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701957A - 열분해 가스화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스토브 - Google Patents

열분해 가스화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스토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701957A
KR890701957A KR1019890700192A KR890700192A KR890701957A KR 890701957 A KR890701957 A KR 890701957A KR 1019890700192 A KR1019890700192 A KR 1019890700192A KR 890700192 A KR890700192 A KR 890700192A KR 890701957 A KR890701957 A KR 89070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ifier
fuel gas
air
housing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릭 피터 베이에르
버델 탈마찌 보이어
리차드 알렌 수이쎄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아브레스티언 인더스트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아브레스티언 인더스트리스, 인크.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9070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4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B90/06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the primary combustion being a gasification or pyrolysis in a reductiv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1/02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10008Special arrangements of return flow seal valve in fluidized bed combus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분해 가스화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스토브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제3도에 도시한 스토브버너는 제외하고 본 발명의 난방스토브시스템을 일부는 단면으로 도시한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헤드벨브부분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토브 버터부분의 사시도.

Claims (29)

  1. 연료가스 및 목탄을 제조하기 위해 생물량 입력재료를 환원시키기 위한 가스화 장치, 가스화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장치, 공기를 가스화 장치를 통하여 취송하고 가스화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가스를 연료가스버너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가스화장치내의 현존생물량 입력재료들이 예정수준이하일 때 가스화장치에 생물량 입력재료를 자동적으로 부가하기 위한 장치, 온상태로 부터 오프상태로 변화하는 열전대에 따라 가스화장치내의 잔여목탄을 자동적으로 점화시키는 장치, 가스화 장치내의 목탄의 수준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열전대가 오프상태에 있고, 생물량 입력재료가 대체로 모두 목탄으로 환원되었을 때 가스화장치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종결시키는 장치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스토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장치가 생물량 입력을 열분해에 의해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량입력을 부가하는 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가 열전대가 온상태에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열분해환원장치내의 목탄이 완전히 점화되는 시기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생물량 입력재료가 연료가스 및 목탄으로 환원되고, 상기 생물량부가 장치가 상기한 연료가스 및 목탄으로의 환원후에만 작동하게 되는 열분해주역이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가스화 장치를 통하여 공기를 하방으로 취송하고 연료가스를 버너장치로이동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송풍기가 상기 가스화장치에 의해 탄소입자의 형태로 제조된목탄을 상기 버너장치로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버너장치가 탄소 및 연료가스의 혼합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부분및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주입부분이 상기 제1주입부분의 대략 직방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가 가스화 장치내에 위치되고, 제1예정온도로 세팅되는 열전 쌍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제1예정온도가 ±13.9°(25℉)의 편차를 갖는 약15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가스화장치내의 예정된 위치에서의 온도가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면 가스화장치로 부터 탄소를 제거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예정온도수준이 ±13.9℃(25℉)의 편차를 갖는 약540℃(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열전대를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생물량 첨가 장치 및 탄소제거장치를 중단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종결장치가 생물량 입력재료의 상부에서의 가스화 장치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예정수준에 도달했을때 가스화장치의 작동을 종결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수준이 ±13.9℃(25℉)의 편차를 갖는 약400℃(75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종결장치가 열전대의 온 또는 오프상태와는 무관하게 예정온도수준이 감지될 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가 상기 가스화장치의 정부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유입관내에 위치한 헤드밸브를 포함하고, 또한 헤드밸브를 공기 및 생물량 입력재료가 가스화장치 내로 주입될 수 있는 제1위치 및 공기와 생물량 입력재료가 가스화장치내로 주입될 수 없는 제2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점화장치는 또한 헤드밸브로 부터 가스화 장치내로 하향연장되는 점화요소를 포함하며, 점화요소는 작동시 가스화 장치내의 목탄을 통하여 전기 아아크를 발생시켜 공기가 또한 상기 가스화장치를 통하여 이동되고 있을 때 목탄을 점화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장치.
