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9126Y1 -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 Google Patents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9126Y1 KR890009126Y1 KR2019890012669U KR890012669U KR890009126Y1 KR 890009126 Y1 KR890009126 Y1 KR 890009126Y1 KR 2019890012669 U KR2019890012669 U KR 2019890012669U KR 890012669 U KR890012669 U KR 890012669U KR 890009126 Y1 KR890009126 Y1 KR 8900091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click
- coupling
- axial direction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4도는 누룸판(21)의 사시도.
제5도는 소켓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B-B 선 단면도.
제7도는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결합시킬 경우 및 그 결합을 해제할 경우의 록크용 스프링편(17), 클릭(18), 누룸판(21), 감합오목홈(35), 결합오목부(38)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플러그의 다른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소켓의 다른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플러그본체 12 : 삽입부
13 : 플러그콘택트 14 : 코오드
15 : 캡 17 : 로크용스프링편
18 : 클릭 21 : 누룸판
22 : 코일스프링 23 : 결합용통체
34 : 소켓본체 35 : 감합오목홈
36 : 소켓콘택트 38 : 결합오목부
본 고안은 소켓에 결합함으로써 플러그의 콘택트와 소켓의 콘택트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와 소켓을 삽입결합하면, 그 결합 상태가 록크되는 록크기구부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플러그는 예를들면 일본실개소 53-110489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하면 록크기구가 자동적으로 작용해서 결합상태가 록크된다. 이 때문에 그 플러그 또는 소켓에 접속된 코오드가 예를들면 손이나 발에 걸려도 플러그와 소켓과의 결합이 빠질 염려가 없다. 이 결합상태를 해제할려면, 플러그의 외주에 착설된 결합용 통체를 그 편의력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당겨서 로크를 풀어서 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 종류의 록크기구 부착플러그에 있어서는, 그 결합에 있어서 플러그의 결합용 통체부분을 잡고 결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결합용통체는 플러그의 외주에서 비교적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플러그를 사용하는 사람은 결합용통체 이외의, 예를들면 캡부분으로 결합할 필요가 있어, 그 결합조작시에 그런 것을 의식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할 때에 플러그의 어느부분을 잡고서도 행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록크기구부착 코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캡 및 플러그 본체의 외측에 동축심적으로 결합용통체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우고 플러그본체에 그 전방으로 돌출해서 축방향으로 연장한 록크용스프링편이 지지되고, 그 록크용 스프링편의 전방단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클릭이 돌출되고, 그 클릭의 돌출방향으로 록크용 스프링편이 변위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클릭과 반대쪽에는 록크용 스프링편과 당접한 누름판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설되고 그 누름판의 후방부에 결합편이 연결되고, 그 결합편은 결합용통체와 축방향에서 결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결합편이 전방으로 편의됨과 동시에 결합편을 개재해서 결합용 통체도 전방으로 편기된다.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할 때에 누룸판이 소켓의 앞면에 걸려서, 록크용스프링편이, 소켓본체의 앞면에 형성된 오목홈내로 먼저 삽입되고, 록크용스프링편의 단부의 클릭이 소켓의 오목홈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이 감합오목홈내에 삽입되어서 상기 클릭과 결합오목부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록크상태가 된다. 결합용통체를 그 편의력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오목홈내로부터 누룸판을 빼낼 수 있으므로, 록크가 해제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도내지 제3도에 플러그이 에를 도시하고, 특히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본체(11)는 절연재의 원주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플러그본체(11)의 앞면에 동축심적으로 연장해서 통형상의 삽입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2)의 내측에서 플러그본체(11)의 앞면에 플러그콘택트(13)가 부착되어 있다.
플러그콘택트(13)는 이 예에서는 핀콘택트인 경우로써, 콘택트(13)는 플러그본체(11)를 전후로 삽통해서 부착되어 있으며, 그 후방단부에는 코오드(14)의 리이드선이 접속되어 있다. 캡(15)의 일단부내에 플러그본체(11)가 감합고정된다. 캡(15)내부로부터 코오드(14)가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삽입부(12)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해서 제2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결정용 돌조(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플러그본체(11)에 축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된 록크용스프링편(17)이 지지되고, 록크용스프링편(17)의 유단부에 클릭(18)이 형성되어 있어, 그 클릭(18)의 돌출방향으로 록크용스프링편(17)이 변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부(12)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상의 결합홈(19)을 형성하고, 절홈(19)의 내측에 록크용스프링편(17)이 착설된다.
그 록크용스프링편(17)의 유단부의 외면에 클릭(18)이 일체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 록크용스프링편(17)은 플러그본체(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이 록크용스프링편(17)을 축심에 대해서 각도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쌍 착설한 경우이다.
