재들로서 홀더들을 정지시키도록 무단벨트의 상기 맞물림부재들로부터 상기 홀더들을 풀어줄 수 있는 정지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8. 제7항에서,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무단벨트상에 배열되는 자석들이나 자성체들중 하나와 상기 무단벨트에 대향하여 상기 홀더들 각각상에 부착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의 다른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9. 판입구부, 판축적부, 그리고 판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축적부는 : 상기 판입구부와 판출구부사이에 연장되는 상부레일부와 하부레일부를 갖는 루우프 레일과,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판홀더들로서 홀더들이 루우프 레일의 상부 레일부상에 지지될 때 직립상태로 판들을 잡아줄수 있는 상기 판 홀더들과, 판들을 홀더들로 이송시키도록 판입구부로부터 판들을 하나씩 입수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홀더들이 판들을 잡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 향해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또한 판들을 잡고 있지 않는 동안 입구부 뒤로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상기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판들을 판출구부로 이송시키도록 수직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판들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판축적부내의 홀더들로부터 하나씩 판들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판출구부는 판축적부로부터 평평한 상태로 하나씩 판들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상기 판 배출수단에 인접하여 배열된 직립위치로 판들의 높이나 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판들 각각이 판의 상기 높이 또는 기장에 따라 예정된 위치를 통하여 통과할 때 판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10. 제9항에서, 상기 기장검출 수단은 상기 루우프 레일에 의해 한정된 판통로로 그리고 그로부터 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직컬럼으로서 수직컬럼이 판들 각각의 측연부와 상기 수직홈에 의해 맞물리게 되도록 수직홈을 갖는 상기 컬럼과, 상기 홈내에서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감지기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판 검출수단은 판들의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감지기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11. 선행공정에 연결되는 판입구부, 판축적부, 차기공정에 연결되는 판출구부 그리고 축적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판축적부는 상기 판입구부와 판출구부간에 연장되는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를 갖는 루우프 레일과, 상기 루우프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판홀더들과 판들을 홀더들에 이송하도록 판입구부로부터 하나씩 판을 입수하기 위한 수단과,상기 홀더들이 판들을 잡고 있는 동안 출구부를향해 상기 제 1레이부를 따라 이동하고 또한 판들을 잡고 있지 않는동안 입구부뒤로 상기 제 2레일부를 따라이동하도록 상기 루우프 레일 주위에 상기 홀더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판들을 이동 및 축적시키도록 홀더들과 자동으로 맞물리고 또한 그로부터 풀어주기 위한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수단과 그리고,판정의 비정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축적부가 판들로 충만될때 상기 선행공정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상기 차기 공정이 비정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배출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12. 제11항에서, 상기 차기공정은 다른 판축적기인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13. 제11항에서, 상기 선행 공정은 다른 판축적기인 것이 특징인 판축적기.
KR1019850007950A 1984-10-29 1985-10-26 판 축적기(plate stocker) KR900000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25676 1984-10-29
JP59-225675 1984-10-29
JP59225675A JPS61106317A (ja) 1984-10-29 1984-10-29 板材ストツカ−の板材等間隔払出し機構
JP59226674A JPS61106368A (ja) 1984-10-30 1984-10-30 板材ストツカ−の早送り機構
JP59227977A JPS61109650A (ja) 1984-10-31 1984-10-31 板材ストツカ−を用いた板材加工システム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759A KR860003759A (ko) 1986-05-28
KR900000314B1 true KR900000314B1 (ko) 1990-01-25

Family

ID=2733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950A KR900000314B1 (ko) 1984-10-29 1985-10-26 판 축적기(plate sto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326B1 (ko) * 2006-07-25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759A (ko) 1986-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1303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ositioning electrical and or electronic components on a substrate
US4934891A (en) Component supply structure
EP0180440B1 (en) Plate stocker
US6414503B1 (en) Magazine for carrying a plurality of multi-chip modules
WO1999003733A1 (en) Position sensing system for an inspection and handling system
US4423815A (en) Component sorting apparatus
KR900000314B1 (ko) 판 축적기(plate stocker)
US4625499A (en) Device for loading product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US5109584A (en) Printed circuit board adapt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apparatus
US4763780A (en) Package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electrical connectors
US4917568A (en) Suction pick-up apparatus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RU20822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электрон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на печатной плате
JPH0378657A (ja) 検体搬送方向変換装置
JP2636961B2 (ja) マガジン式プリント基板供給装置
JPS6133680Y2 (ko)
US3835521A (en) Gravity-fed selectable pin insertion device
CN116723636B (zh) 线路板的输送和对中设备
CN1035902C (zh) 片头储存器和片头储存器组件
JP2514214B2 (ja) ウエハ取出し収納装置
JPH0558571B2 (ko)
KR940007178Y1 (ko) 레이저 마킹장치
JPH09260458A (ja) 基板の取り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40148767A1 (en)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components on substrates
CN117163627A (zh) 轨道输送线和医疗实验室自动化系统
KR970011564B1 (ko) 자동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