  17. 가스화 장치 내부로의 공기 및 생물량 입력재료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생물량 입력재료 및/또는 공기가 가스 화장치 내로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스화장치의 정부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유입장치, 유입장치의 내부표면에 대해 밀봉입되어 있으며 유장치내에서 종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밸브장치, 유입장치내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제1위치 및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제2위치의 양종방향위치 사이에서 밸브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밸브장치로 부터 가스화장치 내부로하방으로 연장된 점화장치를 포함하고, 점화장치는 작동시 잔여재료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할 때에 가스화 장치내의 잔여재료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가 셔터모터 및 셔터모터와 밸브장치사이에서 연장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고, 셔터모터는 셔터모터가 작동중일 때에는 연동장치가 밸브장치를 상기 밸브장치의 제2위치에 유지시키고 셔터모터가 작동중지 상태일 때에는 밸브장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밸브장치의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가스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연료가스를 버너에 전달시키기 위해 출구파이프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가스화 장치를 통하여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기에 있어서, 가스화장치에 의해 생성된 연료가스 주입용 유입구 및 버너에 유입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는 하우징 장치,출구를 통하여 연료가스를 하우징 장치로 부터 이동시키고 가스화 장치를 통하여 공기를 취송하기 위해 하우징에 위치한 제1팬장치, 상기 팬장치의 저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그 전체길이에 걸쳐 중공형으로 되어 있으며 중공부는 주위와 연통되며 장치가 그위에 장착되는 팬축, 팬축을 회전시켜 제1팬장치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장치, 상기 팬축을 지지하기 위해 위치된 베어링장치, 및 하우징 하방의 상기 팬축상에 위치하는 제2팬 장치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회전장치는 팬축의 하단부근처에서 팬축상에 위치한 풀리, 모터 및 모터와 풀리를 연결시키기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풀리상부의 상기 팬축상에 연속적으로 상기베어링들은 상기 베어링장 치들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베어링, 상기 제2팬장치, 및 팬축을 하우징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장치가 또한 가스화 장치로 부터 하우징출구를 통하여 연료가스와 함께 입자화된 탄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팬축의 중공부가 팬축의 하단부로 부터 팬축의 대체로 전길이를 통하여 연장되고 각각의 중공단부부분이 주위로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스토브등에 사용되는 연료가스 버너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표면과 외측주연부 연결벽을 가지며 그중 최소한 하나의 표면은 개구부를 갖는 환형 하우징, 연료가스가 주연부벽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배설되고 또한 형태를 갖는, 하우징에 연료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하우징내에서 연료가스를 점화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25. 제24항에 있어서, 공기주입용 장치 및 공기를 상기 공기주입장치를 통하여 하우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또한 포함하고, 연료가스 주입장치는 연료가스 및 탄소입자들을 반송하고,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연료가스주입장치의 직하방에 상기연료가스주입장치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버너의 작동시 탄소입자들은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연료가스 주입장치 및 공기주입 장치가 대체로 같은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공기가 연료가스 및 탄소의 하우징으로의 이동체적비의 3내지 4배의 범위 이내의 체적비로 하우징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표면들이 정렬된 중심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표면의 중심개구부들의 대체로 원형이고 중심 개구부들의 면적이 각각의 상부 및 하부표면의 전체면적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700192A 1987-06-03 1988-06-02 열분해 가스화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스토브 KR890701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57,778 1987-06-03
US07/057,778 US4738205A (en) 1987-06-03 1987-06-03 Heating stove which includes a pyrolysis gasifier
PCT/US1988/001884 WO1988009903A1 (en) 1987-06-03 1988-06-02 Heating stove which includes a pyrolysis gas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57A true KR890701957A (ko) 1989-12-22