록크용스프링편(17)의 클릭(18)과 반대쪽에 이것과 당접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누룸판(21)이 착설된다. 이 누룸판(21)은 코일스프링(22)에 의해서 전방으로 편의된다. 또, 누룸판(21)은 코일스프링(22)의 편의력에 대항해서 결합용통체(23)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결합용통체(23)는 플러그본체(11) 및 캡(15)의 외주에서 동축심적으로 축방향에 이동자재케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누룸판(21)은 그 후방단부가 링형상의 연결부(2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부(2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한쌍의 결합편(25)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편(25)과 대응해서 캡(15)의 앞면으로부터 결합편 이동용 홈(26)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편 이동용 홈(26)내에 결합편(25)이 이것에 안내되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그 결합편 이동용홈(26)으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의 위치에서 플러그본체(11)의 배면의 축방향으로 연장해서 삽통구멍(27)이 각각 형성되고, 삽통구멍(27)은 삽입부(12)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이 삽통구멍(27)내에 누룸판(21)이 삽통된다.
한편 결합편(25)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용통체(23)의 내주면에 링형상의 오목부(28)가 형성된다.
이 결합용통체(23)의 후방단부 내주면에 턱(29)이 돌출해서 형성되고, 이 턱(29)과 링형상의 오목부(28)사이에서 캡(15)의 외주면에 링형상의 스토퍼(3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의 오목부(28)의 후방에서 결합용통체(23)의 내주면의 직경이 더욱 커져서, 스토퍼(31)에 대해 턱(29)이 접촉된 상태로 스토퍼(31)의 전방부에서 결합용통체(23)의 내주면과 캡(1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결합용통체(23)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형상의 간극(32)이 형성되어 있다. 캡(15)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단부와 결합편(25)과의 사이에서 캡(15)과 동심축인 코일스프링(22)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22)에 의해서 누룸판(21)이 전방으로 편의됨과 동시에, 결합편(25)이 링형상의 오목부(28)의 전방다부와 결합해서 결합용통체(23)를 전방으로 편의시켜 턱(29)이 스토퍼(31)과 결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 예에 있어서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은 결합용통체(23)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클릭(18)은 삽입부(12)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돌출하고, 결합편이동용 홈(26)의 존재에 의해 록크용스프링편(17)의 클릭(18)쪽의 부분은 외측으로 변위할 수가 있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은 누름판(21)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플러그와 결합시켜서 사용되는 소켓은 제 5도,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재로 된 원주형상의 소켓본체(34)에 대해서, 그 앞면에 링형상의 감합오목홈(35)이 형성되고, 감합오목홈(35)의 내측에서 소켓본체(34)에 콘택트(36)가 부착되어 있다. 소켓콘택트(36)는 플러그콘택트(13)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 경우 지지콘택트가 되어 핀형상의 플러그콘택트(13)를 삽입할 수가 있다.
플러그의 위치결정용 돌조(16)와 삽입감합되는 위치결정용 오목부(37)가 감합오목홈(35)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된다.
이 감합오목홈(35)의 주위면에 플러그의 록크용스프링편(17)의 클릭(18)이 삽입결합되는 결합오목부(38)가 형성된다. 제 3도에서 클릭(18)이 돌출된 방향의 두께와 누룸판(21)의 두께와의 합(d1)은 감합오목홈(35)의 홈폭(d2)보다 크게되어 있으며, 클릭(18)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록크용스프링편(17)의 두께 및 누룸판(21)의 두께의 합(d3)보다도 오목홈(35)의 홈폭(d2)이 크게 되어 있다. 또,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에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누룸판(21)은 감합오목홈(35)에 대해 출입할 수 있다. 즉,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의 오목부(28) 및 결합용통체 이동용 간극(32)의 각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하려면, 플러그의 삽입부(12)를 소켓의 감합오목홈(35)내에 삽입하면 된다. 이 경우, 삽입부(12)를 감합오목홈(35)내에 삽입할 때, 록크용스프링편(18)의 단부가 제 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오목홈(35)내로 삽입되지만, 클릭(18)과 누룸판(21)과의 두께(d1), 홈폭(d2)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룸판(21)은 소켓본체(34)의 앞면에 걸려서 누룸판(21)은 코일스프링(22)의 편의력에 대항해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록크용스프링편(17)은 내측에 탄성적으로 만곡되면서 클릭(18) 및 삽입부(12)가 감합오목홈(35)내로 들어가서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내에 대향하면, 록크용스프링편(17)의 탄성력에 의해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내로 들어가서 이것과 축방햐엥서 결합한다.