Family

ID=2201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192A KR890701957A (ko) 1987-06-03 1988-06-02 열분해 가스화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스토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38205A (ko)
EP (1) EP0317615A4 (ko)
JP (1) JPH02500771A (ko)
KR (1) KR890701957A (ko)
CN (1) CN1012991B (ko)
AR (1) AR241550A1 (ko)
CA (1) CA1306939C (ko)
WO (1) WO1988009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6463A (en) * 1988-05-06 1992-03-17 American Power & Waste Management Ltd. Gasifier adapted to generate activated carbon
US5000100A (en) * 1989-08-23 1991-03-19 Mendive Richard J Pellet fuel combustion assembly
GB2242687B (en) * 1990-03-31 1994-08-31 Uss Kk Apparatus for converting synthetic resin into oil
US5101739A (en) * 1991-01-04 1992-04-07 Utah Environmental Energy, Inc. Tire gassification and combustion system
JPH06184560A (ja) * 1992-07-10 1994-07-05 Hiroshi Shimizu 有機廃棄物の熱分解装置
US5514286A (en) * 1993-10-29 1996-05-07 Etg Environmental Thermal desorption unit
US5618321A (en) * 1994-09-15 1997-04-08 Thermal Technologies, Inc. Pyrolysis gasifier with inner sleeve member
WO1996032163A1 (en) * 1995-04-11 1996-10-17 Moraski Dennis P Biomass solids gasification system and process
AU7023598A (en) 1997-04-24 1998-11-13 Dell-Point Combustion Inc. Solid fuel burner for a heating apparatus
CN100390461C (zh) * 2004-06-21 2008-05-28 李锡斌 植物气化炉灶
HU0500434D0 (en) * 2005-05-02 2005-07-28 Morvai Ferenc Gasification and burning method and device for pellet from herbs
US7621227B2 (en) * 2005-12-16 2009-11-24 Sterr Kevin K Granular biomass burning heating system
DE102007010919A1 (de) 2007-03-05 2008-10-30 Viessmann Werke Gmbh & Co Kg Brennstoffbehälter
ITTO20080823A1 (it) * 2008-11-07 2010-05-08 Nathaniel Mulcahy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gassificazione e/o pirolisi, o vaporizzazione di un materiale combustibile
DE102014016253B4 (de) 2014-11-04 2023-08-17 Harmanus Tapken Feststoffbrenner zum Verbrennen und Vergasen von tierischem Mist
CN106010658A (zh) * 2016-06-02 2016-10-12 江门市智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气化装置
CN108800103A (zh) * 2018-06-15 2018-11-13 河北科技大学 具有二次点火装置的生物质气化燃烧锅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8261A (en) * 1971-03-30 1973-09-11 B Galliano Atomizing burner
US3804578A (en) * 1972-10-10 1974-04-16 D Robbins Cyclonic combustion burner
US4213404A (en) * 1978-11-09 1980-07-22 Energy Alternatives, Inc. Solid refuse furnace
US4531462A (en) * 1980-01-18 1985-07-30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Biomass gasifier combustor
US4306506A (en) * 1980-06-02 1981-12-22 Energy Recovery Research Group, Inc. Gasification apparatus
US4530702A (en) * 1980-08-14 1985-07-23 Pyrenco, Inc. Method for producing fuel gas from organic material, capable of self-sustaining operation
DE3312863C2 (de) * 1983-04-09 1986-12-04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Brennkammer zum Verbrennen von Abgasen
US4513671A (en) * 1984-07-20 1985-04-30 Eshland Enterprises, Inc. Particle fuel delivery control device
US4659340A (en) * 1985-06-24 1987-04-21 Weaver Lloyd E Pressurized downdraft gas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06939C (en) 1992-09-01
JPH02500771A (ja) 1990-03-15
EP0317615A4 (en) 1989-09-26
CN1012991B (zh) 1991-06-26
WO1988009903A1 (en) 1988-12-15
CN1030470A (zh) 1989-01-18
AR241550A1 (es) 1992-08-31
US4738205A (en) 1988-04-19
EP0317615A1 (en) 198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701957A (ko) 열분해 가스화장치를 포함하는 난방 스토브
US4023508A (en) Apparatus to burn waste combustible polymers
JP2613345B2 (ja)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US3777678A (en) Cyclonic type fuel burner
US3483832A (en) Apparatus for burning industrial wastes
KR910017153A (ko) 버너불꽃이 서로 마주보는 회전가마
US1951379A (en) Combined gas and oil burner
US4626204A (en) High-temperature hot-air generator
EP0173628B1 (fr) Four pour l'incinération de déchets
KR100413188B1 (ko) 가연성 분체연료 연소기
KR100564881B1 (ko) 연소로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원심분리 연소장치
US4846668A (en) Heating stove which includes a pyrolysis gasifier
US4059395A (en) Device for removing carbonizable residues
JP3067951B2 (ja) 立筒型上炎式焼却炉
US4799437A (en) Heating stove which includes a pyrolysis gasifier
KR200262016Y1 (ko) 자동 코크스 보일러.
JP2001311511A (ja) 廃棄物の焼却方法および焼却炉
JPS5541384A (en) Combustion controlling apparatus
JP3579774B2 (ja) バーナー加熱式高分子焼却機
US2408865A (en) Oil burner
JPS5828493B2 (ja) 粒状、泥状被燃焼物の噴射燃焼装置
KR100535861B1 (ko) 연소로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원심분리 버너
FR2614392A1 (fr) Four crematoire perfectionne
JPS5618208A (en) Combustion device
SU1513313A1 (ru)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гревательной пе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