록크용스프링편(17)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누룸판(21)도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만곡되나,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내로 들어가면 누룸판(21)의 탄성변형도 복원되어 코일스프링(22)의 작용에 의해 누룸판(21)이 감합오목홈(35)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개시가 용이하도록 누룸판(21)선단부의 각을 따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단순하게 잡아당겨도 록크용스프링편(17) 누룸판(21)의 두께, 홈폭(d2)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클릭(18)은 결합오목부(38)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정도로 변위할 수 없으므로, 록크상태가 되어서 플러그는 소켓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록크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뺄려면 결합용통체(23)를 코일스프링(22)의 편의력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이와같이 하면 결합편(25)을 개재해서 누룸판(21)이 후방으로 당겨져서 제 7(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합오목홈(35)으로 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록크용스프링편(17)의 단부가 클릭(18)의 돌출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축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클릭(18)은 결합오목부(38)로부터 벗겨져서, 즉 록크가 해제되어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빼낼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플러그에 있어서는, 결합용통체(23)혹은 캡(15)의 어느부분을 잡고도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결합할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그 플러그는 플러그본체(11)에 콘택트(13)를 부착하고, 그것에 그 배후로부터 누룸판(21)을 삽통구멍(27)을 통해서 부착하고, 또한 콘택트(13)에 코오드(14)를 접속하여, 그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2)을 수용한 캡(15)을 플러그본체(11)에 감합해서 부착하고, 그 후 전방으로부터 플러그본체(11) 및 캡(15)에 대해서 결합용통체(23)를 장착하면 되어, 비교적 간단한 부품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록크용 스프링편(17)을 내측에 배설하고, 누룸판(21)을 외측에 배설해도 된다. 그 경우는 클릭(18)은 내측이되고, 감합오목홈(35)의 내주벽에 결합오목부(38)를 형성한다.
또 제 8도, 제 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본체(11)의 플러그콘택트(13)로서 지지콘택트를 사용하고, 소켓본체(34)의 코켓콘택트(36)로써 핀 콘택트를 사용해도 된다. 록크용스프링편(17) 및 누룸판(21)의 결합은 1개나, 3개 이상이어도 된다.
Claims (1)
- 절연재의 플러그본체(11)와, 그 플러그본체(11)에 전후로 삽통해서 부착된 복수의 콘택트(13)와, 이들 콘택트(13)의 후방단부에 코오드(14)의 리이드선이 접속 가능하고 이 코오드를 덮는 캡(15)과, 이 캡(15) 및 플러그본체(11)의 외측에 동축심적으로 착설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감착된 결합용통체(3)와, 상기 플러그 본체(11)에 지지되며 전방으로 돌출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유단부에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한 클릭(18)을 가지고 또한 그 클릭(18)의 돌출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록크용 스프링편(17)과, 상기 클릭(18)과 반대쪽에서 상기 록크용 스프링편(17)과 당접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누룸판(21)과, 그 누룸판(21)의 후방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용 통체(23)와 축방향에서 결합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결합편(25)과, 그 결합편(25)을 전방으로 편의시킴과 동시에 그 결합편(25)을 개재해서 상기 결합용통체(23)를 전방으로 편의시키는 코일스프링(22)을 구비한 록크기구부착 플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2669U KR890009126Y1 (ko) | 1983-10-24 | 1989-08-30 |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164196 | 1983-10-24 | ||
JP1983164196U JPS6071084U (ja) | 1983-10-24 | 1983-10-24 | ロツク機構付コネクタ |
KR2019840010448U KR890007647Y1 (ko) | 1983-10-24 | 1984-10-23 |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
KR2019890012669U KR890009126Y1 (ko) | 1983-10-24 | 1989-08-30 |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40010448U Division KR890007647Y1 (ko) | 1983-10-24 | 1984-10-23 |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9126Y1 true KR890009126Y1 (ko) | 1989-12-15 |
Family
ID=2732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2669U KR890009126Y1 (ko) | 1983-10-24 | 1989-08-30 |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9126Y1 (ko) |
-
1989
- 1989-08-30 KR KR2019890012669U patent/KR8900091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7647Y1 (ko) |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 |
JP3231542B2 (ja) | プラグ誤脱防止機構 | |
US5823813A (e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 |
US5785546A (en) | Connector locking structure | |
US4747658A (en) | Fiber optic contact | |
KR920001219A (ko) | 광섬유용 급동작 코넥터 | |
KR20090012083A (ko) |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
US3478305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5702264A (en) | Connector for electric car | |
JP2001141961A (ja) | 光コネクタ組立体 | |
US20020025711A1 (en) | Connector fitting structure | |
US12107366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RE32864E (en) |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 |
JP2000338370A (ja) | 光コネクタ | |
TWI237929B (en) | Connector | |
KR890009126Y1 (ko) |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 |
EP0187887B1 (en) |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 |
KR20040095643A (ko) | 광플러그 | |
EP0996201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0631161A1 (en) | High density fiber optic connector | |
US4453793A (en) | Locking mechanism for rectangular electrical connector | |
GB2126368A (en) | Coupling device for optical waveguide | |
JPS59126508A (ja) | 光コネクタ | |
JPH0346465Y2 (ko) | ||
JP2000164296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121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